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7. 내포물의 종류
47. 내포물의 종류
호스트 크리스털(Host crystal) - 다른 물질이나 좀 더 작은 결정체를 포함하고 있는 큰 결정체 |
내포물이란 보석의 내부에 고체, 액체, 기체 또는 고체와 액체가 혼합된 형태의 물질
로 육안 또는 확대 검사를 통해 그 존재를 알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보석 내부의 균열,
성장 구조 등도 넓은 의미의 내포물이다. 내포물의 관찰로 알 수 있는 것으로는 보석의
종류를 구별, 천연보석과 합성석의 식별, 산지에 대한 추정, 원석을 가공시 연마 방향의
설정, 인공처리 여부, 보석의 생성 과정과 생성 환경의 이해 등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1) 고체 내포물
천연보석 내부에 있는 고체 내포물(crystal inclusion)은 광물 특유의 결정형을 완벽
하게 갖추며 성장한 광물형태와 불완전하게 발달된 형태를 갖고 있는 광물형태로 존재
하는 것이 보통이나, 때로는 괴상 혹은 수지상 형태로도 존재한다[그림 3-80]. 고체 내
포물은 보석의 생성 시기의 전후에 따라서 세 가지로 분류한다.
1) 선생성(先生成) 내포물은 내포물이 보석 보다 먼저 생성된 후에 보석이 생성되면서
보석 안에 내포물이 갇히게 된 것으로 예를 들자면 다이아몬드 내의 호스트 크리스털인
가닛 내포물과 아이올라이트의 고체내포물 등이 있다
2) 동시생성(同時生成) 내포물은 내포물과 보석이 거의 동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예를 들
자면 데만토이드 가닛의 크리소타일(chrysotile), 에메랄드의 방해석 내포물 등이 있다.
3) 후생성(後生成) 내포물은 보석이 먼저 만들어지고, 그 이후에 내포물이 생기어 보
석의 내부에 갇히게 된 것으로 예를 들자면 모스 아게이트의 이끼상, 덴드리틱 아게이
트 내의 수지상 내포물이 있다.
(2) 액체 내포물
액체 내포물(liquid inclusion)은 수용액에서 성장한 주결정 속에 남겨진 액체로 거의
모든 보석 속에서 존재하며 용액 상태에서 성장한 합성석 속에서도 있을 수 있다.
1) 단상 액체 내포물(mono phase inclusion)은 한 공간에 액체만 단독으로 존재하는
형태의 내포물로서 물방울형, 지문형, 페더형, 기타 불규칙한 형태 등 여러 가지 모양으
로 나타난다.
2) 이상 내포물(two-phase inclusion)은 단순히 액체로만 존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온도가 낮아짐에 따른 액체의 부피감소로 인해 발생된 기체가 같은 공간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액체와 기체로 구성된 내포물을 말한다.
3) 삼상 내포물(three-phase inclusion)은 어떤 화학성분을 다량 포함한 내포용액 속
에서 고체 결정이 형성되어 기체까지도 한 공간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액체, 기체, 고체
로 구성되어진 내포물을 말한다.
4) 관상 내포물(tube inclusion)은 관 속에 액체가 들어 있거나 속이 비어 있는 형태
의 내포물을 말하며 대부분 주결정의 장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밀집된 분포를 보이며,
관상 내포물이 현저하게 많은 경우에는 캐츠아이 효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기체 내포물
기체 내포물(gas inclusion)은 주로 구형이지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주요
특징은 보석과 내포된 기포의 굴절률이 극단적으로 차이가 많기 때문에 릴리프가 상당
히 높다. 아주 작으면 약간 반짝이는 작은 점같이 보여서 간혹 액체 내포물과 혼동하기
가 쉽고, 크면 도너츠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천연보석에는 천연 유리인 몰다바이트와 흑요석과 호박에서만 기포가 보인다. 그 외
의 보석에서 보이면 인공석의 증거가 된다.
(4) 균열 및 벽개
깨어짐의 현상인 균열과 벽개는 외부의 충격, 온도 변화에 의한 결정의 팽창과 수축
현상, 그리고 열 발생을 동반하는 급격한 연마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5) 누대 구조
누대 구조는 용액 속에 들어있는 발색원소의 함량의 차이로 인해 생기며 자수정, 에
메랄드, 루비, 사파이어와 같은 유색보석은 주변의 화학 성분, 온도, 압력 등의 변화에
의해 육각형의 직선 무늬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6) 성장 현상
1) 쌍정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결정 그리고 결정의 일부분이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한 것을 쌍
정이라고 하며, 특징으로는 겹쳐진 층 사이에 각각의 결정면의 경계선이 얇은 막으로
보인다. 이를 쌍정면이라고 한다.
2) 컬러 조닝
컬러 조닝(color zoning)은 일정하지 않은 결정의 성장으로 인해 때때로 색 분포의 불
균일성을 나타내어 띠 모양의 색의 분포대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색의 농담은 항상 특
유한 결정 특성에 근거해 직선적인 평행성을 나타낸다. 커런덤에서는 실크 내포물과 같
이 주결정의 결정면을 구성하는 각도와 일치한 60°와 120°의 각도로 교차한다.
3) 당밀상 내포물
당밀상 내포물은 컬러 조닝과는 별도로 어떤 종의 보석에 있어서 색의 불균일한 구조
를 볼 수 있는데, 이 조직은 마치 물 속에 꿀을 풀어 놓은 느낌이나 아지랑이를 보는 듯
한 느낌을 준다. 열파 현상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