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6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6
- 가소화영양소총량(TDN) : 가소화조단백질 + 가소화가용무질소물(당분, 전분) + 가소화조섬유 + (가소화조지방 x 2.25)
+ 어떤 목초의 영양소 함량 중 가소화 조단밸직 10%, 가소화 조섬유 12%, 가용무질소물 26% 및 가소화 조지방 함량이 1% 일 때
이 목초의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은 몇 %인가?
→ 50.25%
( 가소화 영양소 총량 = 가소화 조단백질% + 가소화 가용무질소물% + 가소화 조섬유% + (가소화 조지방% x 2.25)
= 10 + 26 + 12 + (1 x 2.25) =50.25 )
- 호밀(호맥) : Brassica napus / 십자화과
∙ 사일리지 수확적기 : 개화기 ~ 유숙기 (호개유)
∙ 봄 파종 : 3월 상∙중순이 적기 / 8 ~ 10Kg/ha
∙ 청예용 : 맥류 중 내한성이 강함, 토양적응성 높음, 월동 가능 → 우라나라 전국에서 재배가능, 답리작으로 이용
∙ 척박한 토양, 불량한 환경조건에서 적응력 높음 (유채보다) / 내한성 강함 → 월동 가능한 범위 내 일찍 (조생종) / 호밀속의 월년생 작물
∙ 줄기 표면이 납으로 덮여있음
∙ 수분함량, 가용무질소물, 가소화단백질 풍부 / 조섬유 적음 → 젖소 풋베기용
∙ 염색체 2n=14
∙ 옥수수 후작으로 일찍 파종하면 가을에 가벼운 방목이나 높은 예취로 이용가능 / 옥수수 파종 지연시키지 않게 조생품종의 호밀을 파종
+ 초식가축을 사육하기 위하여 호밀을 재배하는 주된 이유
1. 답리작으로 재배가 용이
2. 가을 늦게 파종해도 비교적 월동이 가능
3. 이듬해 봄에 일찍 수확
- 조생종 : 조기수확 시에 / 만생종 : 만기수확 시에 수량 높아짐
- 사료용 유채
∙ 방목, 풋베기(청예) / 사일리지∙건초(X)
∙ 내한성 강함
∙ 단기간 재배 수량 많음
∙ 맥류보다 토양 적응력 높음
∙ 내상성(늦서리 저온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가을 늦게까지 이용가능
∙ N시비 수준에 민감 / 늦게 파종하면 생초 수량 낮아짐 → 빨리 파종
∙ 연맥과 혼파하면 수량 높고 기호성 좋음
∙ 다른 화본과에 비해 토양개량 효과 높음
- 주요목초 및 일반사료작물의 생육 최저산도 가장 낮 : 레드톱
- 수단그라스
∙ 기온 높고 건조한 지방에서 재배
∙ 생육온도 25 ~ 32도 / 알맞은 토양산도는 pH 5~8
∙ 중점토 ~ 사토에 이르기까지 재배할 수 있음
∙ 재생력 강함
∙ 옥수수보다 수분요구량 적음 / 옥수수보다 고온 요구 → 대관령(산간지) 불리
∙ 옥수수보다 토양 적응성 높음
∙ 청예용으로 재배할 때 수량 최대 : 조파
∙ 순계 보다 수수X수단그라스나 수단그라스 간 교잡종 수량이 높음
- 알팔파 : 단위면적당 단백질 생산수량이 높음
- 두과목초의 1차 수확적기 : 개화초기 ex) 알팔파, 레드클로버
# 국내 육성 목초
- 여름 사료작물
∙ 옥수수 : 광평옥, 강일옥, 청안옥, 청사옥, 강다옥, 청다옥
∙ 총체벼 : 녹양, 목우, 목양
- 월동 사료작물
∙ 이탈리안라이그래스 : 그린팜, (조생종)코그린, 코윈어리, 코스피드, 코윈마스터, 화산, 코위너
∙ 청보리 : 영양, 선우, 상원, 우호, 유연, 소만, 다미, 영한, 유호, 조미
∙ 호밀 : 곡우, 다그린, 이그린, 올그린, 조그린, 참그린
∙ 귀리 : 삼한, 동한, 조한, 하이스피드, 다크호스, 풍한, 조풍, 광한
∙ 트리티케일 : 신영, 조성
∙ 총체밀 : 청우
- 목초
∙ 오차드그라스 : 코디, 합성, 장벌, 온누리
∙ 톨페스큐 : 그린마스터, 푸르미
- 옥수수 흑조위축병(검은줄오갈병) : 애멸구가 옮기는 바이러스병 / 벼를 인근에서 재배할 때 많이 발생
: 강원도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중부이남 지방에서 발생
- 멸강나방 유충 : 초지나 사료작물레 가끔 큰 피해를 줌 / 우리나라 화본과 목초 가장 큰 피해주는 해충
: 발생하면 빠른 속도로 전포장으로 퍼지므로 조기발견과 방제가 효과적
: 옥수수 잎을 주로 갉아먹음 / 5월 말경에 자주 발생
: 발생시 ha당 디프테렉스 1,000배액을 1,200L정도 살포
- 지상부 발생 : 멸강나방(army worm), 애멸구(smaller brown plant hopper), 조명나방(European corn borer)
- 지하부 발생 : 방아벌래(click beetle) (종자, 뿌리, 땅속줄기를 갉아먹는 해충으로 흙속에서 2~6년간 서식)
+ 목초나 사료작물 재배시 문제가 되는 잡초
→ 소리쟁이, 여뀌, 애기수영
( 네피아그레스 : 엘레펀트그래스라고도 함. 열대 아프리카 1000mm 이상의 강우지방이 원산인 다년산 화본과 목초
고온,다습의 기후에 적합, 재생력 강함, 건조에도 잘 견딘다. 다비에 의해 다수확을 올릴 수 있으며, 생초, 사일리지, 건초로 이용
조섬유가 많고 단백질은 적으므로 사료가치는 그다지 좋지 않음 )
+ 초지잡종 중 애기수영에 관한 설명?
