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석 감정사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 보석 감별의 개요

728x90
반응형

1. 보석 감별의 개요

1. 보석학
보석학(寶石學)은 보석을 뜻하는 라틴어인 ‘gemma’와 논설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인
‘logos’에서 유래되었다. 보석학을 영어로는 ‘gemology’ 또는 ‘gemmology’로 표시하며
전자는 미국식, 후자는 영국식 표현이다. 보석 광물 및 보석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타 물
질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가 보석학이다. 보석 물질을 연구할 때는
가능한 모든 광물학적 방법을 동원해야 하므로 광물학 지식이 필요하며, 보석의 형성
과정과 산출의 특징을 이해해야 하므로 지구의 구조, 암석학의 지식이 필수적이다.
또한 보석의 결정형태, 결정구조, 화학성분, 물리적 성질, 광학적 특성, 내포물 연구
등의 내용을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화학, 물리학, 광학, 결정학 등의 지식이 고루 필요
한 종합학문의 성격을 띠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처리 기술의 진보와 합성 기술의 발달
로 인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처리된 보석과 합성석의 연구를 위해 물리와 화학, 광학을
기반으로 한 첨단 기기를 이용한 보석 분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 보석 감정
보석 감정은 넓은 의미에서 감별, 감정, 평가를 포괄적으로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이
를 세부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석 감별
보석 감별(鑑別 : gem identification)은 보석의 종류를 구별하고, 보석의 진위(眞僞)
를 판별하는 일이다. 보석 감별은 학문적인 분야와 경험적인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학
문적인 분야란 앞에서 언급된 광물학, 암석학, 결정학, 화학, 물리학, 광학 등의 지식을
종합한 것이다. 이들 학문을 보석이라는 초점에 맞추어 경험적인 분야인 미학과 상업성
을 함께 재구성해 발전 시켰을 때에 비로소 보석학이 된다.
감별이란 그 보석이 어떤 보석인가를 구분하는 것이다. 즉, 무색 투명석이 있을 때에
그것이 다이아몬드인가, 수정인가, 유리인가, 혹은 어떤 다른 보석인가를 판단하고, 자
연적인 것인가 아니면 실험실에서 만들어 졌는가, 또는 어떤 방법으로 인공의 손길이
가미되지는 않았는가를 판별하는 것이다. 감별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보석학의 기초 지
식과 더불어 각종 보석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후 숙련을 위한 많은 실습이 요구된다.
천연보석과 합성석의 식별 및 인위적인 방법으로 처리된 일부 보석들은 감별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경우 첨단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는데, 주로 이런 분석기기
들은 매우 고가(高價)이므로 분석기기를 갖춘 전문 감정기관이나 전문 연구소에서 감별
이 가능하다.


(2) 보석 감정
좁은 의미의 보석 감정(鑑定)은 다이아몬드 감정(diamond grading)을 말한다. 다이
아몬드에 있어서 등급의 높고 낮음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우열(優劣)을 판정하는 일이다. 현재까지 상업적인 등급 판정은 다이아몬드에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이외의 유색보석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3) 보석의 평가
보석의 감별 또는 감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보석의 가치 평가를 화폐적 가치인 가격을
산정하는 일이다.

3. 보석의 조건과 분류
(1) 보석의 조건
오래전 인류의 문화가 발생하기 시작할 때부터 장신구를 만들었는데 재료는 주로 뼈,
조개 껍데기, 호박 등을 이용했다. 이들은 보석이 몸치장을 위한 장신구 뿐만 아니라 권
력이나 행운의 상징, 또는 악을 몰아내는 주술적 힘을 지닌 신비로운 물질로 여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돌을 자르고 연마하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보
석을 소유하는 의미와 가치도 상당히 변화하게 되었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보석을 아름
답고 화려하게 꾸밀 때 사용하는 장신구로서 뿐만 아니라, 결혼과 같은 인생의 중요한
계기를 기념하기 위한 기념물, 또는 자산 증식을 위한 투자의 대상으로도 소유한다. 보
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몇 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아름다움, 희소성,
내구성, 전통성, 휴대성, 유행성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요건들을 모두 완벽하게 갖추고
있는 보석 광물은 많지 않다. 지금까지 발견된 3,000개 이상의 광물 중에서 보석용으로
밝혀진 것은 약 100개 정도에 불과하다.

 

1) 미적 아름다움
보석으로서의 최우선적인 요건이다. 보석의 아름다움(beauty)은 투명도와 색의 유
무, 연마 등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사람마다 선호하는 정도의 차이가 다를 수 있으므
로 다소 주관성이 반영되기도 한다.


2) 희소성
아무리 아름다운 보석이라 할지라도 그 양이 너무 많아서 누구나 쉽게 소유할 수 있
는 것이라면 보석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게된다. 귀하고 희소성(rarity)이 있을 때 돋보
이게 된다. 희귀성이라고도 한다.


