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사, 농학과, 귀농, 지도사 대비 초지학 요약 정리 - 7. 초지조성
제 7 장 초지조성
7.1. 초지의 종류와 특성
7.1.1. 초지의 종류
ㅇ 세계초지의 종류 : 사바나, 프레리, 스텝, 고산초지
7.1.2. 초지조성의 종류

1. 경운초지조성(집약초지조성) : intensive sowing method
2. 불경운초지개량법(간이초지개량법) : shortcut surface sowing method
7.1.3. 초지조성사전 절차
ㅇ 적지 선성 : 각종 허가절차를 거침, 최소면적 : 3ha
ㅇ 임대시 5년 이상 장기임대, 임대료는 토지가격의 1/100 이내, 소유권 양도시 임대계약 유지조건 초지조성
7.1.4. 초지조성 설계
<표 7-3> 토양상태에 따른 초지조성방법(농진청, 1982)
구분 |
경운초지 |
불경운 초지 |
부적지 |
지형 |
평탄, 구능, 단구, 대지 |
산록, 산복, 구릉 |
산악지 |
경사 |
30% 이하(160) |
60%(300) |
60%(310) |
유효토심 |
50cm 이상 |
20cm 이상 |
20cm 이하 |
7.2. 경운초지조성
7.2.1. 초지조성의 원칙
1. 정착의 의미 : 유식물이 배아의 양분의존에서 탈피 스스로의 광합성으로 독립영양상태로 들어가는 것
2. 정착시기 : 두과는 본엽 2개, 화본과는 본엽 3개 나온 상태
3. 정착의 단계
ㅇ 유식물 정착 : 파종 후 4-8주상태
ㅇ 약령식물 정착 : 유식물기로부터 파종년도 말까지의 상태
ㅇ 최종정착 : 목초가 완전히 정착되는 시기로 첫 수확년도 말까지의 상태
4. 정착관여 요인
ㅇ 내적요인 : 유식물 활력
ㅇ 외적 요인 : 토양수분, 양분, 산소, 장애물, 초종
5. 초지조성 유의사항 : 토양 산도조절용 석회시용, 종자를 토양과 밀착, 화본.두과 혼파
7.2.2. 초지조성의 절차
ㅇ 작업과정 : 초지조성허가(군청)-장애물제거(벌목)-석회1/2 시용-경운-석회 1/2 시용-쇄토-정지-기비시용-파종-복토-진압
ㅇ 총비용 50%보조, 50% 융자로 초지조성
1. 장애물 제거
- 선점식생 제거, 평탄작업, 방풍림, 대피림을 잔류
2. 경운.쇄토.정지
- 방법 : 트랙터에 장착한 플라우, 깊이는 10-20cm로 경운, 석회는 경운전 1/2,경운 후 1/2 시용, 쇄토는 원판해로, 치간 해로를 이용
3. 시비
ㅇ 목초의 특성 : 1) 다비작물 2) 년간 3~4회 이용 3) 다년생 작물
1) 인산
- 우리나라 산지토양 : 인산결핍
- 목초 : 일반작물보다 인산요구량이 많다(특히 콩과)
- 인산의 특성 : 산성인 경우 용해 어렵고, 흡수이용율 질소, 칼리의 1/2-1/5
- 이용성이 낮은 이유 : 토양 중 Al, Fe를 만나 불용성이 되기 때문
- 시용량 : 200-300kg/ha
2) 칼리
- 보통 점질 토양에 충분-배수불량지, 습지는 적게 함유
- 역할 : 1) 광합성에 관여 2) 섬유소 분자 구성분 3) 월동율 향상
- 시용량 : 60-80kg/ha
3) 질소
- 혼파초지 조성시 반드시 필요
- 과량시용시 잡초우점 우려, 염해
- 시용량 : 70-90kg/ha
4) 미량요소
- 종류 : 1) 다량요소- 마그네슘, 황 2) 미량요소-철, 망간, 동, 아연, 몰리브덴, 붕소
- B(붕소) : 우리나라 토양에 결핍(특히 앨팰퍼 재배시), 시용량 10-30kg/ha
ㅇ 산성에 강한 것 : 톨페스큐, 리드 카나리그래스, 버즈풋트레포일, 헤어리베치
ㅇ 산성에 약한 것 : 알팔파, 스브드브롬그래스
4. 파종
1) 종자의 구입
- 발아율 조사 발아세 조사-우량종자 파종(80-90% 발아율)
2) 혼파의 잇점 및 혼파조합
- 혼파의 이점
1) 가축에 영양분 균형유지(두과와 화본과)
2) 무기질 비료의 절약
3) 공간활용의 극대화(상번초 + 하번초)
4) 토양중 양분이용의 극대화(콩과-칼슘, 인, 칼륨. 화본과-질소)
5) 계절적 목초의 균등 생산(생육시기 다른 목초의 혼파)
