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경영론

평생교육사, 교육학, 방통대 등 평생교육경영론 9. 평생교육기관의 학습화: 학습조직론

미여울 2022. 10. 14. 12:58
728x90
반응형

9강 평생교육기관의 학습화: 학습조직론

학습조직은 조직 자체의 학습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기업연수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교육훈련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

 

학습조직 등장의 배경

- 기존의 산업사회에서 강제하고 통제를 중심으로 경영하는 방식은 한계를 대면. 이에 따른 작업장 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 일하는 기계가 아닌 일하는 사람으로 인식의 전환이 시작.

- 노동자 개개인이 조직에 지적인 생명을 부여하여 조직 자체가 지식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경영방식이자 기업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극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

 

학습조직의 특성 및 상황

- 단기간에 가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경영혁신 기법만으로는 장기적인 조직 전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측면에서 전략을 모색

- 배우는 문화를 조직 내부에 정착시켜 구축

-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조직의 전략경영 능력을 향상시키고 생성적 학습을 통해 조직의 창의성을 극대화시킬 필요에서 등장

- 지식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학습사회 및 학습조직의 출현 가속화

 

학습조직의 특징

- ‘조직이 학습한다.’(조직단위가 학습한다.)

- 개인이 학습한 내용, 이미 가지고 있는 노하우 등을 조직이 학습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조건 하에서 개인지식은 조직화되는가?”

-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개별학습

: 조직학습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조직학습의 완성가지 보장하지는 못하지만 개별학습이 없으면 어떠한 조직학습도 일어날 수 없다.

팀학습

: 업무추진을 위해 구성된 팀은 통일체로서 사고하고 창조하면서 학습. 이를 위해 집단차원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을 창출해낼 수 있어야 한다.

조직학습

: 전체 조직원 간에 공유된 통찰력, 지식, 세계관을 통해 이루어짐. 조직을 통하여 발생하며, 학습과정은 보다 광범위한 일련의 사회적정치적구조적 변수들의 영향을 받는다.

조직학습의 유형

- 경험과 반성으로부터 야기되는 적응적 학습

: 개인 또는 조직이 경험과 성찰을 통해 학습할 때 형성되는 학습

-미래를 예견하는 예견적 학습

: 적응적 학습에 대칭되는 것으로, 미래에 있어서의 최상의 기회를 규명하고 부정적인 결과와 경험을 예방하고 보다 나은 성취방법을 추구하려는 접근방법

- 학습방법을 학습하는 메타학습

: 적응적 혹은 예견적 학습의 도구성을 넘어서 그것이 가지는 전제와 가치, 가정들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학습하는 과정

- 실천학습

: 실제의 업무 중에 발생한 문제를 다루며 여기에서 획득된 학습에 대해 중점을 두며 해결책을 찾아 이행하는 것까지를 포괄


<9. 평생교육기관의 학습화: 학습조직론- 예시문제>

 

1. 전통적 조직과 학습조직의 차이를 잘못 설명한 것은? 2

전통적 조직은 영구적인 것을, 학습조직은 일시적인 것을 장려한다.

전통적 조직은 의문을 제기하지만, 학습조직은 결론을 중시한다.

전통적 조직은 반대의견을 무시하지만, 학습조직은 반대의견을 중시한다.

전통적 조직은 과거의 행동을, 학습조직은 새로운 행동을 중시한다.

 

2. 조직에서의 학습유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미래를 예견하는 메타학습이 일어난다.

실제 업무 중 발생한 문제를 다루는 실천학습이 중요하다.

경험과 반성으로부터 야기되는 적응적 학습이 진행된다.

집단 행위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적응적 학습이 이루어진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