3) 내구성
아름답고 희귀한 보석은 자연히 높은 가치를 지니게 된다. 그러나 보석이 단시
일 내에 변질되거나 파손된다면 경제적 손실은 말할 수 없이 크다. 따라서 내구성
(durability)이 좋아야 한다. 보석이 견고하기 위해서는 경도와 인성이 높아야 한다. 경
도는 마모나 긁힘에 견디는 능력이며, 인성은 충격에 견디는 능력이다. 또한 화학적 및
구조적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견고성이라고도 부른다.


4) 전통성
보석으로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에 의해 선
호되어 온 전통성(tradition)을 지녀야 한다.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
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가치 있는 보석으로 인정하고 있다.


5) 휴대성
보석은 장신구로서 몸에 지닐 수 있는 정도의 크기여야 한다. 만약 너무 커서 반지나
목걸이에 세팅할 수 없다면 장신구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 또한 아름다운 보석을
그냥 보관만 하고 있는 것은 별 의미가 없을 것이며 적당한 장소에서 어울리게 장식되어
야 보석의 진가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휴대성(portability)이라 한다.


6) 유행성
수요와 유행성(fashion)은 시대에 따라 변천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로서 20세기에 호
박 판매가 촉진되어 수요가 크게 늘었으나 일시적인 유행은 오래 가지 않았고, 현재는
호박을 진열해 둔 보석상이 오히려 적을 정도이다.

 

(2) 학명에 따른 분류
1) 종과 변종
보석으로 분류되는 각 광물을 보석 종(種, species)이라고 부르며 보석 종은 일정한
화학성분과 특징적인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보석들을 종으로 구별했을 때 그
종에 속하는 보석들이 모두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석 종인 베
릴은 모두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녹색, 황색, 청색, 무색 등의 다양한 색들이 존재하고
어떤 것은 광학적인 현상들에 의하여 특수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있다. 따라서 우리가
베릴이라고 하면 어떤 색을 가진 또는 어떤 특수한 현상을 띠는 베릴인지 모르게 된다.
그러므로 보석학에서 보석명을 특화시키기 위해 세분하여 베릴 중에 녹색이 나는 것을
에메랄드, 황색이 나는 것을 골든, 청색이 나는 것을 아콰마린, 무색인 것을 고셰나이트
등으로 부른다. 이와 같이 색이나 투명도, 특수효과에 근거하여 종을 나누어 놓은 것을
변종(變種, variety)이라고 한다.


2) 군
보석은 대개 종이나 변종으로 분류하지만 몇 종은 군(群, group)으로 분류하기도 한
다. 군이란 화학적 및 구조적으로 밀접한 계열을 이루고 있는 종들의 집합체를 말한다.

군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는 가닛, 펠드스파(장석) 등이 있다. 가닛은 결정구조는 같으
나 부분적으로 화학성분이 다른 종(種)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만다이트, 파이로프, 스페사르타이트, 그로슐라라이트, 안드라다이트, 우바로바이트 등이 여기에 속한다. 펠드
스파군은 결정 구조가 비슷하여 유사한 특성을 갖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래브라도
라이트, 알바이트, 올리고클레이스, 오소클레이스, 새니딘, 마이크로클라인 등이 여기
에 속한다.


(3) 생성 기원에 따른 분류
1) 천연보석
천연보석이란 자연 속에서 수천 년 또는 수만 년 이상 서서히 성장된 보석을 말한다.
천연보석은 대부분 지구의 암석 형성 과정에 의해 생성되었고 가끔은 동, 식물에서 나
오기도 한다. 천연보석은 어디에서 형성 되었는가에 따라 무기질 보석과 유기질 보석으
로 나누어진다.
① 무기질 보석 : 생명이 없는 무생물에서 형성된 보석을 말하며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과 같은 대부분의 보석이 여기에 해당된다.
② 유기질 보석 : 조개에서 산출되는 진주나 코끼리의 상아, 산호, 제트, 호박 등 살아
있는 생명체와 관계가 깊은 보석이다.


2) 인공석
인공석은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모든 물질을 말하며 합성석(合成石, synthetic
stone), 인조석(人造石, artificial stone), 모조석(模造石, imitation stone)으로 나누어
진다. 합성석은 사람에 의하여 만들어진 무기물로서 이들의 물리적 성질, 화학 성분, 원
자 구조는 그에 해당하는 천연보석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보석을 말한다. 합성석은 반드
시 합성석에 해당하는 천연물질이 존재하여야 한다. 이에 비해 인조석은 천연에는 존재
하지 않지만 인공적으로 만든 물질을 말하며 이트륨 알루미늄 가닛(Y.A.G.: yttrium
aluminum garnet), 가돌리늄 갈륨 가닛(G.G.G.: gadolinium gallium garnet) 등이있다.
모조석은 천연보석과 외견상 비슷하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전혀 다른 물질로 모방
되어 천연보석을 모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합성석, 인조석, 모조석은 제 5장
에서 자세히 언급한다.


3) 처리석
자연에서 산출되는 보석의 원석들은 색이나 광학적 효과 등에 있어서 그대로 보석으 로 사용하기에는 부적당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보석의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인위적인
처리 과정을 거친 보석을 처리석이라고 한다. 인위적인 처리에는 가열, 오일링, 주입,
충전, 함침, 염색, 확산, 코팅, 방사선 조사(照射), 고온고압 등이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