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4. 외국의 아동문학
4장. 외국의 아동문학
1. 외국의 아동문학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19세기 이전의 아동문학은 근대적 아동문학이 성립되지 않았을 때이다. 그래서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 몇 세기 동안은 아동을 위한 책들이 주로 학습용으로서 교훈주의 전통을 이루게 되었고, 몇 백년 동안 아동 도서 영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러한 책들은 성직에 있던 교육자들이 부유층의 자녀를 위해 썼던 것이다.
아동문학이 초기에 가장 왕성하게 발달한 나라가 영국으로, 문학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제요인과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성장 발달하기 마련인데 영국은 민주주의와 민주주의 교육이 가장 먼저 발달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2. 19세기 이전에는 외국의 아동문학이 어떤 발전과정을 거치게 되었는가?
① 코메니우스의 세계도회(1658): 체코슬로바키아의 코메니우스(Comenius)가 만든 「세계도회」는 최초의 오늘날의 그림책이며, 지식을 전달하는 책의 시초로서 자연계와 인간계의 여러 가지 현상이 기본적인 형태로 다루어져 있고 통일적인 우주상을 그리고 있다.
② 영국의 존 뉴베리(John Newbery, 1713-1767): 챕북(Chap Book)을 만들어 특권 계급의 전유물로만 여겼던 책을 서민의 아동도 읽을 수 있도록 했고, 아동에게 교훈과 지혜, 독서의 즐거움을 주고, 궁극적으로는 아동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도서 출판에 힘썼다. 뉴베리가 출판했던 책은 이제는 사라졌고, 현재에 들어와서 복사해 둔 판본을 제외하고는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다. 그러나, 뉴베리의 이름은 미국 도서관 협회가 해마다 그 해의 가장 우수한 아동문학 작품에 수여하는 뉴베리상에 의해 현재까지 남아 있다.
③ 프랑스의 샤를 뻬로(Charles Perrault, 1628-1703): 현대 아동문학의 선구자이며 프랑스 현대 아동문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뻬로는 구전되어 오던 옛 이야기들을 재화하여 「지나간 옛날이야기」란 제목으로 '잠자는 숲 속의 공주', '빨간 모자', '장화 신은 고양이', '신데렐라' 등이 포함된 동화집을 만들었다. 이 책은 어린이들을 직접적인 독자로 인식하고 창작했다는 점에서 뻬로를 세계 최초의 아동문학가로 인정받게 만들었다.
④ 독일의 그림형제(Jacob Grimm, 1785-1863; Wilhelm Grimm, 1786-1859): 독일의 옛날 이야기들을 재화한 「어린이와 가정의 옛 이야기」를 저술했다. 이 책은 독일은 물론 전 세계 아동문학의 고전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승문학이 아동문학으로 성립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이 동화집에는 「백설공주」, 「헨젤과 그레텔」, 「브레멘의 음악대」, 「늑대와 일곱 마리의 염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1판, 2판, 3판으로 판이 거듭될수록 표현이 다듬어졌다. 그리고 제2판부터는 그리 많지는 않지만 막내동생인 루드비히가 삽화를 그렸기 때문에 그림동화집은 삼형제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3. 19세기에는 외국의 아동문학이 어떤 발전과정을 거치게 되었는가?
① 영국의 루이스 캐롤(Lewis Carroll)은 아동문학사에서 환상동화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865」를 출판하였다. 이 책은 그 당시 유행하던 도덕적이고 교훈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단순히 기쁨과 즐거움만을 주기 위한 내용이었다는 점에서 아동문학사의 전환점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② 헬렌 배너만(Helen Bannerman)에 의해 창작된 ‘꼬마 검둥이 삼보’(1899)는 유아 동화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을 만하다. 배너만이 남편의 근무지인 인도에서는 자녀의 교육이 어려워 딸을 영국의 학교에 맡기고 돌아오는 배 안에서 딸을 위해 창작한 작품인데 배너만의 소박한 그림은 높이 평가받고 있다. 단순한 언어구사, 운율적인 문장, 점진적인 반복을 통한 긴장감, 끝 부분의 만족감은 어린이들이 즐겨서 읽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③ 프랑스의 베르느(Jules Verne)는 출판인으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아동잡지와 신문을 발간하여 주목을 받았다. 베르느(Jules Verne)는 『교육과 오락의 잡지』를 통해 작품을 발표했는데 공상 과학소설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어린이들에게 공상과 모험의 세계를 과학적이고 사실적인 접근에 의해 경험하게 해 주었다. 특히, ‘달나라 여행’, ‘해저 2만 마일’, ‘80일간의 세계일주’, ‘15소년 표류기’ 등은 작가의 치밀한 구성과 과학적 상상력과 실험에 의해 쓴 내용들이 현재 과학적인 사실이 된 것이 많다. 예를 들어 그의 작품 속에 나타났던 비행기, 잠수함, 라디오, 텔레비전, 우주여행 등이 바로 그런 것이다.
