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테마주 및 이슈목록

자동차도 무선충전?! 무선충전시스템 특례승인으로 주목받는 무선충전기술 관련 이슈와 수혜주를 주린이도 보기쉽게 정리해서 소개드립니다.

미여울 2021. 9. 13. 11:21
728x90
반응형

* 무선충전기술 이슈 & 특징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 샌드박스지원센터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ICT 규제 샌드박스 심의위원회’를 열었다. 이날 심의위는 10건을 승인했는데 특히 현대자동차가 신청한 '전기차 무선충전 서비스'가 실증특례를 승인 받으며 관심이 주목됐다. 기존 전기차에 충전 방식에 대해 불편함을 호소하는 구매자들이 많았던 만큼, 이번 특례 승인으로 전기차 충전 방식에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질지 기대감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가 신청한 ‘전기차 무선충전 서비스’는 실증특례를 승인 받았다. 전기차에 충전 수신기를 장착하고, 주차장 주차면에 무선충전 송신기를 설치해 차량 주차시 무선으로 충전하는 서비스다. 무선 충전은 85K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데 국내 전파법상 해당 주파수 대역이 전기차 무선충전용으로 분배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었다. 과기정통부는“기존 유선 완속충전기 대비 충전 고객경험 관점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 시킨 신기술로 전기차 보급확대와 전후방산업 활성화가 기대된다”며 실증특례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국내 최초로 상용 전기차에 무선충전 기술을 적용한다. 2021년 4분기에 시범사업을 시행할 예정으로, 시범사업 기간동안 무선충전인프라의 상용화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시장 테스트에 나선다.

현대자동차 제네시스에 도입될 것으로 기대감을 모으는 전기차 무선충전시스템.




전기차와 더불어 전동킥보드 무선충전 스테이션(SKC)도 샌드박스를 통해 시장에 출시된다. 공유 전동 킥보드 이용후 지정된 구역에 주차하면 자동으로 충전하는 서비스다. 무선 충전에 사용하는 125KHz 주파수 사용 여부가 불확실했다. 과기정통부는 전파법에서 규정하는 중심주파수, 전계강도 등 기술 기준을 준수하면 전파응용설비 허가를 받고 사용이 가능하다고 해석했다. 최근 전동 킥보드 이용자 수가 2017년 9만8000대에서 19년 19만6000대로 급증했고, 성장세를 감안했을 때 올해는 25만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배터리충전을 위해 투입되는 운영 업체의 인력·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전동킥보드의 주된 민원 중 하나인 길거리 무단 주차 문제도 일정 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편리함을 갖춘 무선충전 시스템이 이번 승인을 통해 빠르게 보급될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로 KST인텔리전스는 차세대 무선충전 기술 스타트업 에타일렉트로닉스와 퍼스널모빌리티(PM) 무선충전 스테이션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지난 26일 밝힌 바 있다.

규제 승인과 더불어 환경부가 내년도 '탄소중립' 예산안으로 5조원가량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 전체 탄소중립 예산안 12조원의 40%를 넘는다. 우선 수소ㆍ전기차 같은 무공해차를 대폭 늘릴 계획이다. 내년 중에 수소차 2만8000대, 전기차 20만7000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이들을 충전할 수 있는 인프라도 함께 확충하기로 했다. 수소충전소는 올해 56곳에서 내년 100곳으로 늘어난다. 전기 충전기는초급속 30→900기, 완속 8000→ 3만7000기 등으로 각각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환경부는 택배사 등을 대상으로 전기차 무선충전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택배 화물을 싣는 시간 등을 무선충전에 활용해 충전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것으로 보고 있다. 안정성, 비용 등을 검토한 뒤 사업을 꾸준히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규제 승인으로 환경부의 충전소 인프라 확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향후 무선충전소 확충에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선보일 예정인 전동킥보드 무선충전주차시설.








●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LG전자 : 자사 스마트폰을 위해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충전기를 개발.

* LS : 자회사 LS전선이 무선 충전 모듈을 개발. 갤럭시 S2 및 아이폰 4S용 무선 충전기 "차버"를 출시한 바 있으며, 13년 2월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용 무선충전 모듈 개발.

* 알에프텍 : 모바일 부가기기 사업 부문에서 휴대폰 충전기 TA, 무선충전기, 데이터링크케이블, 악세사리류 등을 생산. 생산 제품은 ODM 방식으로 주로 삼성전자에 납품.

* 켐트로닉스 : 무선충전 소재 및 모듈 제조 사업을 영위. 2019년 4월 종속회사 위츠에서 삼성전기 무선충전 및 NFC 칩 코일 사업을 전략적으로 인수하여 수신용 무선충전 사업도 영위.

* 포스코 ICT : 포스코 브랜드 더샵에 첨단 시스템 개발. 특히 아파트 벽면에 충전기를 매립하여 휴대용단말기를 일반 콘센트에 연결하지 않고도 충전을 할 수 있는 벽체매립형 무선충전기를 포스코건설, LS전선과 공동으로 개발.

* 이랜텍 : 무선충전 융합 기술에 대한 국책과제를 진행함.

* 한솔테크닉스 : 한솔그룹 계열의 전자부품 업체. 2014년 11월 스마트폰, 발열 텀블러, 블루투스 스피커, 조명 등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다용도 무선충전패드를 출시. 2015년 하반기부터 휴대폰용 무선충전 RX 모듈사업 진출. 16년부터 삼성페이 RX 모듈이 중저가 휴대폰에 적용 확대됐으며, 18년엔 프리미엄급 모델1st Vendor로써 수주에 성공하며 규모를 확대 중.

* 삼성전기 : 삼성그룹 계열의 종합전자부품 생산업체. 갤럭시 시리즈용 무선충전 모듈 생산. 퀄컴 등 대형 업체 무선충전기술 가운데 하나인 자기공진방식의 표준화를 추진.

* LG이노텍 : 유선 충전기와 동급 성능 구현하는 무선충전 송신 모듈 개발.

* 아모센스 : 무선충전 차폐시트, 무선충전 안테나, 자동차 전장 모듈, Lighting 모듈 및 loT Device 등 소재와 모듈 부문으로 구성된 소재부품 전문업체.

* 삼성전자 : 2013년 출시한 스마트폰 갤럭시S4에 자기유도방식의 무선충전 기술을 적용. 갤럭시S6 이상의 플래그쉽 모델에 무선충전 기술을 탑재.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