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론

경제학, 경영학, 방통대, 글로벌 경제 등 세계경제론 요점 요약 정리 15. 중동의 지역경제

미여울 2022. 12. 20. 15:48
728x90
반응형

제15장. 중동의 지역경제

1. 중동의 범주 및 경제 개황 :
① 중동의 지리적 범주는 논자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으나, 우리들의 학습에서는 아라비아반도 7개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연합(UAE)/ 예맨/ 오만/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과 마쉬레크 4개국 (이스라엘/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에 이락크, 이란 및 북아프리카의 이집트/ 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 등 18개국가로 한정하기로 함.
② 이들 지역은 종교적으로는 이슬람교의 발생지/ 현실적으로는 무슬림, 그리스도교, 유태교, 조로아스터교로 다양함
③ 현대경제의 성장과 발전의 원동력 = 석유 (세계 석유매장량중 65%보유 ---> 1970년대 2차례의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자원민족주의(resource nationalism)와 NIEO를 주도하였고 지역경제 블록화를 가속화하는 등 경제운용면에서 신자유주의 사조를 부추겼고 이러한 영향들이 현대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토록 하였음)
④ 18개 중동국가에대한 경제규모/ 소득수준/ 인구/ 한국과의 교역상황은 교재 350p. <표 1-1>에 수록되어 있으니 참조하기 바람.

2. 지역경제의 최근 동향
① 재정수입의 80%를 석유수출에 의존하는 중동경제는 2000년 이후 유가상승으로 오일머니(oil-money)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성장률이 평균 5%대를 기록했음 --->국가별 성장률은 이란이 5% 내외의 견고한 성장을 보였음 / 반면에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및 UAE는 세계경제의 하강과 중동지역의 긴장고조로 상대적인 낮은 성장/ 관광사업에 의존하고 있는 이집트는 중동지역의 긴장고조로 2000년이후 낮은 성장률 기록---> 전반적으로 중동지역은 국가에 따라 경제상황이 다양한 가운데 세계경제의 침체, 지역의 전쟁가능성, 유가상황이 전반적인 경제활동지수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3. 주요 산업동향
1) 석유 및 관련산업 ; ① 중동의 가장 주요한 산업으로 전세계 매장량중 65.3%, 전세계 생산의 36.1%를 차지하고 있음 ② 11개 OPEC국가들( 사우디아라비아/ 베네수엘라/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카타르/ 리비아/ 인도네시아/ 알제리/ UAE/ 나이지리아)중 8개국가(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카타르/ 리비아/ 알제리/ UAE)가 중동지역에 소재하고 있음 ③ 중동의 석유산업은 원유생산업체가 거의 국영기업으로 운영하고 있고 산업분야도 원유의 채굴에서부터 정제산업으로 다변화하고 있음. 그러나 아직도 원유의 생산과 수출이 주요한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음 ---> 국제유가의 변동추이가 중동경제 상황변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 ④ 따라서 원유수출의 확대--> 재정수입 증대-->재정지출 확대 --> 내수활성화로 연결되어 최근과 같은 고유가 현상의 영향은 궁극적으로 중동경제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2) 천연가스산업 ; ① 세계 제1위의 매장량을 차지하고 있는 러시아(30.8%)를 제외하고 2위에서 5위까지가 이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UAE로 모두 중동국가들임-->러시아의 산업화로 수출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세계 최대 수출국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큼 ②이란의 경우 사우스파스를 중심으로 남부지역에 집중되어 있어서 지리적으로 카타르의 북부 가스유전지대와 연결되어 일찍이 가스개발을 해온 카타르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음 ③ 카타르의 북부 가스유전지대는 세계 최대의 유전지대이며 세계 제4위의 액화천연가스 수출국임 ④ 카타르->아부다비->두바이->오만->인도에 이르는 송유시설 건설 예정 ⑤ 알제리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주요한 천연가스 생산 및 수출국으로서 송유관을 통해서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튀니지등에 수출하고 있고, 프랑스, 벨기에, 스페인, 터키, 이탈리아, 미국, 그리스 등으로는 액화천연가스 형태로 수출중임

3) 물류 및 유통산업 ; ① 중동의 현 주력 산업분야인 에너지 관련산업과 함께 가장 유망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 UAE, 바레인, 오만은 주요 항구를 물류유통 중심지로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고 항만시설을 경쟁적으로 확대중임 ② 교재 355p. <표 1-3>을 참조하기 바람 ---> 총교역액의 측면에선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스라엘이 교역대국이며, 국민1인당 교역액 기준으로는 UAE/ 바레인/ 이스라엘/ 쿠웨이트/ 오만은 대외개방도가 높은 국가, 역내의 주요 교역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 UAE/ 오만 (오만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지역의 주요한 hub역할을 하고 있음)---> 현재 이 지역의 물류/ 유통산업은 UAE의 두바이(Dubai)가 주도하고 있지만 향후 중계무역의 헤게모니를 차지하려는 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예측됨

