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무더위 예상으로 전력 수급난에서 주목 받는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이슈와 주목해야 할 관련 수혜주를 지금 알아보세요~
* 스마트그리드 관련 이슈 & 특징
이른 무더위로 인한 전력수요 증가로 올해 공급 예비전력이 벌써 위험수위에 도달했다. 특히 이번 주는 ‘열돔현상’으로 폭염이 예상되면서 전력수급 비상단계가 8년 만에 발령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그리드 기술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18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12∼16일) 전력공급 예비력은 통상적인 안정 수준인 10GW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 8월 25일 10GW 아래로 떨어진 것과 비교하면 한 달 이상 빨리진 것이다. 지난주 전력 예비율도 10.1∼11.8%에 머물렀다. 예비율은 예비력을 수요로 나눈 백분율로, 보통 10% 이상이어야 돌발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안정적인 수준으로 여겨진다. 또한 지난 15일에는 최대전력 수요가 88.6GW까지 치솟아 올여름 들어 최고치를 찍었다. 2018년 7월 13일 최대 전력 수요(82.1GW)보다 많다. 이른 무더위로 냉방기기 가동이 늘고 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산업용 전력 사용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각계에서는 이상고온과 발전기 고장 등 돌발사태로 인해 예비력이 더 떨어지면, 전 세계 대규모 정전 및 2011년 9·15 순환정전 같은 전력 대란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00년대 미국, 이탈리아의 대규모 블랙아웃 현상, 10년대 베네수엘라, 맨해튼 블랙아웃 현상, 올해 초 텍사스의 400만 가구에 블랙아웃 현상이 발생했다. 국내에서도 11년 9월 늦더위가 오면서 5%대로 급락한 예비율 때문에 정부는 대정전(블랙아웃) 사태를 막기 위해 순환 정전을 시행했다. 특히 이번 주는 폭염이 예상되면서 비상단계 발령 가능성에 무게가 더 실리고 있다. 이날 기상청에 따르면 전남북과 경남, 경북, 충청, 제주 등은 19일 오전까지 비가 오겠으나 비가 그친 후에는 낮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오르는 무더위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그리드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말하는데, 다양한 데이터로 사용하는 전기량을 예측하는 식으로 효율을 높여 에너지 낭비를 막는다. 전기차 전환, 2015 파리기후협약, 2050 탄소중립달성선언, 그린뉴딜 정책 등 하나 같이 모든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우리나라에서 전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인데 나머지 80% 중 절반만 전기로 바꾼다고 하여도 발전, 송전, 배전시설을 현재의 3배 이상 늘려야 함을 알 수 있다.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이 들터인데, 이를 확실하게 줄여줄 방법이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활용한 마이크로그리드이다.
한전KDN은 스마트그리드 시장 규모가 2010년 1,340억 달러에서 2030년 8,7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기업 및 각국은 미래 산업의 핵심인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구글은 본사와 데이터 센터를 마이크로그리드로 운용하고 있으며, 애플은 기존 그리드와 단절 돼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미국 정부 또한 그리드 사업에 285만 달러 상당의 대출 승인을 발표했다. 중국에서는 스마트그리드를 비롯한 IT 부문에 약 120조 가량을 스마트시티 건설에 지원할 방침이다. 우리 정부도 2009년 8월에 지식경제부 산하에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을 출범시키고 제주 실증단지를 구축하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스마트 그리드의 기본 요소인 지능형전력량계(AMI) 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능형전력량계(AMI)
● 스마트그리드 관련주
* 누리플렉스 : 무선통신 솔루션 전문업체. 통신 SW 기반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loT 기반 지능형검침 인프라 솔루션을 주력사업으로 다양한 응용사업 즉, 스마트그리드 및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마이크로 그리드 구축사업을 중점적으로 공급.
* 옴니시스템 : 디지털 전력량계, 디지털 설비미터, 우너격검침 시스템,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영위. 원격검침이 가능한 디지털 전력량계를 국내 최초로 개발.
* 광명전기 : 피앤씨테크 지분 보유. 피앤씨테크와 함께 스마트그리드 구축 및 사업화를 위한 TFT를 구성하여 활동 중.
* LS ELECTRIC : 전기공급 및 전기제어장치 제조업체로 소비자전력관리장치 및 스마트계량시스템을 시범 운영 중. 또한, 원격검침시스템 및 AMI System을 개발하는 등 스마트그리드 시장을 주도.
* 일진전기 : 지능형 원격검침시스템 등의 스마트그리드사업을 영위. 한국철도공사와 15억원 규모의 지능형 원격검침시스템 구축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 피에스텍 : 전력기기사업 영위업체. 2009년 12월 정부 정책사업인 스마트그리드 시범단지인 제주실증단지 사업에 LG전자 컨소시엄과 한전 컨소시엄에 참여.
* 일진홀딩스 : 스마트그리드사업을 영위하는 일진전기를 자회사로 보유한 일진그룹의 지주회사.
* 코콤 : 스마트 홈 시스템, 비디오 도어폰, 도어폰, 인터폰, CCTV시스템, SI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 비츠로셀 : 업계 상위 리튬일차전지 제조업체.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으로 계량기에 사용되는 전지 수요 증가 예상.
* 포스코 ICT : 지식경제부주관의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단지에 참여하여 Smart Renewable 분야의 기술을 실증, 구현.
* 스맥 :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단지 사업 Smart Place 분야의 KT컨소시엄, 한전컨소시엄 두 곳에 함께 참여하고 있으며, 2009년 12월부터 동 컨소시엄과 함께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진행.
* 한전산업 : 스마트그리드 보급사업 진행.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사업에 참여, 디스플레이 장치중의 하나인 IHD보급사업자로 2010년, 2011년에 각각 4,528세대, 5,600세대에 대한 IHD보급을 완료하였음.
* 서전기전 : 고압/저압 수배전반, 자동제어반, 전동기제어반을 제조 및 판매. 스마트그리드시스템사업 영위 중.
* 인스코비 :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영위. 스마트그리드의 핵심기술일 PLC칩 원천기술을 보유한 아이엔에스를 합병한 바 있으며, 한국전력 스마트그리드 사업의 정부정책에 맞춰 사업을 진행 중.
이 밖에 아모그린텍, 아이앤씨, 피앤씨테크, 삼화콘덴서, CS, 이글루시큐리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