6) 목초생산의 풍흉 경감(서로 다른 성질의 목초 재배)
7) 건초제조의 용이(화본과 +콩과)
- 혼파조합의 기본원칙
1) 화본과 한종류 + 두과 한종류는 최소한 혼합
2) 단순혼파-4초종 이내
3) 처음에 의도했던 바의 적응성이 있는 초종 혼파
4) 방목초지-기호성 유사한 것끼리 혼파
5) 경합능력 유사한 것 혼파
6) 단위면적당 총종자량을 많게
7) 억압력이 높은 초종을 적당히 혼파
* 억압력 지수 : 유식물의 생장비율을 서로 비교한 것
* 억압력 지수 큰 것 : 화본과 이탈리안라이그래스, 두과 레드클로버
3) 파종시기
∙정착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파종시기(토양수분, 잡초발생)
∙최적 파종기 : 8월 말-9월 초
4) 파종깊이
∙출현 및 정착부진의 원인 : 불충분한 수분 +부적절한 복토
∙기계파종 : 롤라에 의한 파종
∙파종깊이 : 0.6~1.3cm
5) 조성한 초지의 초기관리
- 목초 종자는 아주 작아 외부 충격에 약함
- 유식물이 토양과 잘 접촉하여 토양수분 흡수를 용이하게 관리(핵심)
- 양 수분의 경합은 정착에 아주 불리->롤러에 의한 진압, 가벼운 방목
7.3. 불경운초지 조성
7.3.1. 특성
1. 불경운 : 갈아엎지 않은 상태에서 간이적으로 지표처리를 한 후 목초를 파종
2. 적응지역 : 경사 심한 곳, 장애물 많은 곳, 토심이 얕거나 표토유실 위험 있는 곳
- 국토 : 65%가 임야
- 0-30도 사이의 국토면적 : 120만 ha 중 16-36도 사이의 산야가 대상
7.3.2. 불경운초지 개량의 장․단점
ㅇ 장점
1. 파종비용저렴(무경운, 무쇄토, 무정지)
2. 토양침식 위험성 경감
3. 경사도 높은 지대에 초지조성
4. 잡초발생의 기회 경감
5. 파종에 기후영향 적게 받음
6. 초지생산기간 연장
7. 긴급, 복구시 이용가능
ㅇ 단점
1. 목초 정착부진
2. 개발효과 저조
3. 수량증가 저조
4. 목양력 증가 저조
7.3.3. 개량의 원리
1. 최초방법(뉴질랜드방법) : 숲에 불을 놓고 타고 난 그 재 위에 파종
2. 제2차 방법 : 콩과목초 파종(질소이용)->화본과 파종
- 제2차 방법의 문제점 : 콩과우점에 의한 영양불균형, 고창증 발생 우려
3.현재의 방법 : 콩과+화본과 동시 파종
ㅇ 필수과정
1) 토양 중 결핍성분 보정
2) 선점야초나 관목제거
3) 목초종자와 토양과의 접촉유지
4) 계속적인 관리. 이용
7.3.4. 초지조성 과정
1. 과정 : 초지조성허가-장애물제거-화입-석회·비료살포-파종·갈퀴질-진압
2. 가장 어려운 작업 : 장애물(나무) 제거 작업
3. 나무 제거시 유의점 : 지면에 가깝게, 지면에 수평.평평하게, 초지수림 고려
4. 제초제 사용할 때 : 1) 선택적으로 야초 죽이는 것 2) 효과 빠르고 4) 완전히 죽이는 것 4) 잔류독성 없는 것
7.3.5. 장애물 제거 및 목책설치
1. 적지선정
1) 불경운 초지대상지의 적지 : 1) 개량에 적은 비용이 소용되는 곳 2) 높은 생산성 예상되는 곳
2) 나무가 많은 곳은 벌채에 많은 비용소요 : 잡관목지, 토심 깊은 곳이 유리
3) 양지와 음지 문제
- 강수량이 많은 곳 : (1) 양지-햇볕에 의한 수분발산-건조-수량부진 (2) 음지-습하고 선선-수량다수
2. 선점식생 제거
- 불경운 초지는 선점식생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없음
- 우리나라 잡관목지의 선점식생
1) 수목 : 소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오리나무, 아카시아, 졸참나무
2) 관목 : 싸리, 진달래, 철죽, 참싸리, 찔래
3) 초본류 : 새류, 잔디
- 불경운초지의 가장 큰 문제점 : 선점식생과 유식물과의 경합
- 선점식생제거법 : 제초제 사용, 화입, 중방목
3. 목책설치
1. 초지조성의 기본요소 : 1) 종자 2) 비료 3) 목책
