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수혜주! 원전동맹 강화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수출 기대감에 따른 관련주 테마주 리스트와 관련 핵심 이슈를 소개드립니다!
* 원자력 관련 이슈 & 정보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해외원전시장 공동 진출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 정상은 공동성명을 내고 "원전사업 공동참여를 포함해 해외원전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최고 수준 원자력 안전·안보·비확산 기준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공동성명과 함께 공개된 요약서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함께 원전 공급망을 구성, 해외원전시장에 공동참여 하기로 약속했다. 이 같은 협력 일환으로 원전 공급 시 국제원자력 기구(IAEA) 추가의정서 가입 조건화를 양국 비확산 공동정책으로 채택하기로 했다.

한국과 미국이 '원전 동맹'을 구축하면서, 국내 원전 수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중국과 러시아가 해외의 신규 원전수주를 싹쓸이하는 가운데 이번 한미 원전 협력을 통해 한국의 수주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은 설계 등에서 원천기술을, 한국은 시공·기자재 분야의 경쟁력이 있다. 양국의 강점을 토대로 시너지가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차세대 원전 '소형모듈원자로(SMR)' 분야에서도 양국 간 협력 가능성이 제기된다.
23일 한국수력원자력은 "한미 정부간 해외원전시장 공동진출 합의가 한수원의 해외 수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면서 지난 21일 성사된 한미 해외 원전사업 공동참여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내부적으로 탈원전 기조를 유지하면서, 국내 원전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 원전 기술은 수출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치고 있다. 한수원이 현재 수주에 뛰어든 해외 원전은 체코 두코바니 원전 1기(1000~1200MW급), 폴란드 6기(총 6000~9000MW 규모),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1·2호기 운영정비와 추가 원전 건설 등이다. 프랑스, 러시아, 미국 등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앞서 한국은 지난달 6일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한 바라카 원전 1호기가 상업운전에 성공함으로써 세계 6번째로 수출 원전이 실제 운영되는 국가로 거듭난 바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해외 신규원전사업에 양국 주요 원전 기업들이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합의를 계기로 기업간 구체적 협력논의가 이어질 것"이라며 "전통 원전 강국인 미국 기업들과 우수한 기자재 공급망을 보유한 우리기업들간 최적의 해외원전 공급망이 갖춰지면 수주경쟁력은 물론 양국 원전 생태계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에 따라 2009년 UAE 원전(4기)에 이어 12년 만에 수출이 성사될지 주목된다.
국내에서 탈원전정책을 시행하는 단계에 있어 엇박자가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에서 국내와 해외의 관련 정책 방향성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미국과의 원전 동맹을 통해 해외 원전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 원자력발전소 관련주 수혜주 테마주 리스트 정리

* 이엠코리아 : 원자력, 수력, 화력발전소 등의 스팀터빈분야에 "고압및 저압용 Valve A'ssy" 와 "Front standard" Rotor a'ssy"등 주요 핵심부품을 국산화개발/납품 진행.
* 이디티 : 방산분야 전자/제어 전문업체로 민수부분에서 원자력 발전용 터빈발전기 제어분야 부품들을 개발, 생산.
* DL이앤씨 : 원전 시공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몇 안 되는 국내 건설사 중 하나. 영광원자력 5, 6호기의 주설비공사를 진행하였으며, 영광원전 온배수 저감시설, 고리원전 소내정전 대처설비공사도 준공.
* 두산중공업 : 원자로 용기 제작이 가능한 단조설비를 가진 세계적인 회사 중 하나이며, 국내 첫 원자력발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 발전소 주기기 공급사로 참여.
* 한전KPS :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설비 정비 전문업체. 국내 발전설비정비 선도기업으로서 전력설비정비(화력, 원자력/양수, 송변전, 대외, 해외) 이와 관련되는 기술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영위.
* 에너토크 : 전동액츄에이터 및 감속기 제조 및 판매업체. 주요 제품인 전동엑츄에이터는 발전플랜트, 상하수도 시설, 정수장, 가스회사(정유사), 조선소 및 제철소 등에서 액체 및 기체 등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 장비임.
* 한전기술 :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소 및 플랜트 관련 엔지니어링 업체. 원자력발전소 설계사업의 경우 국내사업은 한국수력원자력이 발주하는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 및 엔지니어링을 맡고 있음.
* 보성파워텍 : 전력산업 기자재 생산 전문업체로 한국형 원자력발전소의 철골구조물을 생산/공급 중.
* 우리기술 : 제어계측 전문업체. 원자력사업의 경우 원자력발전소의 감시, 경보, 제어시스템을 100%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공급. 특히 원전의 핵심기술인 계측제어설비(MMIS)는 국산화에 성공하여 세계 4번째로 원전핵심기술 보유.
* 비에이치아이 : 발전용, 제철용 산업설비 설계/생산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HRSG, 보일러, B.O.P 등.
* 조광ILI : 산업용 밸브 생산업체로 조선기자재, 원자로설비, 석유화학플랜트, 반도체 설비 등에 사용되는 특수밸브와 일반밸브를 생산, 판매.
* 한국전력 :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판매,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기타 사업을 영위.
* 광명전기 : 수배전반, 가스절연개폐장치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로 원자력 발전소에 수배전관을 납품.
* 한양이엔지 : 원자력 사업참여 필수 인증인 전력산업기술기준인증을 획득하고, 원자력 발전 설비부문 중 폐수처리설비 담당.
* 오르비텍 : 원자력사업, ISI사업, 항공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원자력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선안전관리, 방사성폐기물 규제해제, 방사선 계측사업 및 관련제품 생산/판매 등을 영위.
* 태웅 : 원자력발전 주기기에 소요되는 단조품을 생산.
* 현대건설 : 국내 원전 건설의 선두주자로 국내 최대 시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신고리 1, 2호기와 신고리 3, 4호기 시공에 대표사로 참여 중에 있으며, 국내 첫 원자력발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시공에도 참여함.
* 성광벤드 : 관이음쇠 전문 제조업체. 조선업, 석유화학 플랜트사업, 원자력공사, 발전설비 산업 등에 쓰이는 금속관이음쇠를 생산, 판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이 밖에 효성중공업, 에스앤더블류, 디케이락, 한신기계, 일진파워, 비엠티, HRS, 금화피에스시, 태광, 하이록코리아, LS ELECTRIC, 에이프로젠 KIC, SNT에너지, 대우건설, GS건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