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와삶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1. 여가란 무엇인가?

미여울 2023. 1. 6. 08:55
728x90
반응형

1 강 여가란 무엇인가? (1)

21c는 문화의 시대라 한다.

- 문화적인 삶의 가치. 삶의 질을 중시하는 시대를 의미

- 과거 생존의 문제에 얽매이기보다 의미 있고 보람 있게 사는데 더 많은 의미를 두는 시대.

- 사람들이 일보다는 여가를 어떻게 즐길 것인가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여가문화를 어떻게 선용하고 구현해야 할 것인가를 배울 과목임

 

강의 1) 현대 사회와 여가

 

레저오리엔티드 소사이어티 (leisure oriented society)?

여가는 낭비적인 영역이 아니며 자기 자신의 삶을 개선하고 의미를 드높이는 질적이고 능동적인 영역으로 여가를 바라보고 있다.

ex) 5일 근무제 - 여가의 시대, 여가 사회로 본격 진입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국영화 점유율 50% - 젊은이들의 문화참여 열기. 여가시대의 단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순간이다.

탈산업정보사회를 맞이하여 일보다는 여가를 선용하는데 관심도가 높아지는 것과 맞물려 있다.

 

* 현대 여가논쟁의 기본구조

(진정한 여가가 늘고 있는가 줄고 있는가에 대한 상반된 의견)

점증론 : 여가의 양적 증대를 강조하는 입장

(많은 사람들이 기술의 발전과 노동시간의 감소로 개인의 가용 여가시간은 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정감론 : 여가의 질적 측면을 강조하는 입장

(또다른 차원에서 질적 기준으로 볼 때 현대인은 시간에 얽매여 진정한 여가시간은 줄어든다. 과거의 식량기근처럼 현대에 시간기근에 시달린다. 너무 바쁘게 살아가고 주말 나들이 후 파김치가 되었다면 고난의 여가)

 

* 앨빈토플러(Alvin Toffler) - 탈표준화시대의 도래

(미래학자인 앨빈토플러의 제3의 물결 : 21c 정보 시대에는 사람들의 삶이 개성과 다양성이 존중되는 시대가 될 것이다. 개개인들이 표준형에 얽매이지 않는 삶의 기회와 창의성이 존중되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21c 여가문화를 어떻게 구성하고 기획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다)

 

강의 2) 현대의 여가 풍속도

 

여가에 대한 만족도는 많이 떨어지고 OECD 선진국 중 한국의 여가시간이 가장 낮다.

앞으로는 여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날로 커질 것이다.

 

* p.14 주석의 여가활용법 (20015월 발표. 통계청)

TV시청이 가장 높은 여가활동 등 한국인의 여가 활용법

한국의 여가는 아직 소극적이어서 정적인 여가를 즐기는 차원에 머물러 있다.

현재 한국인의 TV 평균 시청시간은 매일 3시간 정도

 

* 정적 여가활동

- TV 시청

- 인터넷 PC게임 (20대 초반이 pc 문화의 주도세력, 가상현실의 삶에 익숙. 기성세대의 정체성형성과 두드러진 차별성을 보임)

- 영화와 비디오 감상 (영상매체시대의 영향력이 커짐)

- 독서와 만화 (문자문화가 컴퓨터문화와 영상문화에 밀리고 있으며 때문에 독서의 비중이 줄어들고 활자문화의 퇴락과 퇴폐를 보이고 있음)

 

* 동적 여가활동

- 등산, 달리기 (가장 대표적인 동적 여가활동의 꽃. 현대인의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여가활동으로 여겨짐)

- 골프 (개인적인 여가활동)

- 경마

- 윈드서핑 (극소수 동호인만의 사치스런 스포츠로 일반인들에게 인식될 수도 있다. 동호인 중심의 여가활동)

 

(경마나 골프는 환경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좁은 국토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사람들의 정서에 어울리는지에 대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 현대사회의 여가문화

1. 정적 여가활동에서 동적 여가활동으로 (여가문화의 비중이 옮겨짐)

2. 집단적 성향에서 개인적 성향으로 (소수 동호인 중심이 늘어날 전망)

3. 여가 향유 유.무에 따른 문화적 갈등 (여가행위에 익숙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갈등이 제기될 가능성이 크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