★★ 중동지역이 동아시아와 유럽의 중간을 연결하는 지점에 있는 지정학적 유리함때문에 최근에는 러시아를 비롯한 중앙아시아/ 동아프리카/ 이란/ 이라크/ 아프카니스탄/ 동유럽행 물류의 중간기착지로서 성공적으로 기능했다는 점에서 향후 물류/유통산업의 성공 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음. 특히 최근 두바이는 과감한 외자유치와 자유화를 통한 개혁조치로 저관세 및 과감한 기반시설개선을 통하여 <중동의 파리>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화려한 변신을 진행하고 있음. 따라서 아랍에미레이트(UAE)의 두바이는 “새롭게 떠오르는 중동의 허브 또는 중동의 파리”로 변신하는 데 성공한 케이스라 할 수 있음. UAE는 개방 및 성장을 지향하고 전통적인 중동의 석유의존 경제를 벗어나려는 목표를 가지고 두바이(Dubai)를 거점으로 ‘무엇이든 가능한 땅(land of anything is possible)'을 목표로 개방을 지향하며 각국의 투자유치를 목적한 인푸라 구축에 주력하여 왔음. 사막에 야자수가 있는 인공섬이나 스키장을 건설하는 구상이라든가 세계최대의 초고층빌딩 버즈두바이(Bullz Dubai) 건설을 추진하는 동시에 지식/기술산업에 투자를 계획하고 세계의 국제회의 개최를 유치하는 등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노력을 하고 있음. 특히 두바이 국영개발업체 이마르(Emaar)사는 한국의 삼성건설에게 버즈두바이 공사를 맡아달라는 제의를 하고 있는 현실임. 이것이 실현될 경우 삼성건설은 세계 1.2위의 초고층빌딩인 타이페이의 101빌딩(101층/508m)과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 트윈타워(88층/452m) 건설에 이어 세계 최고층 건물3개를 건설하는 위력을 과시하게 될 것임.

4. 지역국가들의 최근의 경제개혁조치들
1) 경제개혁의 필요성 : ①1970년대 고유가시대에 오일머니를 축적했던 지역국들은 그 자금수입을 경제구조의 개혁보다는 왕정유지와 정치적 자유를 담보로한 국민들의 복리후생증진에 사용---> 1980년대 저유가시대에는 국가수입감소로 국가의 재정적자가 급증하여 기존과 같은 정부지출은 유지할 수 없게 되었을 뿐 아니라 외채가 GDP 100%를 상회하는 국가가 발생하여 국가파산에 이르는 국가가 발생할 정도가 되었음 ---> IMF 조언을 수용하는 경제구조조정이 시작됨 ② 중동국가들의 경제성장과 발전상의 문제점 --->㉮ 급격한 인구성장과 높은 실업률 ㉯ 낮은 생산성
2) 경제개혁의 내용 : 석유수출경제의 경제구조 ( 석유의존 산업구조)를 탈피하려는 노력이 경제개혁 실시로 나타남
① 비석유산업 육성정책 = ㉮ 인력자원의 개발/고용창출/민간부문의 역할증대을 위한 자유무역지대의 확대 ㉯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치 ㉰ 금융시장의 육성 ㉱ IT산업의 육성 ㉲ 민영화 ㉳ 규제완화 및 민간부문의 투자 증대에 주력하고 있음
② 금융 및 재정 개혁 = 정부지출 감축과 사유화를 포함한 민간부문의 육성에 중점을 둔 재정 및 금융부문의 제도 개혁 --->㉮경상수지균형을 위한 자국화폐의 평가절하와 이중환율 철폐/ 수입허가제 폐지/ 관세인하/ 국내가격통제 완화/ 은행개혁/ 해외투자유치/ 국영기업의 민영화 ---> ㉮모로코/ 튀니지/ 이집트/ 요르단등의 재정적자 폭 감소, ㉯ 모로코/ 이집트는 IMF로부터 부채탕감 ㉰ 이란의 성공적인 개혁

