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1.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

미여울 2022. 7. 26. 14:51
728x90
반응형

1.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

 

1.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

 

1) 인간에 대한 이해
§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 인간은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는 복잡한 존재

 

(1) 인간의 본질
n 성선설
Ÿ 인간은 누구나 선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Ÿ 성인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는다면 어린이는 착하고 자유롭게 성장하게 될 것.
Ÿ 맹자, 루소

 

n 성악설
Ÿ 인간은 태어날 때 도덕적으로 악한 충동을 지니고 있어, 본질적으로 악한 행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Ÿ 교육적인 제재를 가함으로 악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Ÿ 순자

 

n 백지설(백포설)
Ÿ 인간은 태어날 때 아무 색채도 띠지 않는 하얀 도화지와 같다.
Ÿ 인간의 심리발달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과 환경이다.
Ÿ 묵자, J, Locke

 

(2) 잠재성의 인간
Ÿ 교육을 통해 인간의 잠재된 가능성을 계발하고 발전.

 

(3) 학습하는 인간
Ÿ 인간의 학습 본능
Ÿ 인간만이 갖고 있는 학습본능
Ÿ 행위는 인간의 학습의 필요에 부응하려는 노력

 

2) 사회에 대한 이해
n 사회란 무엇인가? : 사회는 인간 외부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내면에도 존재.
n 사회가 존재되고 형성되기 위한 조건
① 복수의 구성원이 있어야 한다.
② 사회 구성원이 목적을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
③ 사회는 조직과 구조를 형성한다.
④ 사회적 상호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⑤ 구성원의 사회공동체 의식의 형성되어야 한다.

 

2.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

§ 교육과 사회 및 사회학의 개념에서 공통되는 요소 ‘인간’.
§ 개인은 사회의 산물인 동시에 그 사회를 만들기도 하는 쌍방적 관계.
§ 인간에 대한 이해느 심리학적 이해와 사회학적 이해로 나뉨

The Humanist's Sonnet                                                     (by Anthony Rudolf)
I am determined by my class
I am determined by my sex
I am determined by my God
I am determined by my genes
I am determined by my unconscious
I am determined by my childhood
I am determined by my death
I am determined by my climate
I am determined by my homeland
I am determined by my work
I am determined by my newspaper
I am determined by my deep linguistic structures
I am determined by my extra
I am determined to be free



루돌프의 인간을 노래한 시는 ‘인간의 사회적 피구속성과 자유성’이라는 인간존재과정에서의
본질적 모순을 보여준다.

 

n Peter L. Berger : 인간과 사회와는 피구속성과 자유의지의 대립관계
포로: 인간은 사회의 통제를 벗어날 수 없다.
꼭두각시
- 인간은 ‘사회’라는 무대 위의 꼭두각시.
- 자유롭게 활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활동은 사회적으로 미리 구성된 역할에 따라서
활동하고 있는 것
→ 사회적 각본을 의식하지 못한다.
주체적 인간
- 사회적 통제를 벗어나 자유롭게 인간의 의미와 역할을 스스로 형성.

 

3. 교육과 사회와의 관계


1) 교육의 개념을 어떤 관점의 차이
▷ 교육의 개념을 어떤 관점으로 보는가에 따라 다르다.

 

l 사회화 개념
- 교육은 목적과 그것을 달성하는 수단에 있어서 사회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없다.
l 공학적 개념
- 사회화의 개념에서 전제한 사회와 교육의 관계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l 전통문화에의 입문으로 보는 경우
- 사회화의 개념과 공학적 개념보다는 느슨한 사회와 교육의 관계를 전제한다.

 

2) 교육과 사회의 피구속성과 자율성
w 기본적 관계 : 교육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속성을 갖는다.
w 수동적 관계 : 교육은 사회(정치, 경제, 사회,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w 능동적 관계 : 교육도 사회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 영화로 보는 교육사회학
Ÿ 제 목: 에린 브로코비치(Erin Brockovich, 2000)
Ÿ 감 독: 스티븐 소더버그(Steven Soderbergh)
① 영화에서 ‘에린 브로코비치’의 주인공 에린이 대기업과 맞설 수 있었던 것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② 실제 이런 사회적 상황들, 즉 사회의 불합리한 것은 많은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우리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떤 자세를 취하겠는가?

<추가보충자료 : 추천 도서>
피터 L. 버거/한완상 역(1997). 『사회학에의 초대』. 서울: 현대사상사.
: 피터 버거의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책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