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종교

신학, 종교, 방통대, 교양 등 세계의 종교 요점 요약 정리 2. 세계 종교의 현황과 역사적 전개

미여울 2022. 9. 22. 09:37
728x90
반응형

제 2장 세계 종교의 현황과 역사적 전개

1세계 종교의 인구 분포: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연감을 통해 대략적 종교별 인구 파악 가능

1. 전 세계 인구는 65, 종교 인구는 55억으로 전체의 85.7% 차지

비종교인과 무신론자는 9억으로 약 14.3%

그리스도교 인구 21(세계인구의 33.1% 차지, 가장 많이 믿는 종교로 평가, 3~4종파)

-천주교(11, 전체 인구 절반), 개신고(3), 정교회(2), 성공회(5), 기타 종파(4)

이슬람(13, 세계 인구의 20.3%, 세계 인구 이 이슬람교)

-힌두교(8, 13.3%), 불교(3, 5.9%), 중국 종교 일반(4, 특정 종교로 평가 안 함)

-무수한 민족종교 2, 신종교 1=>포함하여 합산

 

2세계 종교인구의 지역적 분포: 세계 종교 인구의 지역적 분포도는 6개 대륙으로 구분

아시아 이슬람교(아시아 전체 인구의 23.3% 차지) 힌두교(21.8%) 불교(9.5%) 그리스도교(9.0%) =>①②③④종교 모두 아시아에서 출현
-아시에서 출현한 시크교·유대교·바하이신앙·유교·자이나교·도교·조로아스터교
-세계의 모든 종교가 아시아에서 생겨나 아시아 지역에서 유력한 종교로 존재
-민족종교(14, 3.7%), 신종교(1, 2.7%)
-종교의 산실로 평가하지만 비종교+무신론자도 가장 많은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스도교(46.3%)와 이슬람교(40.3%)로 종교인구 양분 =>단순하게 분포
-민족종교(12.1%), 북부는 이슬람교+중남부는 그리스도교가 지배적
-힌두교(0.3%), 바하이신앙(0.2%)=>인도와 이란 등의 이민자로 인한 결과
유럽 1. 전체 인구의 76.3%가 그리스도교(절대다수 차지)
-천주교가 절반(유럽 중남부), 정교회(1, 동부), 개신교(7, 북부)
2. 이슬람교(전체 인구의 4.6%, 3) =>식민지로 지배했던 곳+동유럽에 분포
-유대교(0.3%), 힌두교(0.2%), 불교(0.2%) =>유대인과 아시아 이민자 중심
라틴아메리카
 
92.6%가 그리스도교(천주교 93.4%), 민족종교·이슬람교·유대교 100
비종교·무신론자가 아프리카 다음으로 낮다.
북아메리카 82.9%가 그리스도교(천주교 29%, 개신교 24%, 정교회 2.4%, 성공회 1.1%)
-유대교->이슬람교->불교 ->힌두교와 바하이신앙 =>다양한 종교 분포 확인
오세아니아 80.2%가 그리스도교(천주교32.4%, 개신교29.4%, 성공회18.8%=> 고루 분포)
-불교->힌두교->이슬람 ->유대교, 바하이신앙, 유교 순으로 분포
6개 대륙의 종교 인구를 단순하게 비교하기는 힘들지만 종교별 차이는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 인구가 가장 많은 대륙은 유럽
-라틴아메리카->아프리카->아시아->북아메리카 순으로 분포
-대륙(천주교->개신교->정교회), 유럽(개신교보다 정교회 중심지로 평가)
-영국의 영향으로 성공회는 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오세아니아에서 우세
이슬람교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다수 분포, 세계 무슬림의 96.9% 차지
-유럽에도 3천만 이상 분포, 그리스도교 다음으로 영향력 있는 종교로 부상
힌두교 아시아에 집중 분포, 인도(90%)의 종교로 평가, 네팔과 수리남에 다수 분포
불교 세계 불교 인구 98%가 아시아에 분포(아시아 종교), 그 외 북아메리카와 유럽
-시크교(96.4%)는 대부분 아시아에 분포(인도)
-유대교는 북아메리카(620), 아시아(530), 유럽과 아프리카에도 분포
-바하이신앙, 유교, 도교, 조로아스터교 등도 아시아에 집중 분포
-바하이신앙은 라틴아메리카, 북아메리카로 확산 중

-2005년 중반 기준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세 대륙의 종교별 인구 비교

 

3세계 종교인구 분포의 특징과 그 의미: 종교의 자유는 국민의 권리, 다양한 종교 분포

1. 세계적인 차원에서 보는 종교인구 분포의 중요한 특징들

종교를 믿는 사람이 종교를 믿지 않거나 무신론자보다 많다는 것.

-비종교인과 무신론자는 세계 인구의 14.3%, 신앙인은 85.7%6배 많다.

