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사, 교육학, 방통대 등 평생교육경영론 11. 평생교육기관에서의 학습동아리 운영-1
제 11강 평생교육기관에서의 학습동아리 운영-1
◎학습동아리의 의미
-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학습을 위하여 결성한 집단 혹은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가 동일한 사람들이 모여 자기득끼리 학습조직을 운영하는 모임(오혁진,2006)
- 소모임 중에서도 ‘학습’과 ‘토론’을 주목적으로 모이는 집단(이지혜, 2004)
- 일정한 인원의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모임을 구성하여 정해진 주제에 대한 학습과 토론을 위해 정기적으로 만나는 조직 및 모임(이종만 외, 2004)
- 민주적이고 상당히 참여 지향적인 토론이 이루어지는 작은 그룹으로 그 안에서 많은 시민들이 그들의 지역사회에 당면한 문제에 대해서 토론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규정(박상옥, 2009)
- 성인 중심으로 운영되는 일반적인 평생교육의 형태로서 학습을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참여해서 이루어지는 모임의 형태
◎평생교육기관의 학습동아리의 특성
- 성인중심
: 제도적이고 실천적인 의미에서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성인들이 주된 학습자층을 형성한다.
- 자발성
: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기반하여 학습동아리의 운영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진다.
- 목적성
: 성인학습자는 자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참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학습과제를 추구하게 된다.
- 지속성
: 학습의 지속성, 타 활동과의 연계성, 학습내용의 심화 등을 포함한다.
◎학습동아리 운영의 의의
- 학습자들의 학습을 돕기 위하여, 지지하고 지원해주는 역할 및 역량이 필요할 시에는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 교육적 의의
: 상호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성과 제고에 도움이 된다.
: 학습 지속과 연결의 매개가 된다.
: 심화학습, 사회참여, 관계확장 등 학습결과 확장의 계기를 제공해준다.
- 기관 운영상의 의의
: 평생교육기관 운영의 비용절감에 도움이 된다.
: 다양한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발굴할 수 있다.
: 학습동아리 운영과 지원은 기관의 사명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학습동아리의 유형
- 학습목적과 유형에 따라 구분(이종만, 2004)
: 심화학습형
심층 지식 및 기술 습득을 목적으로 하며 개인의 능력 향상이 주된 학습주제
: 전문탐구형
전문영역별 선택 주제에 대한 공동 토의와 탐구를 목적으로 전문가로서의 전문능력 함양과 생성적 전문능력 재생산이 주된 학습주제
: 문제해결형
지역사회의 당면 문제 또는 장기과제 해결을 학습목적으로 삼으며 사회문제가 주요 학습주제
- 평생교육기관 운영의 맥락에서 구분
: 프로그램 중심형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프로그램 중 학습동아리와 프로그램 후속 학습동아리로 구분된다.
: 주제중심형
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무관하게 평생교육기관의 사명이나 학습자들의 관심을 갖고 있는 특정 학습주제에 따라 결성. 일반기관이나 단체에서도 결성 가능
: 실천중심형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등 참여를 통한 실천을 목적으로 결성. 실천을 위한 학습활동이 목적
<11. 평생교육기관에서의 학습동아리 운영-1 예시문제>
1. 평생교육기관 학습동아리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
① 참여가 비자발적이어서는 안 된다.
② 뚜렷한 목적성을 가져서는 안 된다.
③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④ 성인들이 주된 구성원이다.
2. 학습동아리의 목적과 유형에 따른 구분가운데 문제해결형에 해당되는 것은? 3
① 컴퓨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바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해 동아리를 만들었다.
② 다른 사람과의 학습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지식정보시스템 동아리를 만들었다.
③ 부천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학습동아리를 만들었다.
④ 평생교육 연수프로그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 포럼동아리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