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상과 이론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1. 슘페터의 경제학

미여울 2023. 1. 21. 09:50
728x90
반응형

11강 슘페터의 경제학

 

강의요약

 

- 슘페터(Joseph Schumpeter, 1883-1950)의 생애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케인스와 더불어 20세기 경제학계의 쌍벽을 이루는 인물.

1883년 출생(케인스와 같은 해에,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에서 직물제조업자 아버지 밑에서 외아들로 태어남)

4세때 아버지가 죽고

10세때 어머니가 퇴역 장군과 재혼(그래서 슘페터는 최상급 학교를 다닐 수 있었음)

1901, (비엔나)대학 입학(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에게 수학. 슘페터도 오스트리아학파 계통으로 분류)

체르노비츠, 그라즈대학에서 강의

1919, 오스트리아 재무상

1920, 민간은행장

1924년부터 독일 본 대학의 교수로 있다가 히틀러가 등장하자 1932년에 미국으로 이민.

하버드 대학에서 경제이론을 가르침.

계량경제학회장, 미국경제학회장 역임

 

- 슘페터의 경제사상: 1-2-3

 

1. 매년 똑같은 경제행위가 반복되는 정태적 측면: 이러한 순환적 흐름(circular flow)에서 슘페터는 통상적인 수요-공급에 관한 일반균형이론이 적용된다고 생각. 그러나 이러한 정태적 상태에서는 경제발전이 일어나지 않고 이윤도 발생하지 않음(no surplus)

 

2. 동태적 측면에서 순환적 흐름을 깨고 창의적 기업가에 의한 기술혁신(innovation)에 의해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가 발생: 기술혁신이란 단지 생산방법의 혁신뿐만 아니라 신상품 개발, 새로운 원료 획득, 새로운 판로 개척, 그리고 새로운 경영조직 출현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혁신에 의해 기업이윤이 발생하고 경제는 발전 기술혁신이 자본주의 발전의 근본 동력

 

3. 경제영역을 넘어서 정치, 사회부문에 걸쳐 업적을 남김: 대규모 기업조직 속에서 기업가의 창의성이 사라지고 자본주의에 비판적인 문화가 득세하면 자본주의는 서서히 사회주의로 대체될 것이라고 예견. 슘페터의 사회주의 출현에 관한 예측은 다행스럽게 틀렸지만, 그가 강조한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

 

- 슘페터의 대표 저작

 

경제발전의 이론(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1912)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1942)

경기순환론(Business Cycles: A Theoretical Histor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apitalist Process, 1939)

 

- 경제발전의 이론: 자본주의 경제 발전은 기업가의 혁신에 의해서 이루어진다!(innovation = economic development)

 

통상적인 경제행위가 계속되는 순환적 흐름의 상태를 창조적으로 파괴하고 기술혁신에 의해서 경제가 발전하는 과정을 분석. 슘페터에 따르면 기술혁신이란 단지 생산방법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 신상품, 신원료, 신시장, 신경영조직이 등장하는 과정. 이러한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것은 기업가의 영웅적 노력의 결과. 그 결과 기업이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시장에서 독점적 이윤을 확보하면 그것이 기업이윤의 바탕이 됨.

기술혁신에 필요한 새로운 자금은 통상의 경제활동에서는 나올 수 없으므로 결국 은행의 신용에 의해 창출되어야 함. 이런 점에서 혁신의 동반자로서 은행의 역할은 중요. 은행은 어떤 기업이 혁신에 성공할 수 있을지 정확한 판단을 해야 하며 그 결과 기업가 이윤의 일부를 이자로 수취할 수 있게 됨. 나아가 기술혁신을 통해 비용이 절감되면 가격인하를 통해 소비자들도 이익을 보게 됨.

이러한 혁신의 성공을 통해 경제가 활황국면에 처하게 되면 많은 모방자들이 군생적으로 출현해 경제는 다시 완만한 성장을 하게 되고 결국에는 활력을 잃게 됨. 이러한 기술혁신 중에서 증기기관 내연기관과 같은 커다란 기술혁신은 다른 기술혁신을 유발, 자본주의의 장기적인 호황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므로 몇 십년에 걸친 자본주의의 장기적 파동을 설명하는 요인이 됨.

