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 감정사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22. 형광과 인광

미여울 2023. 3. 25. 19:57
728x90
반응형

22. 형광과 인광

 

보석이 자외선, X-선, 또는 음극선에 노출되는 동안 빛을 발하는 현상을 형광(螢光,
fluorescence)이라고 하며, 자극 에너지를 제거한 후에도 발광이 계속되는 경우(몇 초)
이를 인광(燐光, phosphorescence)이라고 한다. 그러나 몇몇 보석에서는 형광과 인광
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형광이나 인광은 암실에서 관찰해야 잘 나타난다.


(1) 형광의 원리
발광 현상이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는 동안만 지속되는 빛을 형광이라 한다. 전이원
소 또는 결함구조가 있는 보석에 강한 에너지를 쪼이면, 그 에너지의 일부는 열로 바뀌
어 보석에 흡수되고 남은 에너지는 쌍을 이루지 않은 전자들이 높은 에너지 준위로 옮겨
지기 위해 사용된다.

 

형광 발생의 원리
인광 발생의 원리

높은 에너지 준위로 옮겨졌던 전자는 낮은 에너지 준위인 기저
상태(바닥 상태)로 다시 되돌아오는데, 이때 두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
가 가시광선 영역의 빛 에너지로 변할 때, 우리 눈은 그 보석에서 발광 현상을 감지하게
된다. 동일 보석종이라 하더라도 보석입자나 산출지에 따라서 형광의 반응이 다르게 나
타날 수 있다. 그 이유는 보석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의 양이나 결정의 결함구조 양상이
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2) 인광의 원리
보석이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가 흥분 상태(들뜬 상태)의 준위로 이동한 후, 기저 상
태(바닥 상태)로 곧바로 되돌아오지 않고 중간 단계의 에너지 트랩(준안정 상태)으로 내
려오는 경우가 있다. [그림 2-46]과 같이 전자가 기저 상태의 준위로 되돌아가기 위해
서는 트랩을 탈출하는 데 추가적인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때 전자는 보석 주변에 있는
열 에너지로부터 추가 에너지를 공급받아 기저 상태로 되돌아가며 가시광선을 발하게
된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가 차단된 후에도 몇 초 또는 더 긴시간 동안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인광이라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