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원예학

방통대 공무원 시험용 시설원예학 핵심 요점 요약 노트 9. 병충해와 생리장해

미여울 2022. 5. 16. 09:24
728x90
반응형

 

제9장 병충해와 생리장해

*주요용어
·수침상 : 잎, 줄기, 과실 등의 비교적 유연한 조직에 물이 스며들어간 것 같은 모양.
·엽소 : 잎이 끝에서부터 말라 검게 변하고 낙엽 지는 생리장해의 하나. 여름철 고온·건조 시에 엽 내 수분의 평형이
무너져 일어남. 상추 등 잎채소에서 종종 나타남.
·추대 : 로제트형을 유지하면서 영양생장을 계속하던 식물이 화아 형성과 동시에 꽃대가 급격히 신장하는 현상.
·선첨과 : 선단부가 뾰족해진 과실.
·약충 :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의 유충. 보통은 유충이라고 부르나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의 유충과 구별이 필요할
때 사용함.
·질산화성균 : 암모니아를 아질산을 거쳐 질산으로 산화시키는 세균.

1. 작물의 생장장해
·병충해와 생리장해
-병충해 : 병원균-바이러스, 세균, 곰팡이/동물-해충, 선충.
-생리장해 : 토양환경, 기상환경, 재배조건, 공해.

 

2. 시설의 병해
·병해발생의 특징
-시설온도(20℃)가 병원균 발육온도와 일치한다.
-저온기 무가온 다습조건에서 잿빛곰팡이병이 다발한다.
-봄철 실내 습도가 낮아지면 흰가루병이 많이 생긴다.
-고온기 비가림은 강우를 차단하여 발병을 억제한다.
-작물도장, 양분결핍, 내성약화로 쉽게 발병한다.
-병원균이 실내로 유입되면 전파속도가 빠르다.
-연작, 연중 이용으로 병원균이 축적되어 그 밀도가 커진다.
-병원균이 연중 활동하며 수명이 길어진다.
-강우차단으로 약제효과가 길고 살포횟수를 줄일 수 있다.
-작물연약으로 농약살포 시 약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수경재배는 병해발생이 적지만 방제대책이 필요하다.
·주요병해
①역병(Phytophthora blight)…토양전염병
-초기 : 동심원상의 작은 윤문 반점→적갈색 작고 검은 점(주위 암갈색).
-줄기 : 지표 부군에서 수침상으로 퇴색하며 갈색의 점액을 분비.
-잎 : 성숙기에 담황색 원형의 병반→흑갈색→동심원상의 윤문.
-박과 채소 : 줄기, 잎, 과실 등 모든 부위에서 발생.
②시듦병(Fusarium wilt)…토양전염병
-뿌리나 지표줄기가 썩거나 줄기의 도관부가 침해를 받아 수분의 이동이 되지 않아 포기 전체가 시드는 병.
-박과채소에서는 시듦병을 줄이기 위해서 접목재배를 함.
-가지과 채소, 딸기, 무, 배추, 시금치에서도 많이 발생.
③풋마름병(Bacterial wilt)
-뿌리에서 발생하여 줄기, 잎 등에 널리 퍼지면서 급격히 시드는데,
병든 뿌리를 잘라 보면 도관 부위가 갈라져 있고 백
색의 세균성 점액이 흘러나온다.
④잿빛곰팡이(Gray mold)
-저온다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하며 작물체의 모든 부위에서 갈색 병반이 생기고 잿빛곰팡이가 핀다.

⑤흰가루병(Powdery mildew)…공기전염병
-
주로 잎에 나타나 밀가루를 뿌린 듯 흰 가루가 잎 전체에 생기며, 밤낮의 기온차가 심하고 건조한 봄과 가을에 많이 발생.
⑥검은별무늬병(Scab)…공기전염병
-저온다습한 조건에서 생장점 부근의 연약한 잎과 덩굴, 덩굴손, 어린 과일 등에 발생한다.
-암녹색의 작은 콩알 크기의 병반이 생기고 진액이 유출되며 진한 회색곰팡이가 생긴다.
⑦노균병(Downy mildew)…바람, 물
-저온다습한 조건에서 기온의 차이가 심할 때 특히 습도가 높았다가 건조해지면 잎의 뒷면에 암회색의 곰팡이가 피면서
발생한다.
⑧바이러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황색반점, 모자이크, 얼룩무늬, 기형과 주름, 요철, 녹황색무늬, 과실굴곡, 엽선단말림, 갈색무늬,
녹색둥근무늬 등 다양한 병징을 보인다.