1. 유럽이 원산지인 마디풀과 다년생으로 종자뿐만 아니라 지하경으로도 왕성하게 번식하여 우리나라 대부분의 목초지에 큰 피해 줌
2 .애기수영이 처음 발생하였을 때 즉시 제거하지 않으면 다음 해에는 목초지의 10~20% 정도까지 애기수영이 확산되며,
3~4년 후에는 목초지의 50~60%까지 번져 부실초지로 변하며 애기수영을 방제하기 점차 힘들어짐
3. 한 포기에서 연간 1,000~10,000개의 종자를 생성하며 종자와 뿌리로 번식하여 초지부실화를 촉진
4. 애기수영은 토양비옥도가 낮고 경사진 산성토양에서 주로 발생, 초지에 일단 발행하면 제거하기가 무척 어려우므로
잡초가 발생하기 전에 초지의 비옥도관리에 힘써야 하며 초지 토양이 산성화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석회를 사용하여야 함
- 풋베기(청예)의 장점
∙ 사일리지나 건초제조의 노력과 비용 절약
∙ 방목에서 생기는 재상과 유린을 방지할 수 있음
∙ 사일리지나 건초에 비해 영양가의 손실을 방지
- 풋베기의 단점
∙ (청예이용)재배이용에 노력이 많이 듦
- 수단그라스계
∙ 초장이 낮은 어린시기의 것을 청예로 이용할 경우 청산중독 위험이 있다
∙ 너무 낮게 수확 시 재생이 늦어지고 죽어 없어지는 개체 발생 → 5cm초과
∙ 자주 예취 가능한 조,중생종에 비해 대가 굵고 키가 크게 자라는 만숙종은 출수되는 것을 보지 못할 때도 있음
+ 청산중독은 ( )지대에 소를 방목시킬 때 흔히 발생하는 장애로서 이들 사료작물이 함유하고 있는 글루코사이드두린이란 물질이 가축
의 제1위 내에서 가수분해 될 때 만들어지는 청산에 의한 중독증을 말한다. *두린함량이 낮은 품종과 잡종은 두린함량이 높다. 일부 잡초에서
도 청산이 발견되는데, 진주조에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수단그래스
( 청산중독
∙ 수단그래스, 수수x수단교잡종, 수수등에 함유한 청산글리코시드(Cyanogenic Glycoside)
또는 글루코사이드 두린(Glucoside Dhurrin)이라 불리는 복합물질이 효소 또는 반추가축의 제1위미생물에 의해 가수분해 될 때 형성
∙ 이 물질이 혈액에 흡수되어 혈중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시아노헤모글로빈(Cyanohemoglobin)을 형성하고
이 물질은 조직 내 산소의 운반을 방해하므로 중독증상 일으킴
∙ 이 물질에 중독된 소의 증상은 호흡과 맥박이 빨라지고, 근육경련이 일어나며, 심할 경우 폐사에 이른다 )
+ 수단 그라스계 목초 종자를 파종한 사료작물포에 소를 방목시키려 한다. 청산 중독의 위험이 가장 큰 상황?
→ 질소비료 시비 직후
- 수수X수단그라스의 청예 이용시 초장 : 120~150cm (청산중독위험 방지 : 60cm 이상)
- 높이베기의 장점
∙ 목초의 재생에 가장 큰 영향 → 탄수화물 (재생을 위해 저장하는 형태)
∙ 화본과의 경우 저장양분 많음 / 양∙수분의 흡수력 높
∙ 알팔파는 생장점의 수가 많게 됨
- 오차드그라스 예취높이 : 6~9cm (사료작물을 3회이상 예취하여 생초로 이용하는 것이 유리)
- 클로버 우점현상 원인 : 잦은 예취, 낮은 예취, 봄에 일찍 예취
1. 가을철에는 늦게까지 방목 및 청예로 이용함으로 겨울철에 목초와 동사주수를 증가시켜 초지화가 가속화 되거나 클로버 우점화현상
2. 소규모 농가는 대규모 전업목장에 비해 초지 이용방법이 방목보다 청예이용이 주되어 방목때보다 낮게 바짝 베어 클로버에는 유리하나,
주초종인 오차드그래스에는 불리한 관리방법이 되어 초지의 클로버 우점에 따른 생산성 저하 가져옴
3. 농가의 월동조사료 부족과 늦가을 사초 부족으로 봄철에 너무 일찍 청예이용 함으로써 화본과 목초보다 양지조건하에서 생육 유리한
클로버의 유점현상 가져옴
- 예취 후 재생에 쓰여질수 있는 양분 : 탄수화물(전분), 단백질, 산(프락토산)
- 목초의 생육진행 : 잎 비율 감소 / 줄기 비율 증가 /
: 리그닌, 세포벽 물질 증가
: 수량 점차적 증가
- 다년생 목초, 1년생 사료작물 공급 주요영양소 : 탄수화물, 가소화영양소, 광물질, 비타민
- 목초 : 가소화단백질, 탄수화물, 전분, 팩틴, 산 → 소화율 높음
: 리그닌,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섬유소 계통) → 소화율 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