이러한 슘페터의 생각은 많은 전통적인 경제학의 사고와 다른 점이 있다. 첫째, 기술혁신을 통해 독과점 체제가 생기고 이러한 독점이윤이 또다시 기술혁신을 위한 자금이 되므로 독과점체제가 기술혁신에 유리하다는 점이다. 이 사실은 슘페터 가설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실증연구 결과 나라에 따라 성립하는 경우와 아닌 경우가 있다. 둘째, 기술혁신은 단지 발명이나 공정혁신과 다르므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신개발품이 상품화되고 신조직이 정착하려면 시간이 걸리고 사람들의 인식이나 정보가 바뀌어야 한다. 기술이 개발되고 이것이 상품화되는데는 짧게는 몇 년, 길게는 몇 십 년이 걸린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기술혁신을 성공시키는데 필요한 자금지원 인력지원 등 기술혁신체제는 국가적 여건에 크게 의존한다. 최근 기술경제학에서 국가적 혁신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에 대해 연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신슘페터주의 기술경제학

마지막으로, 불황기가 오래 계속되면 기존 기업활동에 묶였던 인력 시설 등이 풀리므로 점차적으로 기술혁신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위기는 기회"라는 말은 사실상 불황기에 새로운 사업을 할 환경이 조성된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불황기에 맞는 새로운 상품과 조직변화가 생김으로써 성공적인 자본주의 경제에서 불황기가 점점 짧아지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불황에 빠진 경제와 기업들에 희망적인 측면

 

-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40여 년에 걸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에 관한 연구의 결과물. 5부로 구성된 이 책은 출판되자마자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키며 대중적 성공까지 거두었음. 난해하고 복잡하기로 유명한 그의 저술 스타일과는 달리 비교적 쉽게 쓴 점도 그 성공에 한 몫을 담당했음.

그는 이 책에서 자본주의의 미래를 회의적으로 보았으며 자본주의의 종말이 도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기순환론

 

경기순환을 일으키는 기본적 요인은 창조적 기업가에 의한 기술혁신. 기술혁신(innovation)은 단순한 발명뿐 아니라, 신상품 개발-신원료 발굴-신시장 개척-신조직 도입을 포함한 광범위한 변화과정.

기술혁신을 통해 이윤이 창출되고 이를 모방하여 많은 기업이 군집을 이루어 등장하면 호황이 되지만, 결국 경쟁에 의해 수익률이 저하되면 불황에 빠진다.

 

경기순환의 역사적 단계

산업혁명기(1787-1842)

철도혁명의 시대(1843-1892)

신중상주의 콘트라티에프(1898-1938)

 

슘페터의 실증분석이 가지는 의의: 경기분석에서의 외적 교란요인의 취급에 각별히 중요한 의미를 두고, 그 위에 경제발전을 낳는 혁신의 원천이 어떤 기업, 또는 어떤 산업에서, 어떤 시점에서 구해지는가 하는 점을 중시. 슘페터는 단순한 경제변수 행위의 분석에 만족하지 않고 이들 움직임을 광의의 인간행동과 제도적 요인과의 관련 속에서 해명하고자 하였음

 

- 진화경제학

 

이론적 연원: 진화생물학, 게임이론, 카오스이론(복잡계경제학)

 

진화경제학 비판

인간은 어떠한 합리성도 가지지 않는다? : 신고전파의 진화경제학 비판

신고전파적인 완전한 합리성이 현실적인가? : 진화경제학의 신고전파 비판

진화경제학의 합리성은 유기체적 합리성’ : 인간의 경제활동은 생존에 적응하는 과정

 

인간의 행동 패턴: 현실적 인간행동은 극대화나 최적해의 도출보다는 오히려, 모방, 나아가 혁신으로 나타난다. , 우수한 행동 패턴의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 또는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

 

게임이론적 접근(game-theoretical approach): 진화적 게임이론 다수의 경제주체가 고정된 행동전략을 가지고 매 시점 무작위로 대응되어 게임을 하고, 기존 전략이 보수가 낮은 것으로 판명될 경우 전략을 변경한다고 할 때, 장기적으로 경제주체의 행동전략이 어떤 양상을 띠는지 살펴보는 것

 

시뮬레이션 기법(simulation technique): 장기적 결과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t-1)기로부터 주어진 정보를 여건으로 하여 t기의 결과를 얻고, 다시 이 결과로부터 주어진 정보로 여건을 형성하여 (t+1)기의 결과를 낳는 과정을 반복하여 계산하는 것이 요구됨 최초의 주어진 시점의 정보에서 출발하여 관심을 가지는 변수의 매 시점의 값을 계산하는 방법=시뮬레이션 기법

 

진화경제학의 주요 개념

약화 피드백

강화 피드백

고착효과(lock-in effec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