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복지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등 청소년복지론 요약 정리 37. 청소년복지 정책 및 행정 Ⅰ

미여울 2022. 7. 9. 10:27
728x90
반응형

37. 청소년복지 정책 및 행정 Ⅰ

 

1. 청소년복지의 주요 행정기관
- 보건복지부 외 23개 부에서 청소년 관련 행정업무
- 2008년 정부의 조직개
에 따라 전 보건복지부의 아동정책, 여성부의 보
육정책, 국가청소년위원회의 청소년 정책을 통합하여 보건복지부 아동청소
년정책실로 개

- 2010년 3정부 조직의 재개으로 청소년 업무가 다시 여성가족부로 이
관되
으며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 하에 청소년정책과, 청소년 역
개발과, 청소년교과, 청소년자립지원과, 청소년보호과에서 업무를 관장함

 

2.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

 

가. 설치 경위
- 청소년 업무를 전했던 최초의 정부조직 : 1988년 치된 체육부의 청
소년국
. 같은 해 청소년 관련 최초 합법률인 청소년육성법을 시행
- 1991년 청소년국
청소년정책조정실로 대 개
- 1993년 3문화체육부 청소년정책실로 변화
- 1997년 3
청소년보호법의 제정
- 1997년 7
청소년보호법을 시행할 청소년보호위원회를 문화체육부에

- 1998년 2정부 조직의 개으로 청소년정책실이 청소년국으로 변화되어
문화관광부에
치됨
청소년보호위원회는 국무총리실로 소이 변경되어 활동하
- 2004년 12
17일 국무총하 청소년위원회 치방안 정·발
- 2004년 1220일 청소년위원회 진단을 구성·
- 2005년 3
24일 청소년위원회 치를 위한 관계법(청소년기본법, 청소
년보호법, 정부조직법)을 개정·공포
- 2005년 4
11일 청소년위원회 직제를 제정하고 공포
- 2005년 4
27일 국무총하 국가청소년위원회 발족
- 2008년 3
청소년기본법의 개정과 정부 조직의 개으로 전 보건복지
부의 아동정책, 여성부의 보육정책, 국가청소년위원회의 청소년 정책을
통합하여 보건복지부 아동청소년정책실로 개

- 2010년 정부조직법의 개정에 따라 ‘청소년 보호위원회’ 업무가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의 청소년정책관의 청소년보호과로 이관됨

 

3. 아동 및 청소년정책의 변천 과정

 

가. 아동정책의 변천
- 1961년
아동복리법의 제정
실질적으로 해방 으로 인한 고아, 기아, 부아들을 위한 군사
(1946년)에서부시작됨
- 아동정책의 구분
1) 아동복지 태동기
- 1950~1960년대 응급구호와 아동복리법 제정을 통한 요보호아동복
지의 법제화를 이

2) 아동복지 제정기
- 1970년대 국가중심체제 구을 위한 다양한 법률 공포
3) 아동복지 전환기
- 1980~1990년대 아동복지법 개정 이구호의 성격 탈, 복지 제공에 초

4) 아동복지 성
- 2000년대 이아동의 인권과 권리, 아동의 안전 등 보적 서비
스를 지향
5) 아동복지의 태동기(1950~1960년대)
- 1950~1960년대 해방 으로 인한 고아, 기아, 부아들 발생
으로 이러한 아동에 대한 응급구호의 성격이 강

- 1946년 군정법
제112호에 따라 아동노동법제정, 현 보건복지
가족부의 시초라 할 수 있는 보건
생부 신, 이후 후생시설 설
치 및 영에 대한 법제정
- 1948년 사회부에 부녀국 신

- 1957년 아동과 신설. 아동복지를 위한 기반 마련
-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으로 본격적인 국가 지원 시작
요보호아동을 중심으로 가족 별적 차원에서의 국가의 지원을 실시
- 요보호아동에 대한 지원이 대부분, 외국 단체의 재정에 의

지만 복지서비스를 국가의 책임으로 인식하기 시작
6) 아동복지의 제정기(1970년대)
- 기외국 단체의 재정에 의했던 해외원조의 감소와 함께 국가
적인 지원이 강화되
시기
- ‘모자보건법’ ‘
양특법’ 등 아동복지 관련법이 차로 공포되는
등 아동보호정책이 국가중심체제로 전환됨
- 한계
: 별주의 원각한 아동서비스 제공
7) 아동복지의 전환기(1980~1990년대)
- 응급구호와 요보호아동뿐 아니라 보주의에 각한 아동복지로의
전환
- ‘유아교육진
법’(1982)과 ‘영유아보육법’(1991)의 제정. 영유아의 교
육과 보육 부분이 전문화되어 분리됨
- 1981년 아동복리법이 ‘아동복지법’으로 개정되
서 복지관련 법
들의 제정. 의 구호적 성격이 아복지적 측면의 서비스로
이 전환됨
- 보건사회부
사회복지정책실 신설. 보육과 아동보건 복지 등 관할

