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기관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24. 부동액과 냉각수

미여울 2023. 6. 11. 08:58
728x90
반응형

24. 부동액과 냉각수 

가. 부동액
부동액은 냉각수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수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액
체이며, 그 종류에는 에틸렌글리콜, 메탄올, 글리세린 등이 있으며 현재는 에틸렌글리콜이 주로 사용된다.

 

(1) 부동액의 특징
(가)에틸렌글리콜의 특징
① 비등점이 197.2℃, 응고점이 최고 -50℃이다.
② 도료(페인트)를 침식하지 않는다.
③ 냄새가 없고 휘발하지 않으며, 불연성이다.
④ 기관 내부에 누출되면 교질 상태의 침전물이 생긴다.
⑤ 금속 부식성이 있으며, 팽창계수가 크다.


(나) 메탄올의 특징
① 알코올이 주성분이며, 응고점이 -30℃이다.
② 가연성이며, 도료를 침식시킨다.
③ 비등점이 80℃ 정도이므로 휘발성이 크다.


(다) 글리세린의 특징
① 비중이 커 혼합할 때 잘 저어야 한다.
② 금속 부식성이 있다.


(2) 부동액 다루기
(가) 부동액의 구비조건
① 물보다 비등점이 높아야 하며, 빙점(응고점)은 낮을 것
② 물과 혼합이 잘 될 것
③ 휘발성이 없고, 순환이 잘 될 것
④ 내부식성이 크고, 팽창계수가 적을 것
⑤ 침전물이 없을 것


(나) 부동액의 혼합비율
부동액의 혼합비율은 그 지방 최저온도보다 5~10℃ 더 낮은 기준으로 사용하며,
부동액의 세기(농도)는 비중계로 측정한다.


(다) 부동액 넣기

① 부동액 원액과 연수를 혼합한다.
② 냉각 계통의 냉각수를 완전히 배출시키고, 세척제로 냉각장치를 세척한다.
③ 라디에이터 호스, 호스 클램프, 물 펌프, 헤드 개스킷, 드레인 플러그 등에서 누
출 여부를 점검한다.
④ 부동액 주입은 냉각수 용량의 80% 정도 넣고, 기관을 기동하여 난기운전시킨 후
정온기가 열린 후 나머지를 규정 위치까지 채운다.
⑤ 부동액이 부족하면 에틸렌글리콜은 물만 보충해 준다.
⑥ 부동액이 녹 등으로 변색이 된 경우에는 다시한번 더 냉각계통을 세척하고, 새 부
동액을 주입한다.


나. 냉각수
기관에서 사용하는 냉각수는 연수(증류수, 수돗물, 빗물)를 사용하며 물은 구하기 쉽
고, 열을 잘 흡수하는 장점이 있으나 100℃에서 비등하고, 0℃에서 얼며 스케일(scale)
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다. 온도계
수온계는 실린더 헤드 물 재킷 내의 냉각수 온도(75~85℃)를 표시하는 것이며, 종류
는 다음과 같다.
① 밸런싱 코일 방식
② 서모스탯 바이메탈 방식
③ 바이메탈 저항 방식

수랭식 기관의 과열원인
① 구동벨트의 장력이 적거나 파손되었다.
② 냉각 팬이 파손되었다.
③ 라디에이터 코어가 20%이상 막혔다.
④ 라디에이터 코어가 파손되었거나 오손 되었다.
⑤ 물 펌프의 작동이 불량하거나 라디에이터 호스가 파손되었다.
⑥ 정온기가 닫힌 채 고장이 났다.
⑦ 정온기 열리는 온도가 너무 높다.
⑧ 물 재킷 내에 스케일이 많이 쌓여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