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종교, 방통대, 교양 등 세계의 종교 요점 요약 정리 4. 유대교와 조로아스터교의 세계관과 역사
제 4장 유대교와 조로아스터교의 세계관과 역사
【1】 유대교의 세계관: 고대 이스라엘은 서양 문명에 크게 기여
1. 유대교의 하느님은 인간에게 축복과 저주, 삶과 죽음에 대한 선택의 가능성 부여
①유일한 하느님 신앙, 우상숭배 금지, 인격적 관계 유지+선택된 민족 축복(선민사상)
-하느님의 법 앞에서는 유대인과 이방인, 자유인과 노예 모두 평등한 존재
②유대교 하느님은 역사에 참여하고 역사를 지배하며 간섭하는 존재, 신에게 순종하도록 계약
-유대인을 통한 신의 계시(특정한 민족을 통하여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에 참여한 것으로 이해)
-작은 민족, 봉사하도록 선택(도덕성과 인내심 필요), 선민사상에 대한 이해 필요
2. 아브라함~솔로몬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는 시련과 좌절을 극복하는 성숙의 과정
-유대인은 다른 민족을 위한 인류의 고통을 대신하기 위하여 선택된 민족으로 해석
3. 이스라엘의 종교는 유일신 하느님을 향한 절대적 순종과 사랑을 지향
-하느님의 정의를 실천하고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 인간 삶의 목적(예언자=공정한 선행 촉구)
-계시방법은 성경과 자연을 통한 것, 인간은 중보자 없이 신 앞에 서 있는 것
【2】 유대교의 성경, 타나크: 모세의 종교로 이해(십계명과 율법을 인류에게 전달)
1. 유대교는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를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고대 종교
율법서 | 모세를 저자로 간주, 모세오경=창세기·출애굽기·레위기·민수기·신명기를 의미 -창조와 홍수 이야기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에도 나타난다.(길가메시 서사시) -고대 근동의 종교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확인 -인간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의로운 신으로 등장 |
예언서 | 그리스도교에서는 역사서로 분류 -전기예언서(여호수아서, 서사기=판관기, 사무엘기, 열왕기) =신명기 역사서 -후기예언서: 대예언서(이사야·예레미야·에스겔)와 12권의 소예언서(호세야, 요엘, 아모스, 오바디아,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
성문서 | 시편·잠언·욥기·아가·룻기·예레미야·애가·전도서·에스더·다니엘·에스라·역대기 등 -유대교의 타나크=>그리스도교의 구약성경 // 신약성서를 인정하지 않는다. |
-성경은 여러 문헌을 편집한 책으로 율법서(토라), 예언서(네비임), 성문서(케투빔)으로 구성
【3】 유대교의 역사: 초기 유대교에서 조상신은 씨족을 보호하는 수호신으로 간주(부족신)
①사후 심판 개념 無, 죄인은 살아 있는 동안 처벌, 다양한 영적 존재 인식
-유목생활에 필요한 낙타와 농경생활을 대표하는 돼지 등은 금지, 고기의 피 제거(섭취 금지)
②할례의식은 아브라함에서 시작된 관습(기원은 아라비아, 이집트, 아프리카로 평가)
-야훼의 기원(야훼신앙)은 시나이 반도의 호렙 산에서 시작 =>입문의례의 수호신 모습
-유다지파의 신에서 유대인의 신으로 확대, 토착민의 제거를 명령하는 전쟁의 신으로 역할수행
2. 팔레스타인을 정복, 유목생활에서 농경생활로 정착, 토착민과 결혼+도시의 수호신인 바알숭배
①유월절, 칠칠절(오순절+맥추절), 초막절(수장절+장막절) 등 농경과 관련된 축제 수용
②군사지도자로 사사(판관) 선출, 안정적 정치 체제로 왕권 수립
③사제(종교전문가, 세습), 점술가(사자와 소통), 나실인(신에게 봉헌), 예언자(정치평론+선지자)
-요시아왕이 야훼신앙을 중심으로 중앙집권화 추진하는 종교개혁 진행, 우상숭배 폐지
3. 기원전 6세기 바빌론의 침략으로 50년 포로생활, 페르시아가 바빌로니아 정복 후 귀환
①이방인들이 통치(기원전 538), 그리스-시리아 지배자들이 예루살렘 사제들 지지(의례 집중)
-포로기 이후 절대적 주권자로 이미지 전환, 엄격한 유일신론 성립