2. 목책 : 산지초지는 방목을 기본으로-초지보호 및 관리를 위한 필수적 장치
3. 목책의 종류 : 1) 영구책(외책) 2) 내책(전기목책)
4. 목책설치시 유의점 : 양지와 음지를 구분하여 설치
- 이유 : 양지만 가축이 몰려 황폐초지 발생. 음지-습하고 추워서 가축이 방목기피
7.3.6. 파종
1. 파종상 준비
1. 별칭 : 제경법, 발굽갈이법, 뉴질랜드식 초지개량법
2. 이 방법의 적용에 알맞는 지역 : 1) 선점식생의 밀도 높은 곳 2) 어느 정도 습한 곳
3. 방목법 : 밀집방목/중방목
4. 방목가축 : 15-20두/ha
5. 선점식생의 상태에 따라 처리 방법 달리 적용 :
2. 시비
- 우리나라 산지토양의 특성 : 1) 인산함량 낮고 2) 산성 3) CEC함량 낮다
(1) 석회
- pH가 5.0이하에서 석회시용은 클로버의 정착에 효과적
- 우리나라의 실험결과 : 잔디 우점초지에서 소석회 시용은 클로버의 잔존율 향상
- 시용량 : 1-2ton/ha
- 문제 : 중량이 많이 나가는 석회를 산지에 운반하여 살포하는 문제
(2) 인산
- 효과 : 목초의 뿌리신장에 기여
- 시비효과의 배가방법 : 다른 비료와 함께 시용
- 시비량 : 100-150kg/ha
(3) 질소
- 산지 : 질소비료 부족
- 불경운초지개량시 과도한 질소시용 : 선점식생의 생육촉진
- 질소시용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1) 선점식생밀도가 높은 곳 : 선점식생의 성장촉진, 목초유식물의 억압
2) 선점식생의 밀도 낮은 곳 : 목초유식물의 성장촉진
- 경운초지 : 경운에 의한 토양유기물의 분해촉진에 의한 질소공급
- 불경운초지 : 불경운으로 이러한 효과기대할 수 없음
- 시용량 : 척박지 50-60kg/ha, 보통토양 30-40kg/ha
3. 혼파조합 및 파종
ㅇ 산지 초지조성시 종자의 조건 : 초기발아세 우수, 분얼능력과 포복성이 있어 경합야초 제압, 정착 후 잔존능력
4. 근류균의 접종
1) 혼파의 이점 : 두과목초의 근류에 있는 근류균에 의한 질소고정
접종 |
상호접종 가능식물 |
1.알팔파군 |
알팔파, 스위트클로버 |
2. 클로버군 |
레드, 화이트, 라디노, 크림슨 클로버류 |
3. 완두 및 베치군 |
완두류, 베치류 |
4.벌노랑이군 |
벌노랑이, 버즈풋트레포일 |
<표7-18> 두과식물의 상호접종군
2) 중요한 군
3) 접종시에는 같은 군에 속하는 근류균을 접종할 것
4) 근류균의 접종방법 : 종토접종과 인공배양균 접종
5) 근류균의 인공접종에 필요한 일곱까지 조건 : 1) 접종숙주의 질소고정이 월등한 것 2) 근류형성이 빠른 것 3) 근권에서 다른 근주와 경합력이 있는 것 4) 불량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 5) 질소고정력이 높고 숙주범위가 넓은 것 6) 토양 중 생존.번식력이 높은 것 7) 생태적으로 안정적으로 접종.제조가 용이한 것
6) 우리나라.근류균생산 및 공인기관 없음
7) 불경운초지에서 근류균 착생을 증가시킬 수 있는 파종기술
1) 접종후 바로 파종 2) 비료와 함께 뿌리는 것을 지양 3) 습할 때 파종

5. 파종시기
- 경운초지조성시 : 평지에서 8월하순-9월 초순
- 불경운초지조성시 : 경운초지보다 조건이 나쁘고 습하며 토양수분이 가장 높을 때
- 불경운 작업시는 토양수분이 과다시에도 작업가능
- 불경운 개량시 파종적기 : 초봄(해빙 후), 여름 장마철, 초가을 장마
7.3.7. 조성초기의 조성관리기술
∙목초종자 : 종자 작아 유식물 생육부진, 목초간의 경합 심함
∙관리방법 : 경방목/중방목(식생의 상태에 따라서)
∙추파초지조성 문제 : 웃자람으로 인한 동사, 서릿발 인한 뿌리절단의 고사
∙토핑(topping) : 가을철 목초가 15cm 자랐을 때 방목->어린 유식물의 가지치기, 뿌리활착 조력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