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사, 교육학, 방통대 등 평생교육경영론 9. 평생교육기관의 학습화: 학습조직론
제 9강 평생교육기관의 학습화: 학습조직론
◎학습조직은 조직 자체의 학습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기업연수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교육훈련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
◎학습조직 등장의 배경
- 기존의 산업사회에서 강제하고 통제를 중심으로 경영하는 방식은 한계를 대면. 이에 따른 작업장 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 일하는 기계가 아닌 일하는 사람으로 인식의 전환이 시작.
- 노동자 개개인이 조직에 지적인 생명을 부여하여 조직 자체가 지식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경영방식이자 기업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극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
◎학습조직의 특성 및 상황
- 단기간에 가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경영혁신 기법만으로는 장기적인 조직 전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측면에서 전략을 모색
- 배우는 문화를 조직 내부에 정착시켜 구축
-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조직의 전략경영 능력을 향상시키고 생성적 학습을 통해 조직의 창의성을 극대화시킬 필요에서 등장
- 지식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학습사회 및 학습조직의 출현 가속화
◎학습조직의 특징
- ‘조직이 학습한다.’(조직단위가 학습한다.)
- 개인이 학습한 내용, 이미 가지고 있는 노하우 등을 조직이 학습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떤 조건 하에서 개인지식은 조직화되는가?”
-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 개별학습
: 조직학습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조직학습의 완성가지 보장하지는 못하지만 개별학습이 없으면 어떠한 조직학습도 일어날 수 없다.
• 팀학습
: 업무추진을 위해 구성된 팀은 통일체로서 사고하고 창조하면서 학습. 이를 위해 집단차원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을 창출해낼 수 있어야 한다.
• 조직학습
: 전체 조직원 간에 공유된 통찰력, 지식, 세계관을 통해 이루어짐. 조직을 통하여 발생하며, 학습과정은 보다 광범위한 일련의 사회적ㆍ정치적ㆍ구조적 변수들의 영향을 받는다.
◎조직학습의 유형
- 경험과 반성으로부터 야기되는 적응적 학습
: 개인 또는 조직이 경험과 성찰을 통해 학습할 때 형성되는 학습
-미래를 예견하는 예견적 학습
: 적응적 학습에 대칭되는 것으로, 미래에 있어서의 최상의 기회를 규명하고 부정적인 결과와 경험을 예방하고 보다 나은 성취방법을 추구하려는 접근방법
- 학습방법을 학습하는 메타학습
: 적응적 혹은 예견적 학습의 도구성을 넘어서 그것이 가지는 전제와 가치, 가정들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학습하는 과정
- 실천학습
: 실제의 업무 중에 발생한 문제를 다루며 여기에서 획득된 학습에 대해 중점을 두며 해결책을 찾아 이행하는 것까지를 포괄
<9. 평생교육기관의 학습화: 학습조직론- 예시문제>
1. 전통적 조직과 학습조직의 차이를 잘못 설명한 것은? 2
① 전통적 조직은 영구적인 것을, 학습조직은 일시적인 것을 장려한다.
② 전통적 조직은 의문을 제기하지만, 학습조직은 결론을 중시한다.
③ 전통적 조직은 반대의견을 무시하지만, 학습조직은 반대의견을 중시한다.
④ 전통적 조직은 과거의 행동을, 학습조직은 새로운 행동을 중시한다.
2. 조직에서의 학습유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① 미래를 예견하는 메타학습이 일어난다.
② 실제 업무 중 발생한 문제를 다루는 실천학습이 중요하다.
③ 경험과 반성으로부터 야기되는 적응적 학습이 진행된다.
④ 집단 행위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적응적 학습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