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유행 초기단계로 올해 내내 주목받을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관련 이슈 및 코로나19 관련 수혜주와 추천이유를 정리했습니다.
* 이슈 & 특징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73명이라고 밝혔습니다. 전날보다는 25명 줄었지만, 연이어서 600명대 후반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전날 698명을 기록했던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700명대 안팎 수준을 기록 중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수를 보면 1주간 하루 평균 약 646명으로, 4차 유행의 초기 단계로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국내 한 제약사가 8월부터 해외백신 위탁생산을 하며, 보급을 통해 11월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15일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자국민 6600만명 이상을 조사한 결과 이 가운데 약 5800명만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감염자가 발생할 확률이 0.008%라는 뜻이다. 백신 접종의 효과가 드러나면서 세계 각국은 안전 백신 확보를 위한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에서 혈전이 발생하여 불안감이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해당 백신 중단을 선언하는 결정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평가받는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 쟁탈전은 더욱 가열되고 있다. 유럽연합(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화이자 백신 5000만회분을 애초 예정했던 4분기보다 이른 2분기에 받게 됐다고 발표했다. 물량 배송을 앞당긴 것이다. 이탈리아는 6월까지 화이자 백신 2500만회분을 받기로 했는데, 이에 700만회분을 추가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 정부 수반,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 저명인사들이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 코로나19 백신의 특허 효력을 한시적으로 멈춰달라고 요청하는 공동 서한을 보냈다. 백신 대란 속 국가 간 접종 격차도 갈수록 벌어지고 있어 코로나19 극복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라는데 결국 백신 확보를 위한 호소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현재 널리 접종되고 있는 화이자·모더나 백신을 비롯해 얀센, 노바백스 백신 등은 미국 정부의 프로젝트인 '초고속 작전'의 지원을 받아 미국계 제조사가 개발한 것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코로나19 백신은 생물학적 단백질 제제여서 생산이 까다롭다며 “특허를 유보해도 백신을 생산할 만한 데가 미국이나 유럽 말고는 별로 없다”고 전했다.
코로나가 독감에 가깝다는 전문가들의 해석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코로나 백신을 1년에 3번 맞아야 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지속적으로 백신을 확보하는 것이 일상생활로 돌아가는 최우선의 과제일 것이다. 11월까지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한다는 정부 계획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이다.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의 일러스트
*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관련주
* SK바이오사이언스 : SK케미칼의 VAX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설립된 업체로 백신/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와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임대 및 CDMO/CMO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이용해 코로나 19 백신 후보 물질을 확보했고, 임상 1상 진행 중.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
* 씨젠 : 유전자(DNA 및 RNA) 분석을 통해 질병의 원인을 감별하는 분자진단 시약 개발 제조/공급 업체.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진단키트 긴급사용승인을 받았으며,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이스라엘 등에 자사 코로나19 주요 진단 제품을 공급. 2020년 4월 미 FDA로부터 코로나19 검진을 위한 자사제품의 긴급사용을 획득.
* 수젠텍 :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및 진단시약류 제조, 판매업체로 20년 3월 혈액으로 10분 내 진단 가능한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개발에 성공. 20년 8월 코로나19 중화항체 검사키트 개발에 성공하고 미 FDA 승인을 추진 중.
* 랩지노믹스 : 체외진단 서비스 및 체외진단 제품 개발 및 생산 전문업체. 분자진단검사 서비스와 유전자분석 서비스 사업 등을 영위.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허가 취득 및 UN 조달기구 등록을 완료. 세계 최초로 코로나19를 1시간 이내에 진단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질병관리본부 긴급사용승인과 식약처 수출품목 허가를 획득.
* 진원생명과학 : 미 자회사 VGXI가 미 바이오기업 이노비오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참여. 동사가 개발 중인 DNA 백신 GLS-5310가 독성.효능평가를 위한 동물실험을 진행 중이며, 하반기 임상1/2a가 연구르 시작할 예정. 20년 4월 미 fda가 코로나19 감영 방지 코 스프레이 치료제 GLS-1200의 2상 임상시험 승인.
* 오상자이엘 : 계열사 오상헬스케어의 코로나19 진단키트가 유럽인증 및 미 fda 긴급사용승인을 획득.