종교인구가 총인구의 절반 수준인 경우도 존재, 비종교인과 무신론자가 다수라는 것

-비종교인+무신론자 90%가 러시아, 북한, 우크라이나, 중국, 한국, 대만 등 6개 국가에 집중

-중국·러시아에 비종교인 다수 존재(사회주의+공산주의), 한국·대만 많은 종교가 공존

세계 인구 분포에서 아시아 대륙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는 점

-전 세계 인구의 60.7%, 모든 종교인구 분포 =>그리스도교와 유대교 제외, 이슬람은 22.3%

-종교도 많고 종교별 인구 고루 분포 =>전형적인 종교다원 현상 보유(영향력 포함)

종교별로 인구가 집중 분포하는 지역이 있다는 것도 특징 중 하나

-그리스도교는 대륙에 고루 분포(서구 국가에 주로 분포)

-이슬람교는 아시아(서아시아+중앙아시아 중심)와 북아프리카, 동유럽 일부 국가들에 밀집

-불교는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아시아 국가에 분포

-힌두교, 자이나교, 시크교는 인도, 유교와 도교는 중국과 인근 국가에 주로 분포

2. 종교별로 특정 지역이 중심을 형성, 점차 확대되는 중, 확산 정도에 따라 상황 변화 예측

-전 세계 신종교인구의 98.3%가 아시아에 분포, 새로운 종교운동은 아시아가 좌우한다고 평가

-같은 종교전통도 지역과 국가에 따라, 종파와 교단(종단)에 따라 양상이 변하고 있음에 주목

-교리와 사상, 의례와 관습, 절기와 풍속 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유념

 

4세계 종교의 역사적 전개: 종교의 역사를 종교별 서술 =>종교를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

1. 학자들마다 세계 종교사를 서술하는 방식, 시대 구분도 상이하게 다룬다.

니니안 스마트는 역사적 전개에 초점(뿌리-형성-변형)을 맞추어 서술

-선사·중세·르네상스·현대로 시대로 구분, 지역별 구분을 함께 적용시켜 정리

J.B.노스의 세계종교사에서는 원시 및 고대 종교를 다룬 후

-근동 종교(조로아터교·유대교·그리스도교·이슬람교), 인도종교(힌두교·자이나교·불교·시크교)

-동아시아의 종교(도교·유교·신도) 등 지역별로 나누어 종교의 역사 기술

2. 원시종교, 고전종교, 현대종교 세 시대로 나누어 서술(긴 시간 범주 사용=단점)

원시종교 문명으로부터 단절, 사회적 기능분화가 작고 친족구조가 중시되는 사회의 종교
-원시를 원주민(선사) 등의 의미로 해석, 오늘날 원시종족의 종교포함(넓은 의미)
-현재 살아있는 원시사회의 종교에 주목(정형성, 반복성), 특징은 신화와 의례
신화를 경전으로 이해, 가치 있는 삶의 전형을 알려주는 이야기로 신뢰
-신화의 내용에 따라 의례 진행, 신화를 현실화하는 삶 유지
-창조신화(매년 신년의례를 통해 재현, 시간과 공간을 의례적으로 경험)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신화를 성스러운 역사에 관한 이야기로 이해
-신화는 모든 창조와 기원을 설명, 의례를 통해 재현=>성스러운 세계로 진입
-신화에 나타난 삶이 질서 있는 삶(벗어난 삶은 혼돈), 의례 중심의 삶(구원론)
-신화의 삶을 가장 이상적인 삶으로 수용, 의례를 통해 반복적으로 현실로 도입
고전종교 고대문명의 발생과 더불어 나타난 종교(고대문명종교), 기원전 3500년 경 시작
-4대문명(메소포타미아이집트인더스황하)과 여러 문명의 종교들 포함
-종교가 문명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점
-엘리아데조셉 기타가와는 고전종교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
신화적 사고에서 벗어나 논리적 사고가 지배, 인간론적인 세계관이 발생
-자연의 보편적 법칙 인지(대상화), 신화적 자연이해에서 탈피
-미토스(신화)에서 로고스(논리적·이성적 사고)로의 해방이라고 정리
현상적 세계에 대한 부정적 이해 발생, 다른 세계(저세상)에 대한 인식 형성
-가시적인 물질적 현상세계 부정, 다른 실재의 세계를 중시
-육체보다 내적 자아에 주목(영혼·아트만·아니마) =>종교적 지향에 변화 형성
-현세->내세, 육체적·물질적 자아->영적 내적 자아 중시 =>저세상적 구원론
종교적 이론과 실천, 공동체의 모든 측면들이 고도로 세분화되기 시작
-교리와 신념의 이론적으로 체계화 되고 의례와 계율 세분화
-공동체도 다양하게 계층화가 이루어지면서 복잡한 종교체계 형성
-문명의 성쇠에 따라 사라지도 했지만 현재까지 전통이 유지되어 영향력 행사
현대종교 고전종교가 고유한 문화와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변화+영향=>다른 양상으로 전개
인간 실존에 대한 관심 부각, 현실적 삶의 문제에 답하는데 주목
저세상의 구원보다 현실 세계에서 종교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
전통적 질서·기준에서 탈피, 인간의 창의성을 최고로 발휘할 수 있는 자유중시
-종교를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삶과 문화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시도

-종교 일반의 변화 양상 파악, 동시대 종교간 공통의 특징 이해에 유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