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8. 영화의 세계 - 관습적 영화 읽기
제 8 강 영화의 세계 - 관습적 영화 읽기
관습적 영화 - 극장에서 보는 일반 상영 영화
영화의 이야기 전개 방식, 찍거나 편집하는 방식이 공식처럼 정해져 있는 것
1930년대 할리우드에서 제작된 영화의 제작 방식
가장 통일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는데, 누가 등장하고 어떻게 찍었는가를 하다가 관습적인 영화가 되었다.
어떤 규칙이 존재하는가? 장점으로 작용하는가 단점으로 작용하는가.
강의 1) 관습적인 영화란 무엇인가?
아주 쉬운 영화. 대중들이 극장에서 편리하게 보고
따라가는 감정 그대로 볼 수 있는 영화.
영화예술이 좀더 수준 높은 예술의 영화를 원하는 사람들은 관습적인 영화에 비판적이다.
▶ 관습적인 영화에 대한 비판
1) 영화제작 방식에 대한 비판
(관객을 모으기 위해 어떤 이야기를 활용하고 있는가? 정작 하려는 말은 빠뜨리고 있다.)
2) 이데올로기적 왜곡에 대한 비판
(이 관습적인 영화들이 많은 사람들을 극장으로 불러모아 돈을 목적으로 취하다보니 역사적 사실이나 현실문제를 왜곡하고 고정된 생각들(남녀차별, 인종차별)을 은연중이나 노골적으로 묘사해서 이데올로기적으로 왜곡되어 있다)
▶ 관습적 영화의 제작방식상의 특징
<meet the parents>를 대상으로
1) 스타의 출연 (로버트 드니로, 벤 스틸러 등의 스타를 일단 출연시켜 놓아야 관객이 온다)
2) 현실적 조건과 욕망의 생성 (연인의 결혼하고 싶다는 욕망의 생성)
3) 장애물의 등장 (주인공(사위)이 계속 사고를 침. 장인과 장모의 눈에는 탐탐치 않은 사위)
4) 변화 발전하는 구조
(결혼하려는 남녀의 욕망과 막으려는 장인과 장모의 다툼 등 점점 더 상황은 안 좋아짐)
5) 인간 관계의 선형성
(원인과 결과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진행됨. 인간 관계를 끌어나가는데는 굉장히 치밀하고 중층화 되어감. 때문에 관객은 영화가 비현실적이 되더라도 영화에 빠져들게 됨)
6) 비제한적인 나레이션 (상세하게 설명된 정보)
(주인공 감정이나 상태를 자세하게 설명. 어렵다는 영화들은 상세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는다.)
7) 명확한 결말 (해피엔딩)
(어떤 사건에 대한 명확한 결말을 보여준다. 또한 대부분이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 관습적인 영화의 이데올로기적 특징
1) 여성비하
(관습적인 영화들. 특히 탈출하는 영화들은 긴박한 상황에서 여자의 하이힐이 하수구에 박혀 시간을 지체한다거나 하는, 위기감을 주기 위한 보조적인 도구로서 많이 사용)
2) 인종차별
(황인종, 흑인들은 할리우드 영화의 역할에서 직업이 낮고 천박한 장면들이 많음. 관객들에게 인종에 대한 차별과 고정관념을 시어줄 수 있다.)
3) 성공신화
(현실에서는 결혼이나 계급문제, 빈부차이의 극복이 힘들지만 영화에서는 가능하고 주인공은 언제나 모든 역경을 뚫고 나옴. 꿈과 희망을 준다고 볼 수도 있지만 관객들에게 현실의 모순을 바라보고 비판하기보다는 환상적인 몽롱한 꿈을 갖게 하기도)
4) 항상 해결되는 문제
(성공신화와 연관. 주인공은 무엇이든 해결하는데 현실의 문제가 언제나 극복될 수 있다는 착각을 불러올 수 있다.)
