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 유아문학이란?
1. 유아문학이란 무엇인가?
유아문학의 정의를 제시하기 위해 아동문학의 정의를 먼저 알아본다.
① 서더랜드(Sutherland): 아동문학이란 아동들이 읽고 즐기는 책이자 아동을 위하여 쓰여진 책이며, 고도의 문학적, 예술적인 기준을 만족시켜 주는 책이다.
② 이원수: 아동문학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문학으로서 아동과 관련 있는 소재를 다루며, 아동이 이해하기 쉬운 형식과 내용을 가진 문학이다. 아동문학의 특징은 소박하고 단순한 것이 많으며, 아동을 위한 목적 의식을 가지고 쓴 것이 많고, 대상 독자의 계층이 많고, 작품 내용의 난이도에 차이가 심하다.
③ 이재철: 아동문학은 주로 인간 최초의 성장기를 위해 쓰여진 문학으로 다양한 교육성을 내포하며, 어린이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해 어린이의 심정, 생활 그리고 그들의 성장 발달에 도움이 되는 내용과 정신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형식 면에서도 언어와 문장의 사용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표현한 것으로서 작가가 일차적으로 아동에게 읽힐 것을 목적으로 창작한 특수문학으로 동요, 동시, 동화, 아동소설, 아동극의 장르를 총칭한 명칭이다.
④ 학자들의 정의에 대한 논의를 종합해서 유아문학을 정의해 본다면, 유아문학이란 갓 태어나서부터 초등학교 2학년까지의 유아를 위한 문학으로, 형식과 내용 면에서는 문학적, 예술적 기준을 만족시켜 주고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유익하며, 유아의 욕구를 충족시켜 유아들이 즐겨 읽는 문학이다.
2. 유아문학은 유아들에게 어떤 가치가 있는가?
① 책을 사랑하며 즐길 수 있게 해 준다.
② 유아의 언어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예: 쿠슐라와 그림책 이야기(도로시 버틀러)
③ 유아의 상상력과 창의적인 활동의 원천을 제공한다. 예) 노란우산(류재수)
④ 이해의 폭을 넓혀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준다. 예) 미안해(샘 맥브래트니)
⑤ 다른 사람과 세계에 대한 지식의 폭을 넓혀 이해력을 높혀 준다. 예) 당나귀 실베스트와 요술 조약돌(윌리엄 스타이그)
⑥ 일상의 권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한다.
⑦ 유아에게 도덕적 기준과 태도를 발견,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 해와 달이 된 오누이
⑧ 국어와 민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게 도와준다. 유아들은 운율적인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는 시와 반복되는 어휘나 구절, 상황이 있는 이야기를 듣고 따라해 보면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낀다. 또한 옛이야기들은 유아들에게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정서를 자연스럽게 전달하기도 한다.
3. 유아문학은 유아들의 기본욕구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① 유아문학은 단순히 유아들에게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책을 통해 유아들이 성장하면서 갖게 되는 기본적 욕구를 반영하고 만족시키는 기능을 중요하게 여겨 왔다.
인본주의 심리학자인 매슬로(Maslow)가 주장한 욕구위계설에 따르면 인간은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사랑과 소속의 욕구, 자아존종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변화의 욕구, 지식과 이해에 대한 욕구, 심미적 욕구 등을 가진다. 이 욕구들은 강도와 중요성에 따라 계층적 단계를 이루어 기본적이고 낮은 차원의 욕구가 충족될 때 비로소 새로운 욕구, 곧 한 단계 높은 욕구가 생기게 된다는 것이다. 낮은 차원의 본성들이 높은 차원의 본성들보다 일반적으로 더 우세하다. 그래서 생리적 욕구는 안전의 욕구보다도 더 강하고, 안전의 욕구는 자아실현의 욕구보다 더 강하다. 즉, 높은 차원의 욕구는 낮은 차원의 욕구에 의존해 있고, 낮은 차원의 욕구들의 기초 위에 높은 차원의 욕구가 발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매슬로는 또한 모든 욕구들이 상호 중첩되어 있어서 어떤 특정한 욕구를 다른 욕구들로부터 명백하고도 완전하게 분리시킨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유아문학 작품 속에도 여러 가지 욕구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욕구에 따라 제시된 유아문학 작품의 예들은 작품 속에 어떤 욕구가 반영되어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② 생리적 욕구: 『잠이 안 오니, 작은 곰아?』(마틴 워델)
③ 안전의 욕구: 『헨젤과 그레텔』(그림형제)
④ 사랑과 소속의 욕구: 『부루퉁한 스핑키』(윌리엄 스타이그), 『피터의 의자』(에즈라 잭 키츠)
⑤ 자아존중의 욕구: 『알록달록 코끼리 엘머』(데이비드 매키)
⑥ 자아실현의 욕구: 『이슬이의 첫 심부름』(쓰쓰이 요리코)
⑦ 변화의 욕구: 『괴물들이 사는 나라』(모리스 센닥), 『마녀 위니』(밸러리 토머스)
⑧ 지식과 이해에 대한 욕구: 『사과와 나비』(옐라 마리)
⑨ 심미적 욕구: 『만희네 집』(권윤덕), 『작은집 이야기』(버지니아 리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