* 피씨엘 : 면역진단용 체외진단 의료기기 개발, 제조업체.
* 지노믹트리 : 체외 암 조기진단 전문 업체로 유전체분석 서비스(파이로시퀸싱, real-time PCR, 마이크로 어레이, NGS 등)를 제공. 충남대와 코로나19 분자진단키트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 MOU 체결.
* EDGC : 지분을 보유 중인 솔젠트가 코로나19 진단시약 개발. 질병관리본부로부터 긴급 사용 승인 획득했으며, 코로나19 진단키트 해외 판매.
* JW중외제약 : 중 보건당국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해 '악템라' 공식 사용 소식 속 자가 면역질환 치료제 악템라의 국내 개발, 상업화 권리를 도입.
* SV인베스트먼트 :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이뮨메드가 서울대학교병원과 임상시험용 의약품인 VSF를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치료 목적으로 사용 승인 받고 투약 진행 중.
* 팜젠사이언스 :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2종의 분자진단키트 수출 허가 승인. 한국화학연구원 CEVI 융합 연구단의 코로나19 대항 항체 발견 소식 속 계열회사 웰스바이오가 코로나19 부낮진단 및 면역진단 기술의 공동연구를 위해 한국화학연구소 CEVI 융합연구단과 MOU를 체결.
* 바이오니아 : 코로나19 진단키트 2종에 대해 유럽 CE-IVD 인증을 획득하고 수출용허가 승인을 획득. 국내 진단키트 생산기업 등과 코로나19 핵산추출시약 공급계약을 체결. 20년 9월 코로나19. 독감 동시진단키트 임상시험계획 식약처 승인.
* 레고켐바이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운영하는 신종 바이러스 융합연구단으로부터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인트론바이오 : 자체 개발한 LiliF COVID-19 Real Time RT-PCR 키트 수출용 허가 획득. 코로나19 신속 항체진단제품 LiliF GBN COVID-10 lgG 키트 유럽 CE인증 획득.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핵산을 추출하는 유전자추출 제품도 공급 중.
* 진매트릭스 : 코로나19를 진단할 수 있는 별도 키트(네오플렉스 COVID-19) 개발을 완료했으며 유럽CE-IVD 인증을 획득. 20년 5월 네오플렉스 COVID-19가 미 FDA 긴급사용승인을 획득. 영국 옥스퍼드대와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진행중인 가운데, 동사가 옥스퍼드대에서 분사한 백시텍에 지분 투자.
* 디엔에이링크 : 유전체 분석(EGIS) 사업과 맞춤의학용 개인유전체 분석 사업 등을 전문적으로 영위하는 업체. 20년 4월 아르헨티나 등에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메디멤버스와 코로나19 진단키트 공급계약 체결.
* 부광약품 : 항바이러스제 레보비르의 시험관 내 시험에서 코로나 19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허를 출원했으며, 임상2상을 완료.
* 휴마시스 : 20년 9월 식약처로부터 셀트리온과 함께 공동 연구개발한 코로나19 항원 진단키트 'Humasis COVID-19 Ag Test'에 대해 수출용 허가 승인.
* 현대바이오 : 최대주주 씨앤팜과 공동으로 코로나19 경구 치료제 'CP-COV03' 개발 중.
* 셀트리온 : 질병관리본부 국책과제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 중. 2020년 6월 코로나19 항체치료제 후보 물질을 가지고 동물에게 효능을 확인해본 결과, 감영 증상의 개선 효과를 확인. 20년 12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영환자 치료제 국내 조건부허가 신청.
그 밖에 퀸타매트릭스, 압타바이오, 국전약품, 소마젠, 미코바이오메드, 제놀루션, 시너지이노베이션, 펜트론, 메디콕스, 종근당, 크리스탈지노믹스, 쎌마테라퓨틱스, 네이처셀, 한국비엔씨, 바이오스마트, 드림텍, 셀리드, 젠큐릭스, 우리들휴브레인, 천랩, 씨티씨바이오, 마이크로디지탈,나노엔텍, 옵티팜, 대웅제약, 대웅, 제일약품, 유바이오로직스, 녹십자엠에스, 앤디포스, 휴온스. 엔지켐생명과학, 피에이치씨, 제넥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