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상과 이론

경제학과, 경제학부, 상경대, 방통대 필독 경제사상과 이론 요점 요약 정리 7. 마르크스 경제학

미여울 2023. 1. 19. 08:20
728x90
반응형

7강 마르크스 경제학

 

강의요약

 

- 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의 생애(Life)

 

181855일 화요일, 독일의 라인주(Rhineland) 트리어에서 태어남: 아버지는 변호사, 어머니는 귀족 출신. 부유한 가문에서 어려움 없이 자란 철부지

1835(17), (Bonn)대학 입학(인문계)

1836(18), 베를린(Berlin)대학(법학, 철학)

이후 예나(Jena)대학: 그리스철학 탐구 박사학위 취득(1841, 23) :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의 자연철학의 차이점

선배 B.Bauer가 교수가 되지 못함: 교수 꿈 포기

1842, 라인신문(Rheinishe Zeitung) 편집자

1843(25), 정부에서 이 신문을 폐간시킴.

4살 연상의 예니(Jenny von Westpalen)와 결혼.

파리로 이주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들과 교류

신문(독불연보) 발간 독일에도 판매

이후, 런던(London)으로 망명 엥겔스(Engels): 맨체스터에서 아버지의 방적공장에 근무하고 있던 엥겔스가 마르크스에게 재정적 원조

1848, 공산당선언(Communist Manifesto) : “Working Men of All Countries, Unite!”(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1867, 자본론(Das Kapital)

1883, 사망

1885, 자본론Vol.2 (Engels)

1894, 자본론Vol.3 (Engels)

1905-1910 , 자본론Vol.4 (Karl Kautsky)

잉여가치학설사

 

- 자본론(Das Kapital)

 

1=자본의 생산과정: 노동력이라는 상품의 특수한 성격 때문에 생산과정에서 잉여가치가 발생하고 혹은 착취됨

 

2=자본의 유통과정: 자본의 회전, 재생산양식 등

 

3=자본주의적 생산의 총과정: 이윤율저하의 법칙, 가치로부터 생산가격으로의 전형문제, 시장가치론, 상품자본론, 신용론, 지대론, 착취된 잉여가치가 여러 자본가나 지주 등에 재분배되는 과정

 

-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구성 요소

 

독일의 고전철학(헤겔 변증법)

프랑스의 사회주의(사상)

영국의 고전파경제학

 

인간 노동이 지닌 이면적 성격

 

구체적 유용노동: 상품의 사용가치를 형성. 서로 질(quality)을 달리하는 노동. 면화로 면사를 만든다면 방적노동’, 철광석으로 선철을 만든다면 제철노동. 각 노동의 목적·대상·수단·방법·결과가 각 상품에 대하여 정해져 있음 사회적 분업

 

추상적 인간노동: 상품의 교환가치를 형성. 단지 분량(quantity)으로 인식되는 동질의 노동. 면사를 만든 노동이나 선철을 만든 노동이나 모두 해당 상품에 인간의 노동량이 얼마나 투하되어 있는지가 중요할 뿐

 

- 자본순환 도식의 비교

 

물물교환 (barter) : C C (simple economy)

 

단순상품유통 : C M C (money economy)

 

자본주의 : M C M’ (capitalist economy)

 

- 노동 vs. 노동력

 

labor = 노동

 

labor power = 노동력 : 노동력은 상품이다

 

value of labor power = 노동력의 가치 : 1시간 노동생산에 필요한 임금재의 가치

 

 

- 상품의 가치

노동가치설에 의하면 노동만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때문에, 기계·원료 등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지 않으므로 불변자본이다.

 

-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하는 정도

 

 

이윤율

 

 

자본이 모두 유동자본(circulating capital)이라면, 가치 차원에서 추정한 이윤율(rate of profit)

이윤율 저하 경향 (law of the tendential fall in the rate of profit)

 

- 가치와 생산가격

 

가격 설명 불충분

수요

시장의 속성 불확실성

생산가격(price of production) 가치 (동일한 개별 상품에서)

 

Marx의 답: 개별상품 가치생산비

경제전체, 잉여가치 총액=이윤총액

 

transformation of value into price of production 전형문제(transformation problem)

 

- 사적 유물론(史的 唯物論)

 

인류사는 경제적 사회구성체의 교대(交代) 과정. 계급사회에 관해서만 보면 다음과 같다.

1. 공납제 - 아시아적 생산양식

2. 고대노예제사회(그리스, 로마) - 노예제적 생산양식

3. 중세봉건제사회 - 봉건적 생산양식

4. 근대자본주의사회 - 자본제적 생산양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