 

3.시설의 충해
·충해 발생의 특징
-피해가 노지에 비해 적다(시설재배는 주로 저온기, 피복재 차단).
-증식이 노지보다 빠른 경우도 있다(무천적).
-해충발생이 주년적이다(연중 생육적온).
·주요 해충
-진딧물류 : 배설물-그을음 유발, 바이러스 매개(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응애류 : 성충 크기 0.5mm.
-총채벌레류 : 오이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1mm 이하.
-온실가루이 : 1.5mm, 백색파리모양, 외래해충.
-목화바둑명나방 : 박과채소의 잎 뒷면, 과피.
-선충류 : 동물기생 선충과 식물기생 선충.
-식물기생 선충 : 토양에 살면서 식물 뿌리, 잎, 줄기, 과실에 피해-양분박탈, 조직파괴, 병원균 침입, 부패.
-뿌리혹선충 : 분비물-세포의 이상비대와 증식으로 혹 생성.

 

4.병충해 방제
·주요 해충 방제
-경종적 방제 : 환경관리, 합리적 시비.
-물리적 방제 : 토양소독, 가열소독법.
-화학적 방제 : 살충제, 살균제-농약.
-생물적 방제 : 미생물농약, 천적, 페로몬.
*미생물과 잡초종자의 사멸온도

사멸온도(℃) 생물명
100 이상 암모니아화성균
93~100 소수의 잡초종자, 바이러스
70~80 다수의 잡초종자
60~70 다수의 바이러스, 토양해충류, 질산화성균
60 다수의 병원세균, 병원사상균

·가열소독법
-소독대상 : 역병, 덩굴쪼김병, 시듦병-토양전염성(연작장해의 주요인).
-소독법 : 소토법(흙을 적당히 구워 소독), 증기법(토관법, 스티밍플라우, 캔버스호스), 태양열 이용
(고온기에 짚과 석회
질소를 시용한 후, 작은 두둑을 만들고 수분을 적당히 공급한 다음,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멀칭).
-소독온도 : 열처리 기준은 70~80℃, 20~30분, 유용미생물을 고려하여 60℃, 30분.

·태양열소독법
-7~8월, 짚 1~2톤, 석회질소 100~150kg/10a.
·미생물농약-예방위주, 발병초기 처리
-병원균의 발아와 생장을 억제하는 근권 토양미생물의 분리, 배양하여 만듦.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 : 기생, 항생물질 생산,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슈도모나스(Pseudomonas) : 영양분 경쟁, 화상병, 서리 피해, 토양 병해.
-바실루스(Bacillus) :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 억제, 흰가루병, 노균병.
-예방 위주, 발병초기 처리.
-방제효과 : 40~70%.
-적절한 농약과 혼용.
·천적의 이용
-기생성 천적 : 기생벌, 기생파리.
-포식성 천적 : 무당벌레, 풀잠자리, 포식성응애.
-병원성 천적 : 세균, 사상균(곰팡이류), 바이러스.
*시설작물에 이용할 수 있는 천적

대상 해충 도입 대상 천적
점박이응애 칠레이리응애(저온), 긴이리응애(고온)
온실가루이 온실가루이좀벌(저온), 황온좀벌(고온)
진딧물 콜레마니진딧벌, 무당벌레
총채벌레 애꽃노린재류(큰 총채벌레 포식), 오이이리응애(작은 총채벌레 포식)
나방류 명충알벌, 쌀좀알벌
잎굴파리 굴파리좀벌(큰 잎굴파리유충), 잎굴파리고치벌(작은 유충)

