33. 굴절계의 종류
(1) 레이너 다이얼덱스 굴절계
레이너 다이얼덱스 굴절계(rayner dialdex refractometer)는 고밀도 특수 유리로 만
든 반구형(半球型) 프리즘이 장착되어 있고 굴절계 뒤편 또는 바닥에 광원에서 들어오는
빛을 통과시키는 입구가 있다. 굴절률의 측정범위는 1.40 ∼ 1.81이며 명암 경계선을 선
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렌즈를 상하로 조정한다. 그리고 굴절계 내부의 시야가 밝아 보
이므로 희미한 명암 경계선도 찾기가 쉬우며 오른쪽에는 바퀴 모양의 다이얼이 있고 다
이얼을 돌리면 굴절계 안의 시야에는 검은 띠가 움직인다. 백색광을 비추면 고밀도의
특수 유리가 빛을 분산시키므로 명암 경계선은 엷은 색의 좁은 띠를 보이며 이 때 명암
경계선인 띠의 황색 부분에 검은 띠를 이동하여 일치시킨 후 다이얼에 표시된 수치를 읽
으면 된다. 단색광을 사용한다면 명암 경계선이 하나로 선명하게 보이므로 검은 띠를
명암 경계선에 맞추기 쉽고 굴절률의 판독이 용이하다
(2) 듀플렉스 Ⅱ 굴절계
듀플렉스 Ⅱ 굴절계(duplex Ⅱ refractometer)는 반원통형 프리즘 대신에 구멍이 뚫
린 반원통형 특수 유리를 장착하고 렌즈를 통해 굴절률의 측정 범위가 전부 보이도록
되어 있다. 굴절률의 측정범위는 1.35 ∼ 1.81이며, 백색광원을 사용하여 보석의 굴절
률 수치를 보는 방법은 굴절계 상(像) 안에 음영 끝부분 즉, 밝고 어두운 부분의 절단선
에 녹색밴드가 나타나는데 이 때 녹색 밴드의 하단 끝부분의 눈금을 읽으면 된다
(3) 시마즈 굴절계
시마즈 굴절계(shimadzu refractometer)의 사용은 듀플렉스 Ⅱ 굴절계와 측정방법
이 거의 동일하나 약 5 ∼ 15cm 거리에서 굴절계의 눈금을 보며, 머리를 위 아래로 움
직여 헤미실린더에 접촉되어 있는 보석의 상 즉, 보석과 같은 모양의 음영을 굴절계 상
안에서 찾아 눈금을 읽는다. 이 굴절계는 다른 굴절계에 비해 곡면법의 측정이 더 용이
하며 상이 뚜렷해 보인다
(4) 다이아몬드 테이블 굴절계
다이아몬드 테이블 굴절계(diamond table refractometer)는 다이아몬드를 프리즘으
로 사용한다. 굴절률이 2.42인 다이아몬드를 프리즘으로 사용하기에 측정이 가능한 굴
절률 범위가 1.55 ∼ 2.05이며, 따라서 굴절률이 높은 지르콘, 일부의 가닛 등과 같은
보석의 높은 굴절률을 측정할 수 있다. 단 이 굴절계를 사용할 시 굴절률이 높은 접촉액
(굴절액)인 웨스트 용액(west’s solution)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 시 용액에는 인
(燐)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발화(發火)를 조심해야 한다.
'보석 감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5. 곡면법의 측정방법 (0) | 2023.04.03 |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4. 평면법의 측정방법 (2) | 2023.04.02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2. 기타 컷 (0) | 2023.03.31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1. 텀블드, 카메오와 인탈리오 (1) | 2023.03.31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0. 패싯티드 컷 (1)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