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73강. 디젤엔진의 배출가스와 대책 1
73강. 디젤엔진의 배출가스와 대책 1
현재 경유 자동차의 유해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디젤 신기술 시스
템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현재 개발된 중요 시스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ECM
엔진 ECM 성능의 경우 기존의 16bit에서 방식에서 32bit방식으로 바뀌었는데 이런
이유로 센서에서 엔진 ECM로의 입력 신호값을 기존 보다 좀 더 정확하게 보낼 수 있어
최적의 제어를 엔진 ECM에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 고압펌프
커먼레일엔진에서 고압펌프의 최고 압력을 기존의 1350bar에서 1600bar로 상향 조
정하였는데 이는 인젝터를 통해 연소실로 분무되는 연료의 무화와 관통력을 좋게 하여
엔진출력 향상 및 유해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적용하고 있다.
다. 연료 압력 제어방식
연료 압력 제어하는 방식도 변경이 되었다. 기존 커먼레일에 연료 압력 조절 밸브는
입구 제어방식인 인렛 미터링밸브를 사용하거나 또는 출구제어 방식인 연료 압력 조절
밸브를 시스템에 따라 하나만 채택하여 적용하였으나 연료압력의 정밀제어를 위해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작동하는 입/출구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라. 가변 스월 액추에이터(VSA)
가변 스월 액추에이터(VSA)를 흡기 매니폴드에 설치하여 엔진 부하에 따라 저부하 운
전 상태에선 한쪽 밸브를 닫아 흡입 공기의 유속을 좀 더 빠르게 공급하고, 고부하 운전
상태에선 밸브를 모두 개방하여 흡입공기량을 많게 합니다. 이로 인하여 엔진출력 향상
및 유해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적용하고 있다.
마. 에어 컨트롤밸브(ACV)
에어 컨트롤밸브(ACV)의 경우 기존 디젤링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로틀 플랩 기능과
정확한 EGR 제어를 위한 것으로 배기가스가 재순환될 때 에어 컨트롤밸브를 작동시켜
흡입공기량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정밀제어
EGR제어가 기존에 방식과는 다르게 기존에 흡입 공기량 센서에 의한 피드백 제어뿐
아니라 에어 컨트롤밸브와 광역 산소 센서를 적용하여 연료량 제어를 통한 정밀한 EGR
제어를 실현하였으며 이러한 정밀제어를 위해 기존 기계식 EGR시스템보다 좀 더 정확
한 EGR 제어를 하기 위한 전자식 EGR밸브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냉식 EGR 쿨러 적용
되어 엔진의 출력 및 배기가스의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