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3.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목차>
1.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2. 가치와 사실의 문제
3. 과학성(science)과 기술성(art)의 문제
4. 행정학의 정체성(identity)과 패러다임(paradigm)
5. 행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행정학의 학문적 특징
- 사회과학성 : 사회현상을 다루는 과학 <-> 자연과학
- 전문직업성 :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직업성
- 연합학문성 : 학제적 성격 또는 다학문성
- 가치와 사실의 혼합 : 정책결정과 관리
- 과학과 기술의 양면성 : 과학성(science)과 기술성(art)
- 독립된 분과학문성 문제 : 정체성의 위기 문제
-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 일반화의 가능성
2. 가치(value)와 사실(fact)의 문제
가치와 사실의 문제
- 가치중심적 연구
주관적인 평가의식, 선과 악, 또는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 사실중심적 연구
있는 그대로의 객관적인 현상
3. 과학성(science)과 기술성(art)의 문제
과학성 : 경험적 접근법(사실 중심)
- 의의 : - 왜를 중심으로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실증적이고,
통계적/경험적 방법에 의해 인과성, 유형성을 정립하려는
접근법
- 사실중심의 실증적 접근
- 논거 : 사실중심의 객관적 분석
연구자의 주관적 편견이나 가치로부터 해방
- 해당이론 : 행정관리설, 행태론
가치와 사실을 구분하고 행정연구를 사실결정에 국한
- 한계 : 사회문제 처방을 위해 가치판단이 중심이 되는 행정에서
과학성의 완전한 정립은 용이하지 않음
기술성(처방성) : 규범적 접근법(가치 중심)
- 의의 : - 어떻게를 중심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실용성, 실천성,
처방성을 강조
- 행정의 활동자체나 처방행위(D. Waldo)
- 목표의 효율적인 수행방법을 다루는 것(H. Simon)
- 논거 : - 행정현상은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음
- 유동적이고 창조적이며 판단과 경험 등과 같은 무형적인
요인에 의해 좌우되어 과학적 연구 곤란
- 해당이론 : 통치기능설, 발전행정론 등 정치행정일원론에서는
처방과 실천 위주의 기술성 강조
과학성과 기술성의 조화
- 행정학의 학문적 발전과 사회문제 처방을 위해서
선과학 + 후기술에 의하여
- 과학성과 기술성의 조화 필요
- 행정학은 과학과 기술의 양면을 가지고 있음
4. 행정학의 정체성(identity)과 패러다임(paradigm)
의의
- 정체성 : 학문이 독자적인 연구영역(locu)과 주제(focus)를 갖춘
완전한 paradigm을 가지는 것
- paradigm : 학문을 연구하는 독자적인 개념적 도식, 분석틀
학문을 바라보는 시각
- T. Kuhn의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정상과학 = 파라다임
행정학의 패러다임
- Wilsonian paradigm
- N. Henry의 패러다임 변화(locus/focus)
패러다임의 구성요소(locus/focus)
- Locus : 행정이 이루어지는 장소/소재/영역
어디서 하는 업무인가
- Focus : 행정에서 전문화된 주제, 준칙, 내용, 원리
무엇을 하는가
정체성의 위기
- 의의 : 행정학이 타학문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paradigm을 갖지
못하는 현상
- 정체성의 위기에 대한 논의
1970년대 Minnowbrook회의를 기점으로 신행정론은 미국행정학
이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비판
- 정체성의 위기의 극복방안
전문직업성의 확립
행정학과 정치학의 보완
학제적 연구,
격동에의 대응 등
5. 행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보편성
- 각국의 역사적 상황이나 문화적 장벽을 뛰어넘어 일반적/보편적
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
특수성
- 행정이론이 각각 독특한 성격을 갖는다는 것
조화
- 문제해결을 위해서 외국제도 도입 필요(보편성 때문에)
- 상황의 유사성을 확인해 보는 것 필요(특수성 때문에)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