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론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35. 친구 간의 인간관계

미여울 2024. 9. 15. 03:28
728x90
반응형

35. 친구 간의 인간관계

 

1) 친구의 의미


(1) 친구란?
한 연구에 따르면 사람은 평생 100명 이내의 사람들과 친밀한 인간관계를 맺음
■  인생의 동반자 유형

■  오래 두고 정답게 사귀어온 벗
- 벗이란?
마음이 서로 통하여 친하게 사귄 사람
뜻을 같이하는 사람


(2) 우정의 의미
■  우정 : 친구와 나누는 정다운 애정
■  Davis and Todd의 우정의 특징
- 함께 있으면 즐거움
-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 서로 깊게 신뢰함
- 서로 존중함
- 서로 도와주고 믿을 수 있음
- 서로 비밀이 없음
- 서로 이해할 수 있음
- 있는 그대로 내보일 수 있음
■  우정과 사랑의 구분
- 두 사람의 관계가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에 따라 우정과 사랑을 구분함
- 우정과 사랑은 매우 유사하며 많은 공통점을 지니지만, 낭만적 사랑에는 ‘열정’과 ‘보호’
가 추가됨
- 열정과 보호

- 낭만적 사랑을 경험한 부부 혹은 애인
친구에 비해 상대방을 훨씬 더 매혹적이라고 느낌
‘이 세상에 오직 하나뿐인 존재’라고 느끼는 정도가 강함


(3) 친구의 특성
■  친구관계는 대등한 위치의 인간관계
- 나이, 출신 지역, 학력, 사회적 지위 등이 비슷한 사람과 맺는 친밀한 관계
- 수직적이기보다 수평적 관계의 속성
■  친구관계는 가장 순수한 인간지향적인 대인관계
- 실리적 목적보다 상대방의 개인적 속성이 친구 관계 형성에 주요한 요인임
- 상대방에 대한 호감과 우정이 관계 유지의 주요한 요인임
■  친구관계는 인간관계 중 가장 자유롭고 편안한 관계
- 위계적 관계의 심리적 부담과 제약 등 책임과 구속력이 적음
■  친구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사점을 지닌 사람들이어서 서로 공유하는 삶의 영역이 넓음
- 화제, 취미, 오락, 가치관 등 공유 영역이 넓어 만남이 즐겁고 편함
■  친구관계는 구속력이 약해 해체되기 쉬움
- 관계유지를 위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4) 친구의 기능
■  주요한 정서적 공감자, 지지자
-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인정하는 정서적 지지는 친구관계를 유지하고 심화시키는 주
요한 요인임
■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을 평가하는 주요한 비교 준거
- 자신과 차이가 있는 사람보다 자신과 비슷한 사람과의 비교 자료가 자신을 평가하는 신
뢰 있는 자료
■  즐거운 체험을 공유하는 사람
- 서로의 생각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통하여 즐거움을 얻음
■  안정된 소속감 제공
- 친구 집단에의 소속감은 자기가치감과 안정감을 느끼는 주요 원천
■  삶에 현실적인 도움 제공
- 현실적인 곤경이나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주된 대상


2) 친구관계의 다양성


(1) 친구를 표현하는 용어

■  우정의 강도를 평가하는 기준
- 친구관계에서 경험하는 정서적 만족도에 비례
친구관계에서 얻는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의 비율에 의해 평가
- 현재의 친구관계에 투여하는 심리적 또는 물질적 투자의 양에 비례
- 미래에 친구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최대의 양에 비례
우정은 친구에 대한 신뢰의 정도를 반영함
친구를 위한 자기희생의 정도에 의해 평가
- 친구관계의 지속기간이나 만남의 빈도에 비례
친구관계를 오래 유지하였다는 것은 친구관계를 지탱하고 심화시키는 요인들이
충분히 시험되고 검증되었음을 의미함


(2) 친구관계의 유형
■  형성요인에 따른 분류

일차적 친구  학연, 지연, 혈연에 근거하여 형성된 친구
 일정 기간 이상의 반복적인 만남이 상황적으로 주어진 상태에서 맺
어진 친구
 어린 시절부터 지속되는 경향이 있음
이차적 친구  관심사, 취미, 가치관 등의 공유로 형성된 친구
 상황적 요인보다 개인적 특성에 근거한 친구
 청소년기 이후에 생기는 경향이 있음

 

■  Aristoteles의 형성과 유지 요인에 따른 구분

쾌락적 친구

즐거움과 쾌락을 위해 맺어진 친구
유흥, 취미, 여가와 관련된 활동이 많이 발생함
효용적 친구

실리적인 필요와 현실적인 도움의 기대에 의해 맺어진 친구
물질적, 직업적, 사회적인 면에서 현실적인 도움을 서로 주고받는
교류가 활발하게 발생
인격적 친구

상대방의 덕성(virtue)에 의해 맺어진 친구
덕성 : 개인이 지니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성격적 특징
(수용성, 신뢰성, 지혜로움, 성숙성 등)
상대방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존중과 호감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개방적이고 깊이 있는 대화, 정서적 지지와 공감이 주요한 교류 영역임

 

■  기능에 따른 친구관계 구분(Reisman,1981)

