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문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6. 그림동화

미여울 2022. 11. 4. 09:55
728x90
반응형

16장. 그림동화

1. 그림동화란 무엇인가?

그림동화란 동화에 기초하여 그린 그림들을 이야기 순서대로 정리하여 그림과 함께 들려주는 문학의 전달 매체 중의 하나이다.

2. 그림동화에 적합한 그림책의 선정시 유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질 높은 그림책을 선택한다.

기승전결의 플롯이 탄탄하고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 전개를 갖추어야 한다.

편견 없는 내용을 선택한다. 정형화된 성역할이나 장애인에 대한 불공정한 태도, 문화적 편견, 공격성 유발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경우는 선택하지 않는다.

필요한 부분을 잘 선택하여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작품을 선택한다.

 

3. 낱장식 동화란 무엇인가?

낱장식 동화는 동화의 장면을 몇 장의 낱장 그림으로 그려서 유아들에게 보여줄 때 한 장씩 뒤로 넘기면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그림동화의 한 종류이다.

 

4. 낱장식 동화를 제작할 때 유의사항은 무엇인가?

동화의 내용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을 선택한다. , 도입, 상승, 정점, 하강, 결말에 적합한 내용을 선택한다.

선택한 내용을 몇 장의 종이에 그릴 것인지를 정한다. 대상 유아들의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유아의 경우 15장을 넘지 않게 제작한다. 그림을 그릴 종이는 교사의 무릎이나 탁자 위에 세울 수 있도록 두꺼운 종이를 선택한다.

등장인물이 여러 번 나올 경우 유아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 한 인물에 대해서는 같은 색을 사용한다.

그림을 모두 그리게 되면 뒷면에 내용을 적은 종이를 붙이고 순서대로 번호를 적는다. 이 때 유의할 점은 낱장들을 교사가 한꺼번에 들고 한 장씩 넘겨가므로 맨 첫째 장의 내용이 맨 마지막장에 적혀 있어야 한다.

 

5. 낱장식 동화를 제시할 때 유의사항은 무엇인가?

제시하기 전에 낱장식 그림의 순서를 확인한다.

낱장식 동화의 높이, 유아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모두 잘 볼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한다.

내용이 점증적인 만큼 어떤 것들이 나오는지 잘 들어 볼 것을 이야기하면서 기대감을 준다.

유아들이 교사의 표정을 볼 수 있도록 얼굴이 가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낱장식 동화를 탁자에 놓고 들려주거나 교사의 무릎에 놓고 이야기해 준다.

동화의 내용을 숙지하여 뒷면에 적힌 내용을 참고는 하되 그 내용에 눈을 떼지 않으면서 읽지 말고, 유아들의 눈을 맞추면서 이야기를 들려준다.

유아들이 그림을 잘 볼 수 있도록 각 장면을 반원형으로 왼쪽, 중간, 오른쪽에서 잠시 멈추어 보여주면서 진행한다.

교사의 목소리는 분명하고 뚜렷하게 하고 진행 속도는 유아의 반응에 따라 융통성 있게 하되 자연스럽게 진행한다.

장면 전환이 분명한 이야기이다. 다음 장면으로 넘어갈 때 한 호흡 정도 멈추어 유아들의 주의를 모은다.

이야기가 끝난 후 유아들이 다시 한 번 내용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교사는 구연하지 않고 그림만 처음부터 끝까지 보여준다.

 

6. 움직이는 동화란 무엇인가?

낱장식 동화에 움직임을 주고자 할 경우에 칼집을 내어 등장인물을 뒤에서 움직이는 경우나 자석을 통해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게 만든 그림동화를 말한다.

자석을 통해 움직임을 주고자 하는 경우는 움직이는 부분 뒤에 자석을 붙여 제작하고 뒷면에서 교사가 조금 큰 자석을 움직이면 된다. 일반적으로 교사가 움직이는 뒷면의 자석은 앞면의 자석보다 자력이나 크기가 커야 한다. 그림에 움직임을 주는 경우는 그림 그릴 종이의 장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작이 간편하고 유아들도 생동감 있는 장면을 볼 수 있어서 좋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