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기관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42강. 희박연소 기관의 각종 제어

미여울 2023. 6. 22. 17:39
728x90
반응형

42강. 희박연소(린번) 기관의 각종 제어

가. 희박연소 제어
(1)희박과 이론 혼합비 구간
희박연소 기관이 LA-4모드 시험조건에서 실제로 희박연소 운전을 하는 영역은 약
61% 정도이다.

LA-4 모드란
① 기관 기동 후 기관상태가 안정되어 가는 구간(505초)
② 기관 냉각수 온도 및 운전 상태가 충분히 안정되어 있는 구간(887초)
③ 기관 정지 구간(10분)
④ 기관이 충분히 난기 운전된 상태에서 재 기동하여 주행하는 구간(505초) 단, 시험 자동차는
12시간 이상 20~30℃의 대기상태에서 정지되어 있는 자동차이다.

(2) 희박연소 제어를 하지 않는 조건
① 공전상태에서는 제어를 하지 않는다. 다만, 주행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희박연소
를 제어한다.
② 희박연소 제어조건 및 영역에서 급가속을 하는 경우에는 희박연소 제어를 하지 않는다.
나. 매니폴드 스로틀밸브 제어
와류 제어용 매니폴드밸브의제어 전체 구성도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그리고 매니폴드 스로틀밸브는다음과 같은 조건에서는 닫힌다

매니폴드 스로틀밸브 제어 구성도

① 희박연소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② 기관을 크랭킹 할 때
③ 기관이 공전상태일 때. 단, 기관이 공전할 때에는 공전 스위치가 ON상태에서 매
니폴드 스로틀밸브가 곧바로 닫히는 것이 아니고 약 2초 후에 닫힌다. 이것은 주
행속도가 낮은 1단에서 3단 사이의 변속에서 매니폴드 스로틀밸브의 개폐가 반복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④ 점화스위치를 OFF후에도 3초 동안 솔레노이드밸브를 3번 ON, OFF시킨다. 이것
은 기관의 가동을 정지 후에도 컴퓨터 전원이 OFF되고, 솔레노이드밸브가 계속
닫혀 있게되므로 매니폴드 스로틀밸브에 부하가 가해질 경우 밸브의 고착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다. 분사시기 제어
희박연소가 이루어질 때의 분사시기는 희박연소 한계와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최소
가 되도록 정해야 하며, 분사시기는 연료분사 완료시점을 기준으로 흡입행정 상사점 후
(ATDC) 50~90
°이다.


라. 혼합비 피드 백 제어
혼합비 제어는 이론 혼합비(14.7 : 1)부근에서는 기존의 기관과 같으며, 희박연소 영
역에서는 매우 미세한 연료량을 증감시켜 제어한다. 또 희박연소 제어영역에서는 혼합
비와 관계되는 인자들인 연료압력의 저하, 인젝터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곧바로
기관이 정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마. 운전성능 개선 제어
희박연소 구간에서는 공전속도 조절 액추에이터를 어느 정도 열림 상태로 작동하다
가 이론 혼합비 구간으로 변화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닫아 급격한 회전력 증가를 억제
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열어 급격한 회전력 감소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제
어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충격을 저하시킬 수 없으므로 점화시기 제어와 연료 분사량
제어를 함께 수행하도록 한다.


바. 가속성능 개선 제어
희박한 혼합비로 운전 중에 가속으로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희박 혼합비에서 이론
혼합비로 재빨리 전환시켜 가·감속을 향상시킨다.

 

희박연소의 운전조건은 기관 회전속도, 냉각수 온도, 기본 분사량, 변속기어의 위치, 주행속
도 및 스로틀밸브의 열림정도 등으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의 경우 파워 온(power
On) 가속일 경우와 정속 주행을 할 때, 자동 변속기의 경우에는 D레인지 3속 이상의 정속 주
행할 경우로 한정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