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1. 장애인복지의 개념

미여울 2022. 8. 11. 08:21
728x90
반응형

1. 장애인복지의 개념

1. 장애의 개념
∙ 개념이란 단순한 호칭이 아니라 철학과 역사가 투영되어 있는 용어다.
∙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그 개념을 둘러싼 정책과 실천 방법의 전략이 규정된다.
∙ 장애는 한 사람의 신체적 제약의 문제로 이해될 수 없다.
∙ 개인은 끊임없는 활동 속에서 사회와 소통하며 살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 장애인들이 정상인과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사회와 접하면서 일정한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토대를 마련해 주는 것은 사회정의(social justice)이자 사회적 책무이다.

 

2. 장애인의 정의
∙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장애인복지법 제2조)에서는 “장애인은 신체적ㆍ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 신체적ㆍ정신적 장애라는 의학적 분류와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고 있는 상태라는
조건으로 규정한다.
예시) 신체적으로 불편한 것은 노인이 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청년이 보청기를 착용하는 상황이
같다고 하더라도 노인을 장애인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또 안경을 착용하거나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처럼 보조 용구를 사용하는 것은 같음에도
불구하고 안경을 착용한 경우는 장애인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1) 장애 정의에 대한 분류
① 장애의 의학적 정의
신체적ㆍ정신적 구조와 기능 등 해부학적 차원에서의 손상이나 결함으로 신체의 어떤 부위가 손상을
당하고 그로 인해 어느 정도의 기능 상실이 있는지 등을 통해 장애를 정의한다.
장애인은 선천적이든 아니든 신체적 또는 정신적 능력의 결함으로 인하여 일상의 개인 또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것을 확보하는 데 스스로는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행할 수 없는 사람을

의미한다.

 

② 장애의 사회적 정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농축시켜 표현하는데 장애인을 구별ㆍ배제시키고 차별하느냐 아니면
동등한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고 사회적 활동을 전면적으로 지원하느냐에 따라 장애를 규정짓는다.

⦁ 1990년에 제정된 「미국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이 대표적이다.
⦁ 장애를 “신체적 혹은 정신적 손상 때문에 일상생활의 활동들에 있어 심각한 제약을 주는 경우,
이러한 손상이 있다는 기록이 있는 경우, 손상을 가진 것으로 간주될 경우”를 말하며, 이 중에 어느
경우에라도 해당되면 「미국장애인법」의 적용을 받게 된다.

 

③ 장애의 직업적 정의
직업을 찾고 유지하는 데 지장이 있는 정도를 판가름해서 장애 여부와 정도를 구별 짓는다.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의 정의가 대표적이다.
ILO의 신체장애인의 직업재활에 관한 권고 제99조에서는 “장애인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결함의
결과로 적당한 직업을 확보, 유지해 나갈 전망이 없는 상당히 손상을 받은 사람”


④ 장애의 법적 정의

⦁ 「장애인복지법」 제2조 제1항에 따르면 “장애인은 신체적ㆍ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 시대와 공간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법적 정의는 해당 국가의 복지정책과
실천 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면에서 가장 실질적인 의미의 장애 개념이다.
⦁ 「특수교육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장애인
차별금지법」, 「국민연금법」등 장애 관련 법률들에서 조금씩 다르게 정의되어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