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기관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6. 기관의 배기량과 압축비
미여울
2023. 6. 1. 11:58
728x90
반응형
6. 기관의 배기량과 압축비
▶ 평균 유효압력 전체의 폭발압력이 피스톤에 작용하여 피스톤에서 행한 일과 같은 양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압력이다. 즉, 1사이클 중 수행된 일을 행정체적으로 나눈 값이며 평균 유효압력을 높이기 위해 서는 압축비 상승 및 흡입 공기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
가. 배기량
실린더의 크기는 기관의 성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실린더 안지름을 D(cm), 피스
톤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행정(stroke)을 L(cm)라고 하면, 1개 실린더의
행정 체적 V는
그리고 다(多) 실린더 기관에서는 실린더 수(Z)를 곱한 것을 그 기관의 총 배기량이
라고 한다.
총 배기량 V2는
또 분당 배기량(V3)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N : 크랭크축 회전 속도[단, 4행정 사이클 기관은 N/2 , 2행정 사이클 기관은 N] 압축비는 피스톤이 하사점에 있을 때 실린더 총체적(행정 체적+연소실 체적)과 피스
톤이 상사점에 있을 때 연소실 체적(또는 간극 체적)과의 비를 말한다.
흡입된 혼합가스(가솔린기관의 경우) 또는 공기(디젤기관의 경우)가 압축행정에서 압
축되는 비율이며, 압축비를 높이면 열효율이 향상되고 출력도 높아지며 연료 소비율이
감소한다.
그러나 압축비를 너무 높게 하면 가솔린기관에서는 노크(knock)가 일어나며, 디젤기
관에서는 기계적 손실이 커진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가솔린 기관의 압축비는 7~9 : 1,
디젤기관은 15~22 : 1 정도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