·천적 이용 시 유의사항
-처음부터 무충묘를 사용한다.
-외부해충의 내부 침입을 막는다.
-천적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
-천적에 안전한 농약을 사용한다.
-천적은 가급적 조기에 투입한다.
·페로몬 트랩의 이용…
시설재배에서는 주로 나방류 해충의 포살에 이용.
-페로몬(pheromone) : 곤충들이 냄새로 의사를 전달하는 신호물질.
-phereine(운반하다)+horman(자극하다)
-개체 간에 나타나는 행동반응에 따라 :
성페로몬(나방류), 집합페로몬(개미, 벌), 경보페로몬, 길잡이페로몬.
-깔때기형트랩(큰 나방류), 끈끈이트랩(작은 나방류), 수반트랩(담배나방).
-수컷나방 유인
-교체시기 : 30일, 트랩수 : 60평(200m²당) 1개.
-설치시기 : 발생 7~10일 전, 시설중앙의 높이 : 1.5~2.0m.
·그 밖의 방제법
-적온과 적습 유지, 출입구 소독판 설치, 이병주 소각 및 매장, 멀칭(토양전염차단), 방충망 설치, 윤작, 제초, 담수처리.
-점적관수, 토양개량, 밀식회피, 질소질비료 회피.
-광반사필름 멀칭(은백색) : 진딧물, 총채벌레, 굴파리, 오이잎벌레 방제.
-자외선차단 필름 : 잿빛곰팡이, 진딧물, 총채벌레, 굴파리류 방제.
-유황훈증 : 흰가루병 방제.
-동반작물 : 오이-파(오이덩굴쪼김병), 양배추-샐러리(진딧물, 배추좀나방), 메리골드-토마토, 감자, 콩(토양선충, 온실가
루이, 도둑나방).

 

5.시설의 생리장해
·생리장해의 원인-토양환경 불량
①토양반응
-산성토양 : 칼슘의 흡수가 억제되어 토마토의 배꼽썩음병, 셀러리의 속썩음병이 발생.
-알칼리토양 : 박과채소의 순멎이 또는 황화현상이 나타남.
②토양염류
-잎의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리고 잎 끝이 타면서 말라죽는 현상.
-칼슘이나 마그네슘 결핍증.
-딸기의 난형과, 피망의 소형과, 오이의 쓴맛 등이 발생.
③토양온도
-고온 시 : 뿌리의 호흡이 왕성해져 산소부족현상, 칼슘과 붕소의 흡수가 저해되어 토마토의 이상경 발생.
-저온 시 : 양수분의 흡수 저해, 특히 인산과 질산태질소의 결핍증이 나타남.
④토양수분
-부족 시 : 양분의 흡수와 이동이 억제되어 양분결핍증상으로 오이의 곡과나 배추의 엽소현상 등이 나타남.
-과잉 시 : 지온이 낮아지고 산소가 부족하여 양수분의 흡수 억제.
→토양수분이 급격히 변하면 토마토, 수박의 열과현상이 발생함.
·생리장해의 원인-기상환경 불량
①고온장해
-과채류 : 수정장해, 착과불량, 기형과 발생.
-상추 : 추대 촉진.
-근채류 : 뿌리 비대 억제.
-높은 야간온도 : 오이의 선첨과, 토마토의 공동과 등 발생.
②저온장해
-오이의 난장이묘,
딸기와 토마토의 각종 기형과, 피망고추의 버트닝, 무와 배추의 조기추대 발생.
③일조부족(약광)
-토마토의 기형과, 오이의 곡과, 고추의 낙화현상.
④일소현상(강광)
-토마토나 피망 과면에 함몰, 딸기 어린잎에 일소현상, 과면 등에 물방울이 맺히면 볼록렌즈 역할을 함.
·생리장해의 원인-유해가스 장해
-암모니아가스 : 질산화성균 활동 억제.
-아질산가스 : 산성토양, 탈질작용 억제.
-불완전연소 :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그 밖의 가스 : 토양훈증제, 피복제(가소제).
·생리장해의 원인-재배관리 소홀
-살균살충제 : 수정장해, 발아 억제.
-제초제 독성 : 잔류독성, 백화현상.
-생장조절제 : 농도 초과, 중복 살포.
-접목불량묘 : 대목과 삽수의 불친화.
·생리장해 대책
-토양환경 개선 : 퇴비, 석회시용, 객토, 담수 처리.
-기상환경 개선 : 접목재배, 착과제 처리, 인공수분.
-유해가스 배출 : 유기태 비료시비 자제, 강제환기.
-재배관리 개선 : 농약, 생장조정제의 적절한 살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