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15. 유색보석의 가치 평가 기준 4C
115. 유색보석의 가치 평가 기준 4C
(1) 컬러(Color)
유색보석에 있어서 컬러는 가장 중요한 가치결정 요인이며, 유색보석은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색이 각각 있다. 사람의 눈으로 감지되는 보석의 색이 더 밝은가, 더 어두운가
또는 더 선명한가, 덜 선명한가 등의 다양한 차이들이 유색보석의 가치에 큰 영항을 미친다.
유색보석의 컬러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보석들이 갖는 전형적인 색 범위를 고
려해야하며, 그 범위 내에서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파이어의 청색을 탄자나이트
의 청색과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그리고 보석의 크기는 컬러에 영향을 미친다.
똑같은 원석을 연마하더라도 큰 스톤은 작은 스톤보다 채도가 더 높게 보인다. 이러한
색 구분의 일관성을 기하기 위해서 마스터스톤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렇게 구별된 색중 가장 두드러진 색을 주색이라고 하며, 표시는 나지만 두드러지지 않는 색은 부가된 색
으로 표현된다. 또한 보석의 컬러 체인지, 다색성, 윈도윙, 컬러 조닝 등 부가적인 요소에 주의가 필요하다.
(2) 클래리티(Clarity)
클래리티는 컬러 다음으로 가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보석의 클래리티 특
징인 인클루전과 표면의 블레미시가 상대적으로 얼마나 있는가 또는 없는가의 정도를
나타낸다. 인클루전은 보석의 외관과 내구성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크기, 숫자,
위치, 성질, 색, 선명도를 고려하여 평가한다.
특히 유색보석은 여러 가지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으로 형성됨으로서 각각의 보석이
형성과정에 의해 인클루전이 더 많고, 더 적은 경향이 있어 각 보석에 따라 클래리티 타
입을 다음 [표 9-1]과 같이 3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여 평가 한다. 이 평가 방법은 패싯팅
된 투명한 스톤에만 적용되며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스톤 및 캐보션으로 연마된 스톤
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인클루전이 너무 많아 스톤 전체가 투명하지 않고 보석의
아름다움이나 내구성 또는 이 두 가지가 결핍된 경우 데클라쎄(declasse)로 등급한다
미국(GIA), 일본(스와무역)의 클래리티 등급 시스템은 다음 [표 9-2]와 같다.
클래리티 타입
Type | 인클루전의 상태 | 주요 보석 |
Ⅰ | 흔히 인클루전이 없는 경우 | 토파즈, 아콰마린, 쿤자이트, 탄자나이트 등 |
Ⅱ | 보통 인클루전이 있는 경우 | 루비, 사파이어, 가닛, 페리도트, 자수정, 스피넬, 투어멀린(녹색, 청색, 황색) 등 |
Ⅲ | 거의 항상 인클루전이 있는 경우 | 에메랄드, 투어멀린(적색, 워터 멜론) 등 |
[ 표 9-2 ] 클래리티 등급 시스템
미국(GIA) | 일본(Suwa) |
VVS (Very Very Slightly Included) |
S (eye-clean): 육안으로는 내포물이 잘 보이지 않으며 특별하게 아름다운 것 |
VS(Very Slightly Included) | A (slightly inclusion): 약간의 내포물이 보이지만 상당히 아름다운 것 |
SI1-2(Slightly Included1-2) | B (moderately inclusion): 어느 정도 내포물이 보이지만 아름다운 것 |
I1-3(Included1-3) | C (heavily inclusion): 내포물이 쉽게 발견되며 다소 아름다움이 결여된 것 |
Dcl(Declasse) | D (severely inclusion): 투명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며 아름다움이 결여된 것 |
(3) 커트(Cut)
커트는 먼저 보석의 형태를 만들고 브릴리언트, 스텝, 믹스트 컷, 캐보션 등의 스타일
로 연마하는 과정이며, 커트평가는 프로포션과 피니시를 고려하여 평가한다. 프로포션
은 전체적인 대칭성, 브릴리언스, 패싯 등의 크기와 각도 관계를 분석하여 스톤의 기본
적인 디자인의 균형과 매력을 포함하여 보석의 광학적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
이 고려된다. 피니시는 스톤 표면의 연마상태와 작은 패싯들의 밸런스가 포함된다.
