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테마주 및 이슈목록

비대면 증가로 코로나19 수혜주, 가상화폐로도 엮이는 보안 관련 수혜주와 이슈 정리 및 추천종목과 이유 총정리

미여울 2021. 4. 23. 13:17
728x90
반응형

비대면 증가로 코로나19 수혜주, 가상화폐로도 엮이는 보안 관련 수혜주와 이슈 정리 및 추천종목과 이유 총정리


 

* 보안관련 이슈 및 특징

-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보안관련된 이슈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더구나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확대되면서 법률, 회계 등 전문서비스 업종의 사이버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북미 지역의 전체 사이버 보험금 청구 현황(건수 기준)에서 전문서비스업은 32%를 차지했습니다. 2016~2018년 평균 22%에 비하면 10%포인트 늘어난 수치입니다. 나날이 확대되는 사이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든 정부는 출범과 동시에 사이버보안 강화를 국정 정책방향의 최우선 순위 중 하나로 표명했습니다. 약 90억 달러에 달하는 사이버보안 예산을 편성하고, 사이버보안 분야 최고 전문가들을 관련 정부기관 수장으로 대거 지명했습니다. 금융·보건기관 등 사이버위험 노출이 큰 기업에는 사이버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규제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 코로나19 영향으로 디지털 경제화가 가속화되면서 사이버보안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사이버보안 정책 강화를 국정 우선순위로 표명한 가운데, 보험업계도 사이버보험의 역할을 재정립해야한다는 조언이 나왔는데요. 10일 보험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바이든 정부의 사이버보안과 보험산업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이버 범죄에 따른 글로벌 경제적 비용은 약 1조달러(1121조원)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 라는 엄청난 규모 입니다. 또한 VM웨어가 금융기관 CISO와 보안 임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모던 뱅크 하이스트 4.0(Modern Bank Heists 4.0)’ 조사에 따르면 “사이버 범죄는 2022년 6조달러의 비용을 발생시키고, 2025년 2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최근 급등하고 있는 가상화폐 거래소의 해킹 피해 또한 급증하고 있다.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쿠코인(KuCoin)에서 해킹으로 도난 당한 피해 금액이 2억8000만달러에 달해 사상 세 번째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피해가 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또한 19년 11월 국내 대표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에서 580억 상당의 가상화폐가 익명계좌로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최근 북한 해커조직이 가상화폐 시장에 새로운 해킹 수단을 시험삼아 공격하였다. 문제는 커지는 코인 시장에서 해킹에 대한 보호 조치는 전혀 없다는 것이다.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가상화폐인 만큼, 강력한 보안 조치가 필요한데 대응할 고객센터 조차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실정이다.

- 사이버 해킹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3사가 양자암호 기술을 개발해 보안 걱정을 덜어내고 있다. 양자의 특성을 이용해 생성하는 암호키는 해킹을 당하더라도 실제 정보 유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보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안성맞춤으로 평가되고 있다. KT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을 개발했다. SK텔레콤은 양자암호통신기술을 라우터와 스위치 등 기업용 IP장비에 적용하는데 성공했다. SK텔레콤은 이를 기반으로 기업용 퀀텀 가상 사설망(VPN)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LG유플러스도 을지대학교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에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을 적용해 보안을 대폭 강화했다.

- 나날이 증가하는 사이버범죄에 피해가 속출하고 그에 따른 비용은 향후 6조달러에 이를 것이라 추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 광풍을 불고 있는 가상화폐 시장은 타깃이 되기 안성맞춤이다. 국내 정부와 보안 업체가 손을 맞잡고 보안책을 마련해야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과 투자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보안 업계의 향후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이다.

 


* 보안주(정보) 관련 수혜주 리스트

* 안랩 :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대표 정보보안업체. V3(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TrusGuard, IPS 등의 보안서비스 솔루션(온라인/모바일/게임/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등)사업 및 보안 컨설팅, 관제서비스, 보안 SI 사업 등을 영위.

* 이스트소프트 : 17년 1월 보안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자회사 (주)이스트 시큐리티 설립(보안 소프트웨어 알약 서비스).

* 에스넷 : 네트워크통합을 근간으로 하는 소프트네트워크 솔루션 전문업체. 네트워크 컨설팅, 네트워크 운영시스템(NMS) 및 네트워크 보안 등 네트워크 관련 부가 서비스를 고객의 특성에 맞게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

* 이니텍 : KT계열의 인증보안과 금융IT서비스 제공 업체. 정보보안 사업으로 PKI 기반 기술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영위.

* SGA : Virus백신, 패치관리시스템(PMS)의 PC보안, 방화벽을 비롯한 네트워크 보안 등 주요 정보보안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는 업체.

