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테마주 및 이슈목록

"올해 건설수주 180조원 상회 전망에 건설 및 기자재 테마 상승."테마 관련 국내증시 주요 이슈 및 전망, 수혜주 총정리

미여울 2020. 12. 10. 20:38
728x90
반응형


▷하나금융투자는 전일 보고서를 통해 통상 적으로 12월 건설 수주는 연말 공공 예산 집행에 따라 1~11월 평균 대비 70~80% 가량 높은 수준을 보이며(과거 5년 평균 +78%), 이를 감안 시 2020년 건설수주는 역대 최대 수준인 180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2019년에 이어 2년 연속 국내 건설수주 최고치 갱신이며 2021~2022년 건설 투자 확대가 지속될 전망으로 건설업종 전반의 수 혜가 기대된다고 분석.

▷2020년 건설 수주는 10월 누적 기준 145조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간 123조원 대비 20%가량 증가했으며, 올해는 주거용 건축(주택) 수주가 전 년비 50% 가량 증가하며 전체 건설 수주를 견인했다고 설명.

▷NH투자증권은 쌍용 양회에 대해 2021년 하반기 시멘트 가격 인상 가능성 및 순환자원 처리시설 4기 전부 가동 효과 반영, 2020년 코로나19와 장마에 따른 이연 물량(+200만톤) 등으로 2021년 영업이익은 2,868억원(+16.9%, y-y)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에 투자의견을 BUY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7,000원에서 8,500원으로 상향

▷이와 관련 대우건설, GS건설, 남광토건, 동원개발 등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 쌍용양회, 한일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등 시멘트/레미콘 테마, 프리엠스, 두산인프라코어, 진성티이씨, 현대건설기계 등 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한편, 금일 장마감 후 두산중공업은 재무구조개선을 위한 자구안의 일환으로 자회사인 두산인프라코어 지분매각을 위해 현대중공업지주주 식회사-케이디비인베스트먼트주식회사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공시.

1)건설 대표주


국내 대형 건설업체 기업군. 자금과 시공능력을 겸비하고 해외 사업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면서 중소형 건설사와 양극화, 내수경기와 부동산경기, 금리 등에 큰 영향을 받고 있음. 고용창출, 관련사업 파급효과 등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 증권주, 은행주와 더불어 대표적인 대중주로 인식되고 있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주택시장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대형 건설사들은 해외 건설시장 진출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음. 또한,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도 도시형생활주택, 오피스텔, 호텔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 중.

종목명

삼성물산(0.40%)

대림산업(1.46%)

HDC현대산업개발(2.36%)

현대건설(4.21%)

GS건설(8.53%)

대우건설(8.72%)

2)건설 중소형


국내 중소형 건설업체 기업군. 해외건설 부문 등으로 사업이 다각화된 대형 건설사와 달리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국내 주택 시장에 큰 영향을 받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주택시장의 침체로 중소형 건설사들은 연이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간 바 있음. 이후 정부는 지속적인 부동산 활성화 대책을 내놓으며 건설경기 활성화를 도모 중.

종목명

삼부토건(-4.19%)

삼일기업공사(-1.90%)

까뮤이앤씨(-1.66%)

범양건영(-1.13%)

상지카일룸(-0.41%)

삼호개발(-0.12%)

서한(0.32%)

동신건설(0.58%)

진흥기업(0.58%)

금호산업(1.06%)

3)건설기계

건설기계 및 중장비 부품/완제품 생산, 판매업체. 건설기계란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 등의 건설공사에 쓰이는 기계 또는 중장비를 통칭하며, 대표적으로 덤프트럭, 불도저, 굴삭기(포크레인), 로우더, 크레인 등이 있음. 국내외 국가주도 대규모 SOC 사업, 인프라공사 등의 추진에 따라 부각되는 경향이 있음.

종목명

대창단조(-0.30%)

서연탑메탈(0.52%)

흥국(0.72%)

디와이파워(0.84%)

혜인(1.30%)

대모(1.33%)

두산밥캣(2.01%)

에버다임(2.26%)

동일금속(3.21%)

수산중공업(3.8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