유색보석은 종류에 따라 각 보석의 특징을 극대화하여 아름답게 보여질 수 있는 전형
적인 컷 형태가 있다. 직사각형의 스텝 컷은 에메랄드에 자주 사용되어 에메랄드 컷이
라고 부른다. 브릴리언트으로 연마된 에메랄드는 선호도가 낮아 거래가 어렵지만 루비
나 사파이어는 브릴리언트로 연마된 스톤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또한 유색보석은 다이
아몬드와 달리 보석의 색과 중량, 투명도, 특수효과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연
마하기 때문에 커트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미국(GIA) 커트 등급 시스템은 프로포션 등급과 피니시 등급을 종합하여 최종 커트
등급을 결정한다(p573~p574 참조). 먼저 프로포션 등급은 페이스 업 아웃라인, 브릴리
언스, 프로파일 3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항목은 1부터 10까지에서 하나의 등급이 주어
지며, 이렇게 결정된 3단계의 등급을 평균하여 전체적인 프로포션 등급이 결정된다.
(페이스-업 아웃라인 등급 + 브릴리언스 등급 + 프로파일 등급) ÷ 3 = 프로포션 등급 |
피니시 등급은 폴리시(연마상태), 대칭 그리고 패싯 관찰로 나뉘어 평가하는데 먼저
폴리시와 대칭을 각각 1부터 10까지에서 하나의 등급을 결정하고, 결정된 피니시 등급
에 패싯의 수와 크기가 스톤의 전반적인 외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 패싯 관찰 등
급을 적용하여 피니시 등급이 한 단계 낮춰질 수 있다.
(폴리시 등급 + 대칭 등급) ÷ 2 = 피니시 등급 |
최종 커트 등급은 피니시 등급이 프로포션 등급보다 높으면, 프로포션 등급을 최종
커트 등급으로 결정되며, 최종 커트 등급은 프로포션 등급보다 높아서는 안 된다. 만약
피니시 등급이 프로포션 등급보다 낮다면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최종 커트 등급을 결
정한다.
(프로포션 등급 × 4) + (피니시 등급) ÷ 5 = 최종 커트 등급 |
(4) 중량(Carat)
캐럿 중량은 4C중 가장 객관적이고 명확한 가치평가 요소이다. 보석은 메트릭 캐럿
(metric carat)으로 중량을 나타내며, 1캐럿은 0.2g과 같다. 중량은 소수점 둘째자리까
지 나타낸다.
주얼리에 사용되는 보석은 일반적으로 중량이 클수록 가치도 상승한다. 커다란 크기
가 드문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와 같은 보석은 캐럿 당 가격이 중량의
증가와 함께 급격히 올라가지만 중량과 크기가 큰 것이 흔한 보석들은 중량의 증가와 무
관하게 캐럿 당 가격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너무 크고 무거운 보석은 세팅과 착용에
어려움이 있어 주얼리로서의 매력이 낮아질 수도 있다.
* 그 외 다른요소
보석의 산지, 특수효과, 처리 유무도 중요한 가치평가의 요소이다. 버마(미얀마) 루
비, 스리랑카산 사파이어, 콜롬비아산 에메랄드, 버마(미얀마) 비취와 같이 특정 한 산
지에는 상질의 보석이 많이 채광되는 주요 산지이며, 그에 따른 고객의 선호도가 높아
가치평가를 함에 있어 4C 평가요소 이외에 프리미엄이 추가되기도 한다. 그리고 특정
보석에 특수효과가 있는 경우 얼마나 아름답고 뚜렷하게 나타나는가도 가치평가에 중요
한 요소가 된다. 또한 보석의 처리유무는 가치평가 요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같
은 두 개의 보석이 비슷한 4C 평가기준을 보인다 하더라도 보석의 처리 유무에 따라 가
치의 차이는 매우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