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문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2. 전래동요

미여울 2022. 11. 2. 13:28
728x90
반응형

12. 전래동요

1. 전래동요란 무엇인가?

전래동요는 일정한 작자 없이 만들어져 오랜 세월동안 구전되어 온 노래로서, 아동의 감정과 심리를 문학적이며 음악적으로 표현한 아동가요를 줄여 쓰는 말이다. 문학적 측면에서 본 동요는 노랫말 즉 가사에 비중을 두는 것이고 음악적 측면에서 동요는 노래의 곡에 비중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아문학에서 말하는 동요는 노랫말과 노래곡이 함께 어울려 표현하는 독특한 문학예술의 한 형태로 본다.

 

2. 전래동요의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전래동요는 오랜 세월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전해왔기 때문에 노랫말이 담겨있는 내용 속에서 인간의 보편적인 가치와 문화를 공유할 수 있다.

반복적 리듬과 운율을 기초로 하고 있어서 쉽고 재미있으며 정서를 순화하고 고취시킨다.

문학적 측면에서 함축된 시어뿐만 아니라 언어적, 음악적 측면에서 감각을 키워준다

놀이, 가족, 친구, , 음식, 동물, 식물, 우주 등 그 소재가 다양하기 때문에 동요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사물이나 자연현상의 특성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모국어에 대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게 하고 모국어 습득을 용이하게 도와준다.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3. 우리나라 전래동요의 유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1) 기능동요

놀이동요, 말놀이동요, 해학성이 있는 놀림동요: 놀이를 순조롭게 진행하며 흥을 돋아 즐거움을 고조시키려는 오락적 기능을 지닌 동요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꼬부랑 할머니등이 있다.

일놀이 동요: 일할 때 부르는 노동적 기능을 지닌 동요(‘방아야 방아야’)

주술적 소망을 담은 동요: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 유아의 요구대로 변화할 것을 믿는 동요(‘까치야 까치야’)

2) 비기능 동요

자연 현상과 사물, 인간 생활, 동물들을 소재로 하는 동요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맹꽁이’, ‘기러기 노래등이 있다.

 

4. 외국의 전래동요 중 마더구스란 무엇인가?

마더구스란 프랑스의 동화 재화자인 샤를 뻬로(Charles Perraults)의 책제목인 마더구스 이야기(Tales of Mother Goose)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후 헬리웰(Halliwell)에 의해 수집, 확대되어 1849년에는 어린이 노래와 옛이야기(Popular Rhymes and Nursery Tales)'로서 간행되어 현재의 많은 어린이책 마더구스의 원전이 되었다.

마더구스는 유아들이 잠들 때, 깨어났을 떄, 아픔을 덜게 해줄 때, 칭찬이나 꾸중을 할 때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노래로 또는 이야기로 구전되어 오거나 창작된 것들이다.

마더구스의 특징은 음악성, 활동성, 흥미성, 유머, 친근하게 만드는 삽화 등의 요소에 의해 그 매력을 유지한다. 그러나 마더구스가 가지는 이러한 특징적 요소들은 우리말로 번역될 때 본래의 운율과 리듬을 찾기 어려워 그 맛을 잃는 경우가 있다.

 

5. 동시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동시는 성인이 어린이들의 마음과 정서를 생각하면서 그들의 수준에서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상상력과 언어로 표현한 문학의 한 장르로서 그 종류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정형동시: 일정한 외형률을 가진 동시

자유동시: 음수율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쓰는 시의 형식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동시의 형태

산문동시: 시의 기본적인 특성인 리듬을 의식하되 리듬이나 의미와 이미지의 단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산문형식으로 쓰여진 동시의 형태

동화시: 동화적 줄거리를 지니고 있지만 표현이 산문적인 운문체 형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