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제 1 장 원시공동체의 사회

미여울 2021. 9. 30. 11:23
728x90
반응형

 

1 장 원시공동체의 사회

 

[ 1절 구석기 시대 ]

 

1. 구석기 시대 - 동굴, 바위그늘, 평지(집터)

함북 󰠆 웅기 굴포리 두만강

󰠌 종성 동관진 맘모스, 코뿔소 화석, 석기, 골각기

평남 󰠆 덕천 승리산동굴 아래턱뼈

󰠐 평양 만달리동굴 머리뼈, 아래턱뼈

󰠌 평양 상원 검은모루동굴

황해도 평산 해상동굴

경기도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아프리카 아술리안형 도끼와 유사)

충남 - 공주 석장리 집터(화덕자리,후기구석기)

충북 󰠆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인골(상시인)

󰠐 청원 두루봉동굴 어린이뼈(홍수아이인)

󰠌 제천 점말동굴

강원도 명주 심곡리

제주도 빌레못동굴

 

2. 구석기인의 생활과 문화 - 수렵, 채취생활

사냥도구 -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요리도구 - 긁개, 밀개

공작도구 - 새기개

 

 

[ 2절 신석기인의 등장 ]

 

1. 신석기인의 등장 (B.C. 4000 B.C. 10세기)

전기 (BC 6000) : 원시 민무늬토기(原始無文土器), 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

- 함북 굴포리, 평북 만포, 강원도 오산리, 부산 동삼동, 경남 상노대도

(만주 흑룡강 중류, 대마도)

중기 (BC 4000) :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 함북 굴포리, 평남 대동 청호리, 서울 강동 암사동, 경기도 양주 미소리, 부산 영도 동삼동

(요동반도, 송화강 유역, 몽고, 발해주)

후기 (BC 2000) : 平底즐문토기, 물결무늬토기(波狀文土器), 번개무늬토기(雷文土器)

중국 칠무늬(彩文土器) 영향받음

- 함북 청진 농포동, 평남 온천 궁산리, 황해도 봉산 지탑리, 경기도 부천 시도,

강원도 춘천 교동

 

2. 신석기인의 생활 - 강가, 바닷가, 내륙지방(후기)

어로 - 돌로 만든 그물추(石錘), 작살, 낚시, 조개잡이

사냥 - 돌로만든 화살촉, - 사슴, 노루, 멧돼지

과일채집

농경시작 - 괭이, 반달돌칼(추수용)

, 기장, 조 같은 밭곡식 재배

주거지 - 움집, 원형정방,장방형 변화

가운데 화덕자리, 저장구덩

뼈바늘, 가락바퀴(직물), 꾸미개

 

 

[3절 신석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

 

1. 씨족 공동체의 사회 - 취락을 이루고 집단생활, 자급 자족하는 경제 독립체

기본 사회 단위 - “씨족촌락을 이루고 삶 (혈연중심)

) 혁거세의 전설 - 6

토테미즘 - 자연물과의 친근관계 ; 다른 씨족과 구별지음

) , 호랑이...

씨족회의 신라의 和白

공동 생산활동 두레

 

2. 무속신앙

애니미즘 - 우주의 만물이 영혼을 지니고 있다 ; 영혼 불멸 사상

) 태양, , , 나무

샤머니즘 - 주술 (질병·불행 퇴치)

 

3. 원시예술

토기 - 빗살무늬토기, 번개무늬(雷文)토기

조각품

- 암사동 : 동물모양 토우

- 오산리 : 흙으로 빚은 안면상

- 동삼동 : 눈과 입을 뚫은 패면(貝面), 장식용 구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