8) 아동복지의 성기(2000년대 이후)
- ‘아동복지법’의 전개정
- 아동의 인권과 권리, 안전 등 보
주의적인 장에서 모든 아동에
대한 지원을

- 유아교육 : 교육과학기술부, 가족지원
업무 : 여성가족부, 아동복지
: 보건복지부로 관할부
가 분리됨
- 2010년 3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부에서 아동 복지와 보육, 청
소년, 가족지원 등의
업무를 통합하여 수행
-
전 보건복지가족부의 청소년·가족기능을 여성부로 이관
- 영·유아를 포함한 아동기능은 보건복지부의
사회정책실
에서 아동복지과, 아동권리과, 보육정책과, 보육사과, 보
육기반과 등의
업무를 수행


나. 청소년정책의 변천
1) 1단계(1948년 8
~1964년 9)
- 청소년정책을 조정하는 기구, 전행정기구의 부재
- 부
별로 청소년과 관련된 정책을 발적으로 했던 것이 전부
2) 2단계(1964년 10~1977년 8)
- 내무부 및 임소장관실에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가 치·영됨
- 주요
업무 : 문제청소년에 대한 제 및 보호 위주의 정책
- 청소년정책의 특
: 부차원의 조정과 보호 위주의 정책
3) 3단계(1977년 8~1988년 6)
- 부차원 조정의 한계를 복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정을 시작
- 국
무총리실에 청소년대책위원회 치, 범정부적 조정을 시작
- 1983년 4
~1985년 1청소년 관련 정책을 문교부 소관으로 이관
1985년 2무총리실로 재이전
4) 4단계(1988년 6~2005년 4)
- 청소년정책 발전의 모태라 할 수 있는 청소년육성법의 시행
- 청소년 관련 전
조직이 치·영되기 시작
- 청소년육성위원회와 청소년국의 신
이는 청소년정책조정실로 대됨
- 청소년
장 제정

- 체육부 체육청소년부로 이 변경되서 청소년 업무의 영역
장되고 청소년정책 활성화됨
-
리나라 청소년정책의 근간이 되는 한국청소년기본계의 수립, 청
소년육성법을 대체하는 청소년기본법 제정
- 청소년정책조정실
청소년정책실로 변경
- 1998
~2002년까지의 청소년육성 5개년 계수립
- 1998년 10
25일 청소년장 제정
- 문화체육부 청소년정책
하에 청소년보호위원회를 별도
- 1998년 2
청소년보호위원회는 국무총하로 이관됨에 따라 청
소년정책은 청소년육성을 전
하는 문화관광부와 청소년보호를 전
하는 청소년보호위원회로 분리
5) 5단계(2005년 4~2008년 2)
- 청소년정책 조직의 통합, 단일 청소년 전조직 출범
- 2004년 12
17일 국무총하 청소년위원회 정 발
- 2004년 1220일 청소년위원회 진단의 구성·
- 2005년 4
27일 국무총하 청소년위원회를 공식 발족
- 2006년 3
30일 청소년기본법 개정에 따라 청소년위원회 국가청
소년위원회로
변경
6) 6단계(2008년 3)
- 정부조직의 개으로 아동과 청소년정책이 통합되어 보건복지가족부로
편입
7) 7단계(2010년 3)
- 정부조직의 개으로 보건복지가족부의 청소년·가족 기능을 여성가
족부로 이관
.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로 편입되어 현재에 이고 있음

 

학 습 정 리
1. 아동정책의 구분
- 아동복지 태동기(1950~1960년대)
복지서비스를 국가의 책임으로 인식하기 시작
- 아동복지 제정기(1970년대)
‘모자보건법’ ‘입양특례법’ 등 아동복지 관련법이 차례로 공포되는
등 아동보호정책이 국가중심체제로 전환됨
- 아동복지 전환기(1980~1990년대)
응급구호와 요보호 아동뿐 아니라 보편주의에 입각한 아동복지로의
전환
- 아동복지 성숙기(2000년대 이후)
‘아동복지법’의 전면 개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