연합적
친구관계
공간적 근접성, 유사성, 업무의 공유 등에 의해 맺어지는 친구관계
정서적 유대나 깊은 관여가 부족한 관계
단기적, 피상적인 교제로 현대사회에서 가장 많은 유형
수혜적
친구관계
한 사람이 상대방에게 주로 베푸는 역할을 하는 친구관계
두 사람 사이에 사회적 지위나 역할의 차이가 나는 관계
예시 : 선생과 제자, 고용주와 피고용인 등
상호적
친구관계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에 대한 상호적 이해와 신뢰에 근거한 친구관계
상대방에 대한 깊은 정서적 유대와 헌신적 관여로 오래 지속됨
관포지교(管鮑之交)라 불리며 동양에선 이상적이고 모범적인 친구관계

 

(3) 친구관계의 개인차
■  연령에 따른 개인차
- 2세
같은 또래와 초보적이며 자기중심적인 상호작용을 시작함
- 학령기
친구를 선별하여 사귀기 시작함
- 사춘기
친구관계가 더욱 친밀하고 활발해짐
가족으로부터 심리적으로 이탈하여 친구들 간의 연결망을 형성함

친구관계는 대체로 후기 청소년기에서 초기 성인기에 정점을 이룸
- 결혼 후
자녀가 생긴 후 친구관계가 감소하나 친족관계는 더욱 깊어짐
- 노년기
친구의 수와 접촉 빈도는 감소하나 친밀감은 증가함
■  성별에 따른 개인차

■  맺는 방식에 따른 개인차

 

3) 친교대상자의 선택


(1) 인간이 호감을 느끼고 친구로 선택하는 기준
■  친구를 선택하는 일반적인 기준에 대한 경험적 연구(Dickens & Perlman, 1981)
① 인간은 자신을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함
② 인간은 자신과 유사한 태도를 지닌 사람을 좋아함
③ 인간은 자신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사람을 좋아함
④ 인간은 신체적으로 매력적인 사람을 좋아함
⑤ 인간은 자신 곁에 가까이 사는 사람을 좋아함
⑥ 인간은 자신과 나이가 비슷한 사람을 좋아함
⑦ 인간은 같은 성(sex)을 가진 사람과 친구가 됨


(2) 친교대상자 선택의 5가지 요인
① 근접성(proximity) : 물리적 거리

- 가깝기 때문에 접촉 기회가 많음
- 가깝기 때문에 큰 노력 없이 쉽게 접촉 가능
- 가깝게 사는 사람들은 경제적, 교육 수준 등이 유사할 경우가 많음
- 가깝게 사는 사람과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인지적 압력이 있음
② 친숙성(familiarity)

③ 유사성(similarity)
- 서로 유사하면 상대의 이해와 접촉의 성격 예상이 용이함
- 유사한 상대가 나를 좋아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경향이 있음
- 유사한 사람들 간의 관계는 서로에게 공감과 강화 등 보상을 줌
④ 보상성(rewardingness)
- 상대방으로부터의 호감과 애정
- 즐거운 체험을 함께 나누는 사람
- 정신적 또는 물리적 도움
- √check : 보완성(complementariness)
⑤ 개인적 특징들 : 성격특성, 능력, 신체적 매력
- 성격특성 :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성격 특성을 가진 사람을 좋아함
예시 : 성실함, 정직함, 이해심 많음, 진실함, 지적임, 믿음직함, 사려 깊음, 따뜻함,
친절함, 유쾌함, 유머 있음, 책임감 등
- 능력 : 유능한 사람을 좋아함
- 신체적 매력 : 잘 생기고 아름다운 사람을 좋아함


4) 친구관계의 발전과 심화


(1) 친구관계의 발전단계
■  Huston & Levinger의 인간관계의 친밀성
- 인간관계의 발전 정도는 친밀감의 정도에 의해 평가됨

면식

두 사람 간의 직접적 접촉이 없이 관찰을 통해 서로를 알고 있는 단계
직접적인 접촉은 없으나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있는 상태
접촉

두 사람 사이에 직접적인 교류가 일어나는 단계
업무와 관련된 형식적인 관계
상호의존

두 사람 사이에 크고 작은 상호의존이 나타나는 관계
교류가 증진되고 상호교류가 개인적 측면의 수준까지 발전됨
두 사람 사이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에서 호혜성의 원칙이 초월

 

(2) 친구관계의 발전 및 심화 요인
■  인간관계를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

자기공개

서로에 대해 깊이 알수록 서로에 대한 친밀감과 신뢰가
깊어짐
정서적 지지와 공감

자신을 잘 이해하고 지지해 주는 친구에게 편안함과 신뢰감을
느낌
현실적 도움의 교환 

 현실적 도움을 주고받는 친구관계는 심화되는 경향이 있음
즐거운 체험의 공유

즐거움과 유쾌함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사람은 자꾸 만나게 됨

 

■  친구관계 심화의 필수적 요건
- 보상성(rewardingness) : 인간관계에서 얻게 되는 긍정적이고 보상적인 효과
- 상호성(reciprocity) : 인간관계에서 보상적 효과가 서로 균형 있게 교류됨
- 규칙성(rules) : 인간관계에서 서로의 역할과 행동을 수행하는 일관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