5) 보수적인 가치관
(여성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영화에서는 화해와 타협으로 끝나고, 미국 영화의 베트남전이 미국의 시각에서만 보고(미국이 고통을 받았다) 국내영화도 용맹한 우리 군인들을 그리고 있지만
동경국제영화제 그랑프리를 받은 ‘하얀 전쟁’을 보면 베트남인들의 고통을 다루고 있다.
동성애의 편견들도 영화에 그대로 들어나 있다.)
강의 2) <공동경비구역 JSA> 평가
남북간의 대치상황을 다룬 기존 반공영화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깊은 자각을 불러 일으켰다.
▶ 작품의 이해
1) 분단 현실에 대한 자각과 화해 강조
2) 뛰어난 재미와 연기 (연출도 뛰어나고 적절한 연기)
▶ 공동경비구역 JSA에 대한 비판
1) 허구적 논리를 짜 맞추기 위해 관습적 방식을 채택
2) 영화의 재미를 위해 지나치게 유머스런 상황 설정 - 현실에 대한 인식 감소
(북측 초소에서 송강호의 대사 “따뜻하구만!” 을 이병장이 아침에 반복. “따뜻하구만!”
짜맞추기를 하면서 재미를 강화시키지만 이것이 오히려 남북의 대치상황을 희석시킴.)
▶ 짜맞추기식 설정
- 남북 대치라는 현실적 상황을 희석시킴
북한의 오중사의 말과 이병장이 소피소령 앞에서 다시 읊조리는 같은 대사.
“실전에서는 뽑는 속도가 중요한게 아니라 얼마나 침착하고 대담하게 행동하느냐가 중요하다”
영화속의 많은 상황속에서 같은 대사가 반복되고 있음 - 영화속에서 더 얘기할 것들을 놓칠 수 있음.
▶ 짜맞추기 구성
- 심도 있는 내용탐색을 놓칠 위험 발생
* “아바지가 일찍 돌아가셔서 집에 사내라고는 나밖에 없시요.” → 이 영화가 관습적인 영화라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이 대사로 이 사람이 곧 죽을 것이라는 암시를 받을 것이다.
* 영화 속 복선에서 실마리를 찾는 듯 하지만
정작 영화의 결말은 다른 문제가 문제를 해결하도록 만듦. - 맥거핀 전략
▶ 맥거핀(가짜 단서) 전략에 충실
1) 소피소령의 등장
(실제 소피소령이 영화속에서 해결하는 것은 별로 없음.)
2) 오중사의 허풍
(오중사는 허풍을 떠는 경향이 있는데, 허풍을 떨면서 비현실적인 현상들을 만회하는 역할을 함)
3) 이병장의 죽음 (모두 불행하게 되고 처음의 화해의도가 감소되므로 이병장이 죽는 설정으로 남북이 다 피해자였다는 느낌을 갖도록 의도)
* 영화는 훌륭하고 분단을 다룬 영화 중 독보적이다. 그러나 관습적인 측면에서는
- 더 현실인식을 풍부하게 하고 분단을 극복할 수 있는 마음을 심어줄 수 있는 영화가 지나치게 관습적인, 영화적인 틀을 준수함으로서 매력을 어느 정도 감소시켰다.
동시에 관습적인 틀들을 이해하기 바란다.
1. 영화는 다양하다. 다양한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 film, movie, cinema 등 다양하기 때문에 넓게 깊게 보아야 한다.
2. 기초적인 개관들은 알아야 한다. 영화가 어떻게 구성되고, 이야기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느냐를 알아야 한다. ex) 박하사탕
3. 관습적인 영화는 우리가 평소에 아주 많이, 편하게 보는 영화를 말하는데
특징은 흥미를 지속시키게 하고 결말은 깨끗하게, 결론을 확실히 안고 집에 갈 수 있게 한다.
4. 관습적인 영화들은 상업적인 목적이 너무 많기 때문에 보수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비판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ex) 공동경비구역 JSA
* 영화를 가지고 토론할 수 있고 삶이 나아지고 여유로와 지기를 생각한다면
영화의 기본적인 것들을 알고 토론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