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제 2 장 성읍국가와 연맹왕국
제 2 장 성읍국가와 연맹왕국
[ 제1절 청동기의 사용과 성읍국가의 성립 ]
1. 청동기의 사용 (B.C. 10세기 ∼ B.C. 4세기)
ㆍ비파형동검, 다뉴조문경, 무문토기, 고인돌(支石墓) ⇒ 송화강, 요하유역, 한반도
2. 청동기인의 생활 - 구릉지대 생활 (농경생활)
ㆍ청동제 도끼, 칼, 공구
※ 청동제 농구는 발견되지 않음
ㆍ벼농사 시작 : 반달돌칼(半月形石刀) - 추수할 때 이삭 자르개
홈돌자귀(有溝石斧) - 땅을 가는 기구
ㆍ조, 수수, 보리 등도 경작 (벼는 중국에서 전래 추측)
ㆍ움집 : 화덕자리는 모서리에 위치, 두 개 있는 경우도 있음
ㆍ고인돌(支石墓)과 돌널무덤(石棺墓)
- 마제석검, 청동기 발견
3. 성읍국가의 성립
ㆍ권력 집중 ; 청동기 소유, 고인돌
[ 제2절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
1. 고조선사회의 성장
ㆍ고조선(요하와 대동강 유역), 부여(송화강 유역), 예맥(압록강 중류 지역)
임둔(동해안 함흥평야), 진번(황해도), 진국(한강이남)
2. 철기의 사용 (B.C. 4세기)
ㆍ대동강 유역 → 일본 야요이 문화
ㆍ농구의 발달, 철제무기
ㆍ세형동검, 청동과(창) - 독자적인 양식
ㆍ다뉴세문경
ㆍ온돌 문화 시작(움집), 목조가옥
ㆍ널무덤(土壙墓), 독무덤(甕棺墓)
ㆍ중국 문화의 영향 - 명도전, 오수전, 왕망전(김해패총)
3. 위만조선
ㆍ한(漢)과 대립
ㆍ한 武帝의 침략 (B.C. 109) ⇒ 1년후 멸망 (B.C. 108)
4. 한의 군현
ㆍ한 4군현 설치 (낙랑,진번,임둔) + 현도(濊의 땅)
- 20년후 진번, 임둔 폐지 (B.C. 82) ← 토착 세력의 반발
현도군의 만주로 이동 (B.C. 75) ← 고구려 신흥세력
- 후한 공손씨 대방군 설치 (옛 진번군 땅)
- 고구려에 의해 낙랑군 소멸 (A.D. 313)
백제에 의해 대방군 소멸
ㆍ목곽분(木槨墳), 전축분(塼築墳)
ㆍ고조선 시대의 8조목 → 60여 조목
[ 제3절 여러 연맹왕국의 형성 ]
1. 부여
ㆍ중국과 우호, 고구려와 적대
ㆍA.D. 494년 멸망
2. 고구려의 등장
ㆍA.D. 1세기초 “王” 칭호
ㆍ태조왕(53∼146?)
- 옥저 복속, 요동 공격
3. 진한과 삼한
ㆍ고인돌, 간돌검(마제석검) 부장
ㆍ한과 직접 무역원했지만 위만조선의 방해로 좌절
ㆍ철제농기구, 청동검, 붓
[ 제4절 연맹왕국의 사회와 정치 ]
1. 촌락과 농민
ㆍ농업
- 밭농사 : 잡곡재배
논농사 : 벼재배 ⇨ 저수지
- 신농제 : 5월 씨뿌린후
추수감사제 : 10월 추수후
ㆍ목축성행 (관직이름에 동물이름)
- 부여 : 소·말·돼지·개
삼한 : 소·말·닭
ㆍ어로 - 반구대 암각화 (고래 등 물고기 그림)
2. 성읍국가의 구조
ㆍ양인 신분이 대다수
ㆍ지배자(豪民) : 부족장
- 부여 : 가(加성)
고구려 : 형(兄), 상가(相加)
옥저·동예 : 삼노(三老), 거수(渠帥), 읍군(邑君)
삼한 : 신지(臣智), 읍차(邑借), 험측(險側), 불례(不例)
ㆍ노예
3. 왕권의 성장
ㆍ성읍국가 → 연맹왕국 → 중앙 집권적 지방통치 체제
- 부여의 四出道, 고구려의 5部 (고국천왕)
ㆍ형제상속 → 부자상속
ㆍ大加 : 정치적인 권력 소유자
- 使者 거느림 ⇨ 연맹체적인 遺制
고구려 : 使者,조의(皂衣),先人
- 순장 ⇦ 많은 노예 거느림
[ 제5절 연맹왕국시대의 문화 ]
1. 법률 - 단순, 엄격
ㆍ고조선 8조목
- 사람을 죽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
- 남에게 상해를 입힌자는 곡물로서 배상한다.
- 남의 물건을 훔친자는 데려다 노비로 삼는다.
단, 스스로 속죄하려는 자는 1인당 50만전을 내야한다.
ㆍ부여의 4조목
- 사람을 죽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데려다 노비로 삼는다.
- 절도를 한 자는 12배의 배상을 갚는다.
- 간음한 자는 사형에 처한다.
- 부인의 질투를 특히 미워하여 이를 사형에 처한다.
시체를 가져 갈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한다.
ㆍ살인과 상해에 대한 처벌 - 개인의 생명과 노동력 존중
ㆍ절도에 대한 처벌 - 사유재산 존중
ㆍ간음과 질투에 대한 처벌 - 가부장적인 가족제도
2 종교
ㆍ제정일치 → 종교 분리(주술사→제사장)
ㆍ삼한 : 천군(제사장) - 소도(蘇塗)주관
ㆍ추수 감사제
- 부여 : 영고 (12월)
고구려 : 동맹
삼한 : 시월제 (10월)
동예 : 무천
ㆍ신농제 (5월)
ㆍ영혼 불사 ⇨ 장례를 후하게 지냄 (부장,순장,후장)
- 조상 숭배사상
ㆍ점복(占卜)의 습관
3. 예술
ㆍ청동 장식구 - 사실적인 조각, 기하학적 무늬
ㆍ암각화
- 고령 양전동 : 동심원, 십자형, 가면
- 울주 천전리 : 원, 삼각형, 능형(菱形) 무늬에 동물그림
반구대 : 고래·거북·사슴·범·곰·멧돼지·토끼, 사냥장면, 고래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