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론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34. 집단의사결정

미여울 2024. 9. 14. 15:14
728x90
반응형

34. 집단의사결정

 

1) 집단의사결정의 개요


의사결정 주체가 누구에 의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개인의사결정과 집단의사결정으로 구분


(1) 장·단점

(2) 집단의사결정의 효과성
■  높은 정확성
■  빠른 속도
■  수용의 정도


2) 집단사고


(1) 집단사고란?
■  구성원 의견의 일치를 이루어내려는 유·무형의 압력 때문에 비합리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지
는 현상
응집력이 높은 집단에서 발생함


(2) 집단사고의 원인
■  집단 응집성
■  리더의 행동
■  시간압력
■  의사결정 절차의 부재

 

(3) 집단사고의 증상

(4) 집단사고 대비책
■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리더십
■  제도적 장치 : ‘악마의 주장자’를 임명함
- 악마의 주장자(Devil’s Advocate) : 어떠한 사안에 대해 의도적으로 반대 입장을 취하
면서 선의의 비판자 역할을 하는 사람
■  재차 회의를 소집하여 다시 점검 및 논의함


3) 의사결정의 오류와 성공지침


(1) 의사결정 오류
■  경험의 오류(Rule of thumb)
- 직접 보지 못하거나 경험하지 않은 것들은 현실에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착각
■  몰입의 상승(escalation of commitment)
- 그릇된 결정인 줄 알면서도 계속 진행하는 오류
■  확신(confirmation bias)
-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주는 자료에 의존하여 의사 결정하는 오류
■  접근성(availability bias)
- 자신의 생각이나 틀에 맞는 자료나 정보만 선별하는 오류
■  과대평가(overconfidence bias)
- 자신이 모든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으며, 아주 작은 부정적인 확률이 있는 상황을
의사결정에서 배제하는 오류


(2) 효과적인 의사결정 지침
■  그만둘 때를 알아라.
■  ‘왜’를 5번 실행하라.
■  효과적인 의사결정자가 되어라.

 

* 효과적인 의사결정자
① 중요한 것에 집중함
② 특정한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만큼의 정보와 분석을 요구함
③ 논리적이고 일관적임
④ 관련 정보와 정통한 의견을 수집하도록 독려함
⑤ 주관적·객관적인 사고를 모두 받아들이며, 직관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혼합함
⑥ 솔직하고, 신뢰할 만하고, 유연함


4) 집단의사결정 기법


(1) 브레인스토밍
■  여러 명이 한 가지 문제를 놓고 무작위로 아이디어를 많이 내서 그 가운데 좋은 아이디어
를 채택하는 방법
집단문제해결 과정에서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Alex Osborn에 의해 개발됨
■  규칙
- 절대 비판을 금지함
- 질을 따지지 않고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제시해야 함
- 타인의 아이디어에 자신의 의견을 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안함
■  특징
- 6~12명으로 구성
- 집단크기와 관계없이 자유로운 분위기가 중요함
- 타인의 압력을 배제하기 위한 시도로 자주 쓰임


(2) 명목집단법(Nominal Group Technique: NGT)
■  1968년 사회심리학 연구에 필요한 의사결정기법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Dellvecq와 Van
de Van이 개발함
■  명목집단이란?
-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논의 및 대인 간의 의사소통을 제한한 명목상의 집단이라는
말에서 유래함
■  명목집단의 특징 및 장점
- 독립적으로 행동하며 타인의 압력이 전혀 없이 의견을 제시함
- 이후의 각 단계에서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명목집단법 순서
① 문제 식별 : 소집단은 탁자에 모여 지시 수령
② 참석자는 개별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기입
③ 제시된 모든 아이디어를 칠판에 기입
④ 각각의 아이디어를 논의하고 평가
⑤ 구성원 각각의 개별적 선호 순위 부여
⑥ 가장 순위가 높은 아이디어를 대안으로 채택

 

(3) 델파이법(Delphi Method)
■  미국 랜드연구소 Think Tank에서 유래함
미국 국무성의 요청으로 개발된 기법
■  의사결정 중 일체의 대화 없이 반복적인 피드백과 통계적 처리에 의하여 아이디어를 수렴
하는 기법
■  명목집단과 유사하나, 집단구성원들의 출석과 대면을 요구하지 않음
■  델파이법 순서

(4) 집단의사결정 기법 비교
■  델파이기법과 명목집단법이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데 가장 우수한 방법임
모든 개인의 아이디어나 판단을 동등하게 취급하여 어떤 특정 개인의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음
■  연구결과, 명목집단법이 가장 높은 구성원 만족도를 보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