* 한컴위드 : PKI 및 암호기술 기반의 보안 솔루션 및 서비스 제공하는 보안 소프트웨어 업체. 키 관리, 데이터 암호화, PKI 등 보안 관련 기반 뛰어난 기술을 보유.

* 가비아 : 인터넷 비즈니스를 영위하거나 인터넷 환경이 필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인프라 및 솔루션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인터넷 인프타 서비스 업체.

* 윈스 : 정보보안솔루션 개발. 공급 및 네트워크 보안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 방화벽, 침입방지시스템(NGIPS), DDoS 대응 시스템(NGDDX), 지능형지속공격방어(APTX) 등에서 보안기술과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시큐브 : 시스템보안 토탈 솔루션업체. 전자서명 인증기반의 서버보안 솔루션 등을 보유한 동사는 국내 최초 독자적인 Secure OS 개발을 통해 국내 보안운영 체제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

* 라온시큐어 : 모바일, 유비쿼터스 및 기기인증 보안 솔루션을 보유한 전문 보안 솔루션 개발 업체. 공공기관, 금융 및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모바일 보안솔루션(가상키보드, 모바일백신, 모바일암호인증, 모바일단말관리) 및 PC보안(Non-ActiveX 솔루션), 국제생체인증 표준 FIDO 기반 생체인증 솔루션, lOT 기반 솔루션과 서비스를 공급.

* 플랜티넷 : 인터넷상의 유해사이트 차단서비스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개인, 기업 및 공공기관 등에 제공하는 업체.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초고속인터넷통신사업자 및 다수의 케이블인터넷사업자와 계약을 통해 유해정보차단서비스를 제공.

* 케이사인 : 암호 알고리즘 및 보안키 관리기술을 활용해 DB암호화, PKI인증, 통합인증 사업을 영위.

* 한국전자인증 : 공인인증서 서비스 사업영위 업체. 인증서비스 및 보안서버 인증서비스, 인증솔루션 등 보안인증 관련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 한국정보인증 : 공인인증서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법인 범용 공인인증서 1위 업체. 개인 및 법인용 공인인증사업과 PKI솔루션(보안툴킷 등)개발 및 판매사업, 웹보안서버 등의 사업을 영위.

* 케이사인 : 암호 알고리즘 및 보안키 관리기술을 활용해 DB암호화, PKI인증, 통합인증 사업을 영위.

* 민앤지 : 모바일 부가서비스 개발업체. 개인정보 보안관련 서비스로 휴대폰번호도용방지서비스와 로그인플러스 서비스를 제공하여 개인정보 불법 도용의 피해를 차단하는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 한일네트웍스 : 네트워크서비스 전문업체로 보안장비 등 디지털 보안 사업 영위.

* 오픈베이스 : 네트워크 및 보안솔루션 전문기업.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킹 솔루션사업, 보안솔루션사업, 스토리지솔루션사업, 서버솔루션 사업 등을 영위.

* 지니언스 : 네트워크 접근제어 솔루션 전문 개발업체.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상 정보 유출 또는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에 주력, 주요 제품으로는 지니안 NAC, 제니안 GPI, 지니안 인사이츠 E 등이 있다.

* 디지캡 : 디지털방송콘텐츠 관련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보호를 위한 '보호 솔루션'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아톤 : 핀테크 보안 솔루션과 간편인증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핀테크 금융플랫폼 업체. 금융 기관을 비롯한 핀테크 기업이 활용하는 핀테크 보안 솔루션과 다양한 기업들이 온라인상에서 고객에 대한 보인 인증을 요청할 때 이용하는 간편인증 서비스를 제공.

* 소프트캠프 : 정보보안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주력 제품들은 문서보안 솔루션, 영역보안 솔루션, 문서중앙화 솔루션, APT 대응솔루션(SHELDEX) 등으로 구성. 신규 사업으로 스마트팩토리 공급망 보안사업,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서비스 및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사업 추진 중.

* 싸이버원 : 보안관제 및 보안컨설팅 전문 업체. 정보보안 관련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그 중 보안관제 및 보안 컨설팅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물리보안 영역인 스마트시스템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스마트카트/RFID 기반의 사물인식 기술을 영상/센서/출입통제 등 물리보안과 통합하여 새로운 융합보안 서비스 개발.

이 밖에 에스넷, 이니텍, 이글루시큐리티, 다우데이타, 네오리진, 미래테크놀로지, 오픈베이스, 수산아이앤티, SGA솔루션즈, 휴네시온, 에스에스알, 나노브릭 등이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