④ 독일의 호프만(Hoffman)은 ‘호두까기 인형’(1821)을 출판했는데 모험, 재미성, 교육성이 가미되어 지금까지도 많이 읽혀지고 있다.
⑤ 이탈리아의 콜로디(Carlo Collodi)는 1881년에 창간된 ‘유아신문’에 ‘피노키오의 모험’을 연재하게 되었다. 이 작품은 교훈적이긴 했지만 읽을거리가 많지 않던 그 당시에는 어린이들에게 순수한 즐거움과 환상성, 모험, 생동감, 감흥을 주는 책으로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⑥ 19세기 북유럽의 아동문학가로서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덴마크의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이다. 안데르센은 근대적 아동문학의 창시자, 새로운 창작동화의 창시자, 동화작가의 왕자라고 불리어 지고 있을 만큼 종래의 동화를 평가하는 척도가 되었다. 따라서 구비문학을 집대성한 그림 형제와 창작문학의 기틀을 잡은 안데르센은 아동문학사상 쌍벽을 이루고 있다.
안데르센은 1835년부터 ‘어린이를 위한 동화집’을 내기 시작하여 1870년경까지 크리스마스 때마다 한 권씩 출판하여 약 150편의 명작동화를 남겼다. 대표적인 동화로는 ‘눈의 여왕’, ‘날으는 가방’, ‘인어공주’, ‘미운 오리새끼’, ‘벌거숭이 임금님’ 등이다.
안데르센 동화의 특징은 간결하고 함축성 있는 언어, 사람은 물론 생물과 무생물에게까지 언어와 생명을 불어넣어 인물을 창조하는 능력, 탁월한 상상력, 구전설화를 소재로 하면서 독창적인 예술적 동화, 작품에 용해되어 있는 기독교 신앙과 정신 등이다.
⑦ 19세기 미국의 아동문학
마크 트웨인(Mark Twain)의 ‘톰 소여의 모험’, ‘허클베리 핀의 모험’ 등에서 19세기 미시시피강 유역의 소년들의 꿈과 모험, 개척정신을 세계의 모든 어린이들과 함께 나눌 수 있게 해 주었다. 그는 아동문학에서 교훈성의 배제, 자립을 추구하는 아동상, 문명의 비판, 유럽 문학과의 결별에 힘을 쏟았다. 이 두 권의 책은 모험이란 지구 반대편에 있거나 결코 굴복하지 않는 상류 계급의 영웅들에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하류 계급인 허크나 노예인 짐같이 가까운 곳에서 아주 평범한 사람들한테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가 추구한 문학상의 경험주의와 비판정신은 그 후 리얼리즘 문학의 기초가 되었다.
4. 20세기에는 외국의 아동문학이 어떤 발전과정을 거치게 되었는가?
1) 20세기 영국의 아동문학
① 피터팬은 모두가 알고 있듯이 어른이 되지 않는 소년이다. 피터팬은 1904년에 초연되고 매년 대단한 성공을 거두면서 상연된 배리(James M. Barrie)의 희곡이다. 책은 그 뒤에 나왔고, 배리가 직접 개작한 ‘피터와 웬디’는 1911년에 출판되었다. 배리가 생동감 있고 기억에 남는 인물을 두세 사람 창조했는데 (잃어버린 손 대신에 갈고리를 끼우고 있는 후크 선장, 똑딱 소리를 내는 악어, 그리고 피터팬)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사랑받는 걸작이 되었다.
② 밀른(Milne)의 ‘아기 곰 푸우’는 유머와 풍자가 있는 즐거운 작품인데, 충동적이고 실수를 잘 저지르는 아기곰 푸우를 중심으로 주인공 소년 로빈은 숲 속의 동물 친구들과 놀게 되는데 유아들의 세계를 재미있게 보여 준다.
