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8. 상징적 상호작용과 민속방법론

미여울 2022. 7. 30. 20:54
728x90
반응형

8. 상징적 상호작용과 민속방법론

1. 상호작용이론과 관련된 교육현상
1) 자기충족 예언
- ‘자성예언’ 이라고도 하는데, 예언이 원인이 되어 실제로 예언대로 이루어지게 된다는 뜻으로
기대가 현실로 실현되는 것을 말한다.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피그말리온(Pygmalion)현상-

 

▷ 로젠탈과 제이콥슨(Rosenthal & Jacobson)의 연구
- 방법 : 초등학교 1, 2학년 담임교사에게 평범한 학생을 매우 잠재력이 뛰어난 학생으로
소개하고 학생들을 지도하게 함.
- 결과 : 학업성취도와 지능지수, 호기심, 적극적 성향을 조사한 결과 매우 큰 향상을 보인 것을
확인.
- 시사점 : 교사의 긍정적 기대는 학생들의 지적, 정의적, 사회적 행동의 성장을 촉진한다.

 

2) 사회화
- ‘I’ : 개인의 충동적 성향, 인간경험의 독창적·자발적이며 비조직적 측면
- ‘Me’ : 한 인간 속에 내재화된 타자로 생활환경 속에서 생기는 태도, 가치, 이해, 기대 등과 같은
개인에 의해 파악된 의미일반
- 인간행동은 ‘I’의 충동으로 시작되어 ‘Me’의 규제를 받음으로써 이루어진다.
- 시사점 : 이론위주의 교육이 아닌 민주적·인간적 학교풍토, 문화조성을 통한 내면화가 중요

 

▷ 상호작용-역할학습의 3단계
① 준비단계 : 아무런 의미도 모르고 타인의 행동과 말을 흉내 내는 모방행동만 있다.
② 유희단계 : 소꿉장난을 하며 자신이 맡은 역할의 의미를 이해한다.
③ 게임단계 : 게임의 규칙을 준수하고 타인의 역할을 기대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게 된다.
→ 이렇게 하여 타인의 역할을 학습하고 자기에게 기대되는 자신의 역할을 알게 된다.

 

2. 민속방법론의 개념 및 연구방법

 

1) 민속방법론이란?
- 일상생활에서 당면하게 되는 타인과의 관계를 규정짓는 기본원칙에 대한 연구방법
- 당연하게 느껴지는 행위의 규명에 초점을 두고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이 사는 세상에 대하여
공통된 정의를 내리는 과정을 고찰하는 연구방법이다.

 

2) 민속방법론의 개념
- 미국의 사회학자 가핑클(Garfinkel)에 의해 최초로 사용되고 슈츠(Schutz)를 거쳐
기어츠(Geertz)에 의해 정교화
- 기어츠(Geertz, 1969) :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의 일상적 행위를 합리적으로 설명 가능한, 즉
‘해석 가능한’ 일상의 행위로 만들어가는 방법을 연구

- 카람지트(karamjit, 1996) : 사람들의 일상경험의 묘사와 설명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데 사용할
사회적 질서를 발견하는 방법
사회구조란 전통사회학과 달리 외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를 통해
구성된다고 봄으로써 거시적 관점이 아닌 미시적으로 행위자들이 어떻게 사회질서를 성취해
가는가에 대해 관심을 가짐

 

3) 민속 방법론의 핵심개념
(1) 설명(Account)
- 행위자는 생활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별한 상황을 묘사하고 설명하는 것
- 이것이 생활세계를 구축하는 것이므로 실제상황의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사회를 인식하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2) 성찰성(Reflexivity)
- 어떤 문제의 인과론을 따지는 것보다 행위자가 사회구조에 대한 감각과 특정배경에 대한
인지를 바탕으로 성찰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3) 지표성(indexicality)
- 행위자가 일상생활에서 주고받는 담화, 몸짓, 신호, 기타 정보들이 특정맥락에 의존하여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표현의 객관화보다 그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4) 민속방법론의 방법 전략
(1) 총체적 접근방법으로 전체적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파악
(2) 탐색적·개방적으로 문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항상 탐색과정을 통해 수정될 수 있음
(3) 복합적 탐구방법이나 기술을 활용
(4) 문화주체자의 의미의 관점에서 사건을 보려는 노력

 

5) 민속방법론의 문제점
(1) 지나치게 편협한 문제에 집착해 왔다.
(2) 일상적 생활세계에 편재하고 있는 갈등과 대립을 과소평가함과 동시에 합의와 질서만을
기술해 왔다.
(3) 사회적 행위를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을 외면한다.
(4) 사회 및 역사 발전의 뚜렷한 궁극 목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현상의 기술에만 집중하는
취약성을 갖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