②기원전 5세기 성경 최종 편집, 선민의식 강화, 역사적 고통을 종교적으로 승화하여 감내
-느헤미야(성전봉사자 선출, 십일조 규정·실행, 유대인과 이방인의 이분법 강화)
③바빌로니아 포로기에 바빌로니아의 죽음·홍수 관련 설화 유입
-조로아스터교의 악령과 사탄 개념 유입(창세기의 뱀, 욥기의 사탄)
-알렉산더의 그리스시대 영혼불멸+내세 보상 개념 유입, 그리스 지방으로 편입+메시아도래 열망
4. 헬레니즘 시대에는 지중해 연안지역(이집트·시리아)에 흩어져 거주
①회당 중심(성경독서+기도+구제+자치 정부의 중심지 역할)으로 유대교 공동체 형성
②유대교+헬레니즘의 용합->히브리어는 문체로만 존재, 그리스어로 상용화(일부 아람어 사용)
③이집트 프톨레미 2세 명령으로 『70인역』 그리스어 성경 출판=>배타적 유대교 이미지 국제화
-비유대인과의 만남 증가, 유대교 신관이 보편적·우주적인 것으로 발전(신자 증가+할례)
④로마 통치 시기(억압) =>기름 받은자, 메시아의 해방 염원
-새로운 세상에 대한 개념(세상의 종말, 망자의 부활, 사후 심판 등 조로아스터교 요소 강화)
5. 디아스포라 진행으로 다양한 계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종파 등장
①사두개파는 귀족적 사제들이 전통·의례 준수, 내세와 부활 부인->성전 파괴 후 소멸
②바리새파(율법학자)는 회당을 중심으로 율법 교육, 내세와 부활 신뢰
③에세네파는 농민·노동자로 구성(하층민 종파), 제의 거절+금욕적 공동체+재산 공동소유
6. 132~135년 반란 실패->팔레스타인에서 추방->로마 전역으로 이산, 유대의 영향력 쇠티
①종교적 고립심화, 바빌로니아와 팔레스타인 유대인들이 탈무드 집성(3~5세기)
-탈무드는 미시나(히브리어 율법주석)+게마라(아람어 상세주석)로 구성
-현재는 예루살렘 탈무드와 바빌로니아 탈무드 전승->다른 주석들 추가(미드라시 문헌형성)
②중세 초기 로마제국(스페인·독일) 거주, 수공업·상업·고리대금업·농업에 종사
-계급 갈등+카라이트운동 발생->탈무드 거부, 모세의 가르침으로 회귀
7. 7~12세기 아랍문화권에서 유대인 번성, 합리주의(마이모니데스)+카발리즘 신비주의 등장
①마이모니데스가 13개의 신앙원리 규정(생략)
②유대교의 카발리즘에서는 13세기의 『조하르』가 경전, 신의 속성 부정(범신론적 성격)
-숫자·문자의 조합 연구, 영혼의 윤회 신뢰->랍비유대교에 불만->하시디즘(신비주의)으로 표출
-18세기 중엽 시작(가난하고 억압받는 유대인들이 시작+학식·제의보다 경건으로 신과 교통)
③유대교 계몽주의(독일)는 하스칼라 형태로 전개, 전통을 깨고 자유로운 해석 시도
-시오니즘 형성, 팔레스타인 유대 정부의 재건 주장
8. 현대 유대교는 개혁유대교, 정통유대교, 보수주의 유대교 존재
-19세기 계토에서 해방, 20세기 초 나치정권에 의하여 대학살 경험, 1948년 이스라엘 정부 수립
-유대민족주의와 아랍 민족주의 간 대결과 영토분쟁, 중동은 세계대전의 화약고
【4】 조로아스터교의 세계관과 역사: 현재 이란은 시아파 이슬람교가 다수 종교 점유
1. 이슬람 형성 이전 이란 지역은 아후라 마즈다를 주신으로 하는 조로아스터교 유행
①조로아스터가 설립(예언자), 인도 북서쪽 거주(파시교 혹은 배화교=불 숭배가 이유)
-경전 『아베스타』는 조로아스터교의 역사와 세계의 종말 기록, 이 종교를 이해하는 주요자료
②기원전 2000년 이란부족은 인도 부족과 분리, 유사한 종교적·문화적 특징 보유
2. 세계는 빛과 어둠으로 양분 =>빛의 세계는 아후라가 어둠의 세계는 데바가 다스린다고 규정
①선신(유용한 것 창조)과 악신(해롭고 악한 것 창조)이 세상의 모든 것 창조
②이분법적 우주론과 윤리관을 토대로 선신에 참여, 악신에 대항 =>행복한 삶 유지
-이분법과 갈등구조는 이란의 농경문화와 인도의 유목문화 간 갈등이 배경
-『아베스타』에서는 농경이 이루어지는 정착지가 가장 좋은 곳으로 평가
③기원전 3~8세기 이란의 국교로 종교적 중앙집권화 형성, 불꽃 유지+공물+정화의례
-다크마를 이용한 장례문화(탑+독수리 먹이로 이용 ->뼈만 매장)
-제의를 위해 소를 죽이는 행위와 음료 섭취(하오마) 행위 비판, 개인적+우주적 종말론 제시
-이슬람 성장으로 조로아스터교 위축->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로 이분법적 세계관 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