③ 비트릭스 포터(Beatrix Potter)는 이 시대의 뛰어난 작가이자 이야기 그림책 화가이다. 그녀의 ‘피터 토끼 이야기’(The Tale of Peter Rabbit)는 현대 그림책의 막을 열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아동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존 로 타운젠드(John Rowe Townsend)는 포터의 작품은 모든 작품에서 단어의 단호한 울림, 정확한 구성과 드로잉으로 표현하는 성격 묘사, 건조한 유머와 결정적이고 무난한 결말들이 공통적으로 들어있다고 했고 작품들이 전원풍의 향기와 견실함이 작품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고 평가했다.
2) 20세기 미국의 아동문학
① 미국에서 아동문학 발달의 중요한 자극제가 된 것은 프레드릭 거숌 멜처가 1919년에 미국 출판 협회의 프로젝트로서 <아동도서주간>을 장려한 것이다. 그 후 아동도서관의 설치, 도서관의 적극적 운영, 아동 도서 전문 잡지의 창간, 뉴베리 상(1922)과 칼데콧 상(1938) 등을 제정함으로써 아동문학의 창조와 보급에 많은 자극이 되었다.
② 동물을 다룬 환상동화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은 화이트(E. B. White)의 ‘샬롯의 거미줄’(Charlotte's Web)이다. 화이트는 미국 문학에 있어서 중요한 인물로, 영향력 있는 작가이자 초기 뉴욕의 칼럼니스트, 재치가 있고 수려한 문체를 지닌 수필가, 퓰리처상 수상자이다. 그러나 그의 오랜 명성은 어린이 고전 작가로, 특히 화려하고 지속적인 인기를 끈 ‘샬롯의 거미줄’에서 얻은 것이다.
③ 그림책의 황금기인 1930-1960년까지의 그림책은 유아의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소재나 배경에 유아의 상상의 세계가 들어갔다. 그러나 모리스 센닥(Maurice Sendak)의 ‘괴물들이 사는 나라’(Where the Wild Things Are, 1963) 이후에는 유아의 내면적 심리 표출에 초점을 두는 환상동화가 많다.
④ 미국 출판사는 존슨 정부의 지원으로 도서 구입을 위한 막대한 재원의 지원을 받게 되어 20세기 중엽에 걸쳐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융성기를 맞게 되었다. 다양한 장르의 영역에서 그림책이 창작되고 있고, 문학을 통한 통합적 교육이 현장에서 많이 실시되고 있어서 그림책이 많이 출판되고 있으며, 다문화를 다룬 책에 대한 요구도 늘고 있다.
5. 세계의 아동문학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국제 한스 크리스천 안데르센상(International Hans Christian Andersen Awards)
① 덴마크의 아동문학가인 한스 크리스천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 1805-1875)을 기념하기 위한 국제적 아동문학상으로서 국제 아동도서 협의회(International Board On Books For Young People: IBBY)의 심사위원회에서 2년에 한 번씩 수여하고 있다.
② 이 상은 아동문학에 있어서 영속적인 공헌을 했다고 평가되는 현존 작가(1956년부터)와 일러스트레이터(1966부터)들에게 수여하는 상으로서 “작은 노벨상”이라고 불리워지기도 한다. 이 상의 심사대상은 IBBY에 가입하고 있는 모든 국가의 아동문학 작가들과 그림책 화가들이며, 때에 따라서는 일반의 작가나 화가들도 특별한 절차에 따라 추천받을 수 있다.
③ 한스 크리스천 안데르센상은 「괴물들이 사는 나라」, 「깊은 밤 부엌에서」로 잘 알려진 Maurice Sendak (미국)은 1970년에, 「크릭터」의 작가 Tomi Ungerer(프랑스)도 1998년에 국제 한스 크리스천 안데르센상을 수상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수상 작가나 일러스트레이터가 없다.
2) 칼데콧 상(The Caldecott Medal)
① 란돌프 칼데콧, 월터 크레인, 케이트 그린어웨이는 영국 최초의 3대 그림책 화가인데, 칼데콧 상은 란돌프 칼데콧(Randolph Caldecott; 1846-1886)을 기념하기 위한 상으로서 미국의 도서관협회의 분과인 어린이를 위한 도서서비스협회(The Association for Library Services to Children)에서 미국에서 전년도에 출판된 그림책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을 그린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주는 상이다.
② 칼데콧 상의 종류: 두 가지가 있는데 최고상인 Caldecott Medal은 1938년부터 1권의 그림책에 수여하는 최우수상이고, Caldecott Honor은 1권-4,5권의 그림책에 주는 차점상이다.
