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6. 측정과 척도
제6장 측정과 척도
6.1 측정의 의미
1)변수: 구체적 변수와 구성개념을 모두 지칭
협의의 변수: 구체적 성격이 강한 변수
2) 구성개념의 측정 (구성개념의 측정을 위하여는 측정 가능하도록 다시 정의)
예)지적 능력 : 개념적 정의: 사람이 사물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능력
조작적 정의: 수학을 잘하는 정도와 언어를 잘 구사하는 정도 (I.Q)
예) 브랜드 충성도 : 개념적 정의: 브랜드에 대하여 애착을 느끼는 정도
조작적 정의: 10번의 구매 중 특정 브랜드를 구매한 횟수
6.2 측정과 척도
1) 측정 :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변수에 수치나 기호를 할당하는 과정
2) 척도 : 수치나 기호의 연속적 체계 즉, 측정하는 도구
3) 척도의 종류
척도 | 특징 | 예 | 계산 가능 통계량 | 가능한 통계분석방법 |
명목척도 | -연구 대상을 분류할 목적으로 임의로 숫자를 부여하는 척도 - 범주정보 | 선수번호, 성별,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
최빈값 빈도수 퍼센트 |
이항검정 카이스케어 점검 사인 테스트 |
서열척도 | - 상대적 위치 - 범주, 서열정보 |
학급석차, 메달의 색, 좋아하는 브랜드순서 | 명목척도 통계량, 백분위수, 4분위수, 중앙값 |
순위 상관계수 순위 분산분석 |
등간척도 | - 상대적 측정값의 차이 (절대 ‘0’의 개념 없음) - 범주, 서열, 거리정보 |
온도, 지능지수, 소비자 만족지수 |
서열척도 통계량, 평균, 표준편차 | 피어슨상관계수 분산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
비율척도 | - 절대적 측정값의 차이 (절대 ‘0’ 개념 있음) - 범주, 서열, 거리, 비율정보 |
무게, 길이, 나이, 가격, 시장점유율 |
모든 통계량 | 모든 통계분석 |
1.측정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어떤 개념을 논리적으로 해설하여 알기 쉽게 하는 과정
②조사대상의 타당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최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과정
③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밝히는 과정
④조사대상의 성질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일정 원칙에 의해 기호를 할당하는 과정
2. 마케팅 현상 중에서 지역, 기후, 사회계층 등은 무슨 척도의 예인가?
①등간격척도 ②비율척도 ③서열척도 ④명목척도
3.절대 영점을 가지고 있는 척도는?
①등간격척도 ②비율척도 ③서열척도 ④명목척도
4.비율척도에 속하는 것은?
①학급석차 ②온도 ③지능지수 ④시장점유율
5.박찬호의 등번호는 61번이다. 등번호에 대해 올바른 설명은?
①등번호가 클수록 야구를 잘한다.
②등번호 5번은 10번보다 다저스에 소속된 햇수가 2배이다.
③박찬호임을 확인하는 것 이외의 의미는 없다.
④등번호 60번인 투수보다 공의 속도가 10% 빠르다.
6.명목척도에 대하여 올바른 설명은?
①명목척도록 측정한 경우 숫자가 클수록 크기도 커진다.
②서로 다른 대상에 대하여 같은 숫자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③명목척도로 측정한 자료는 크기, 순서, 차이를 나타낼 수 없다.
④한 개의 숫자로 여러 가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7.순위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나 절대 영점이 존재하지 않는 척도는?
①명목척도 ②서열척도 ③등간척도 ④비율척도
8.맥주를 10회 구매했을 때 상표 A를 7회 이상 구매하면 그 소비자는 상표 A에 대해 상표충성도가 높다고 정의했다. 이는 상표충성도를 어떻게 정의한 것인가?
①개념적 정의 ②사회적 정의 ③관계적 정의 ④조작적 정의
9.브랜드 충성도의 조작적 정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①지난 10번 구매 중 특정 브랜드를 구매한 횟수
②특정 브랜드에 애착을 느끼는 정도
③특정브랜드를 다른 브랜드보다 선호하는 정도
④특정 브랜드의 특징을 알고 이해하는 능력
10.“개인의 영어실력은 토플시험의 점수이다.”라고 하였다면 이것은?
①영어실력의 개념적 정의이다. ②영어실력의 조작적 정의이다.
③영어실력에 대한 가설이다. ④한 개인의 영어에 대한 문제의 정의이다.
11.영어실력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독해, 회화, 듣기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대하여 올바른 설명은?
①영어실력의 개념적 정의를 내린 것이다.
②영어실력을 측정하기 위해 가설을 만든 것이다.
③영어실력의 조작적 정의를 내린것이다.
④영어실력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의이다.
12.다음 중 타 척도로는 계산이 안되며 비율척도로만 가능한 통계자료는?
①산술평균, 표준편차 ②이항분포검증, 최빈값
③중앙값, 퍼센트 ④조화평균, 기하평균
13. 선형상관계수, 단순회귀분석이 가능한 척도는?
①서열척도 ②명목척도 ③비율척도 ④모두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