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교육

평생교육사, 교육학, 복지, 방통대 등 인간과교육 요점 정리 2. 교육의 이해

미여울 2022. 10. 20. 09:01
728x90
반응형

2. 교육의 이해

1. 교육은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며, 또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교육은 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후세대를 길러 내기 위한 활동으로서 없어서는 안 될 사회적 활동이다.

2. 교육의 개념과 목적,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한 신념체계를 의미하는 교육관은 인간관 · 사회관 · 세계관과 같은 가치관에 입각하여 만들어 진다. 이러한 교육관은 각 시대나 사회의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3. 교육관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주입으로서의 교육관과 성장으로서의 교육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입으로서의 교육관은 기존의 사회적 지식을 아동들에게 교사들이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교육의 주된 기능으로 보는 전통적 교육관이다. 성장으로서의 교육관은 교육의 주된 기능을 아동들의 잠재 가능성의 실현을 자연스럽게 도와주고 이끌어 주는 것으로 보는 아동 중심주의적 교육관이며, 자연주의적 교육관과 진보주의적 교육관, 그리고 실존주의적 교육관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교육의 개념에는 몇 가지 개념적 요소와 조건들이 포함되어 있다. 의도성, 전인적 인간변화에 대한 관심, 가치지향성, 피교육자의 인간존엄성에 대한 존중, 피교육자의 의미충족과 자아형성감의 함양, 교육자의 자율성과 도덕적 책임 등의 요소가 그것이다.

5. 교육목적은 다양한 측면과 수준에서 논의될 수 있으나, 개인적 측면의 목적과 사회적 측면의 목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인적 인간의 형성, 자아실현인의 육성, 도덕적 인간의 형성, 자유인의 육성 등은 개인적 측면에서의 교육목적을 말하는 것이며, 이를 교육의 내재적 목적이라 한다. 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교육의 사회적 측면의 목적이라고 하며, 이를 교육의 외재적 목적이라 한다.

6. 교육을 실시하는 주체인 교사나 부모, 사회나 국가, 또한 교육의 대상이자 객체인 학생, 그리고 교육의 주체와 객체를 연결시켜 주는 매개체인 교육내용이나 교재, 이 세가지를 교육의 3요소라 한다. 교육의 과정은 크게 네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교육목표의 설정 -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교수 - 학습의 경험 - 교육평가의 단계가 그것이다.

7. 교육은 개인의 일생을 통해 이루어지며,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의 곳곳에서 이루어진다.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걸쳐 집중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학교교육을 형식교육이라고 한다. 학교교육 외의 유아교육, 가정교육, 사회교육을 학교 외 교육이라 하며 이를 비형식교육이라고 한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개인의 성공적인 삶을 위해서는 개인의 일생에 걸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시기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종류의 교육이 일관된 원리와 목표에 의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개념이 평생교육의 개념이다.

8. 교육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인 교육학은 다양한 학문적 접근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종합학문으로서의 특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종합학문으로서 교육학의 하위 연구분야로는 교육철학 ·교육사 · 교육심리학 · 교육사회학 · 교육행정학 · 교육과정론 등이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