그런데 이 상은 그림책에서 그림의 우수성(이야기, 주제, 개념을 그림으로 얼마나 잘 표현했는가, 그림 양식의 적합성 등)으로만 결정되므로 차점상 중에서는 최우수상보다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도 많이 발견된다.
③ Caldecott Medal 수상작: 「아기오리들에게 길을 비켜주세요」, 「작은집 이야기」, 「마들린느와 쥬네비브」, 「눈오는 날」, 「괴물들이 사는 나라」, 「태양으로 날아간 화살」 등이 한글로 번역되어 있고, Caldecott Honor 수상작에는 「멋진 뼈다귀」, 「깊은 밤 부엌에서」 등이 있다.
3) 뉴베리 상 (The Newbery Medal)
① 런던에서 어린이책의 출판업을 경영하여 많은 어린이들에게 꿈과 용기를 불어넣어 주는 데 크게 공헌했던 존 뉴베리(John Newbery; 1713-1767)를 기념하기 위해 프레더릭 거숌 멜쳐(Frederic Gershom Melcher)의 지원을 받고 창설되었다.
② 미국 도서관협회의 아동부에서 주재하고 있으며, 전년도에 미국에서 출판된 어린이를 위한 문학작품 가운데 글을 평가하여(칼데콧 상이 그림을 보고 평가하는 반면) 가장 뛰어난 작품을 매년 선정하여 그 작가에게 수여한다. 역시 Newbery Medal과 Newbery Honor가 있다.
③ William Steig의 치과의사 드소토 선생님(Doctor DeSoto)이 1983년에 Newbery Honor를 수상한 작품이다.
4)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The Kate Greenaway Medal)
① 영국의 그림책 화가인 케이트 그린어웨이(Kate Greenaway; 1846-1901)를 기념하기 위하여 1956년에 영국 도서관협회가 창설하였다.
② 해마다 전년도에 영국에서 발행된 어린이책 중에서 그림이 가장 뛰어난 작품의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수여하고 있다.
③ 수상작: Jonh Burningham의 「검피아저씨의 뱃놀이(Mr. Gumpy's Outing)」, Helen Oxenbury의 「쾅글왕글의 모자」 등
6. 한국의 아동문학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① 한국어린이도서상: 대한출판문화협회가 1980년에 제정하여 매년 저작, 일러스트레이션, 기획·편집 부문의 우수한 도서들을 선정·시상해 오고 있다. 수상작으로는 한낙원의 『돌아온 지구소년』(1989)을 비롯하여, 최근에 수상한 그림책으로 한성옥의 『수염 할아버지』(2002)와 『나의 사직동』(2004) 등이 있다.
② 황금도깨비상: 출판사 비룡소에서 1991년부터 주관하고 있는데, 그림책만을 위한 상은 아니고 모집 공고를 통해서 그해 가장 뛰어난 아동문학 작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수상작에는 김세온의 『이사 가는 날』(1994), 정순희의 『바람 부는 날』(1995), 선현경의 『이모의 결혼식』(2003) 등이 있다.
③ 서울 동화일러스트레이션상: 문학동네 출판사가 1999년부터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드물게 주는 일러스트레이션 부문이라 해마다 개성 있는 신인들이 더 많이 응모하고 있는데, 제1회 선정 작품은 조은수의 『말하는 나무』(1999)이다.
④ 보림창작그림책공모전: 보림출판사에서 제정하여 2000년부터 매해 개성 있는 작품을 발굴하고 있는데 주요 수상 작품으로는 조은희의 『마니마니마니』(2000)와 김동수의 『감기 걸린 날」(2002) 등이 있다.
⑤ 한국 안데르센 그림자상: 한국어린이육영회와 국제어린이도서협의회 한국지부(KBBY)가 안데르센 탄생 200주년과 세계 어린이책의 날인 4월 2일을 기념하여 2004년부터 제정하여 수상작을 발표해 오고 있다.
⑥ 출판미술가협회에서 주관하는 상: 현직 일러스트레이터나 미술 작가들이 출판 미술의 질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모인 비영리 단체인 출판미술가협회에서 주관하는 상으로서 신인 대상전에 시사, 순수, 팬시, 광고, 그림동화 일러스트레이션 부문이 있다. 그림동화 일러스트레이션 부문의 대상을 비롯하여 몇 개의 상이 수여되고 있는데, 관심 있고 역량 있는 신인 일러스트레이터들의 등용문으로서, 또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제정한 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