5. 중동지역의 경제협력기구들
1) 걸프협력위원회(GCC)
① 중동지역의 구체적인 경제협력구상은 1981년의 걸프협력위원회(GCC : Gulf Cooperation Council)가 최초의 것이었음 : ㉮1970년대말 이란의 이슬람혁명/이란․이라크전쟁/소련의 아프카니스탄 침공등 정치적 변화는 걸프만 아랍국가들의 안보위협을 가중시켰고, 1980년의 이란/이라크전쟁은 지역공동안보협력문제를 촉발시킴 ㉯1981년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 바레인/ 오만등 6개국 정상회담에서 걸프만 아랍국가들의 협력논의--→동년5월 아랍에미레이트의 아부다비 정상회담에서 걸프협력위원회(GCC)결성 실현 (‘걸프협력위원회’라는 명칭이 시사하듯 경제협력기구라기보다는 안보문제에 공동대처하기 위한 안보협력기구의 성격을 가짐)--→국가간 개발수준 및 산업구조의 차이, 경제정책의 이질성, 인프라부문의 미비등을 보완하기 위한 경제협력체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회원국가간의 정치․경제․사회등 제분야의 협력도모하고 있음
② GCC의 현황과 전망 : ㉮ GCC회원국(사우디/쿠웨이트/아랍에미레이트/카타르/바레인/오만 등 6개국) ㉯ 목적 ; 회원국가간의 정치적 협력/경제통합/상호방위협력/정치․경제발전의 상호협력/문화교류의 협력 ㉰ 규모 ; 인구 2,520만명/ GDP 2,189억달러/수출입규모 1,683억달러 ㉱ 전망 ; 안보측면의 협력을 중시해왔으나 현재에는 경제분야에서 회원국간 관세철폐 등의 성과를 기록하면서 각국 경제구조의 다양화를 위한 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음. 최근 GCC는 관세동맹의 실현/ 단일통화 도입의 계획안 마련등 추가적인 경제통합움직임과 EU와의 FTA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2) 중동지역의 경제통합기구로는 GCC이외에 아랍경제협력위원회(Arab Cooperation Council : ACC)와 아랍․마그레브 연합(Arab Maghreb Union :AMU)이 있음. ACC는 1989년 2월 요르단/이락/이집트 및 북예멘 등 4개국가가 결성한 것으로, 그의 모체는 1957년도 결성된 아랍공동시장이지만 결정적인 계기는 GCC 였음. ACC탄생 다음날인 1989년 2월 17일 모로코/리비아/알제리/튀니지/모리타니 등 이른바 마그렙지역(지중해를 면하고 있는 북부아프리카 국가들)5개국이 참여한 AMU가 결성되었음

※마그렙(Maghrab)이란 ‘서쪽의 해가 지는 나라’란 듯으로 아랍문화권인 북아프리카지역 5개국(모로코/알제리/튀니지/리비아/모리타니아)으로 구성된 서부아랍세계를 지칭하는 것임
3) 아시아/중동지역을 연결하는 비아랍 경제협력기구(ECO)
① ECO(Economic Cooperation Organization)의 출범 및 설립배경 ; ㉮터키와 이란 및 파키스탄 3개국이 아랍이라는 지역개념을 탈피한 경제협력체를 창설함으로서 정치적 마찰을 해소하고 지역적 범주도 확대하는 현상의 발로에서 1985년 공식발족 ㉯1992년 구 소련의 붕괴이후 아프카니스탄/아제르바이잔/카자흐스탄/키르키즈스탄/타지키스탄/투루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등 중앙아시아 7개 이슬람국가들이 새로히 편입하여 10개회원국이 되었음 ㉰ECO는 비아랍경제기구로 출발하였으나 이슬람이라는 변수를 매개로 중앙아시아로 범위를 확대하여 3억4천만명의 인구와 막대한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도 아시아와 중동을 연결하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
② ECO의 설립목적 ; ㉮회원국간의 뿌리깊은 역사적, 문화적 유대의식과 평화와 안정이 경제협력을 위한 선행조건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 ㉯ 이즈미르조약 제2조에 그의 구체적인 목적이 제시되어 있음--각회원국의 지속적경제개발/무역장벽의 점진적철폐 및 역내무역의 활성화/회원국간의 점진적인 경제통합추진/교통,통신 인프라스트럭처의 구축/회원국경제의 자유화 및 사유화/천연자원의 효과적인 개발/지역의 농업 및 산업잠재력의 개발/약물남용통제/생태계 및 환경보호를 위한 역내협력과 역내지역국민간 역사적․문화적 유대강화/역내 및 국제기구와의 상호 호혜적인 협력체제구축
③ ECO의 전망 ; ㉮회원국확대에 따른 국제적 위상이 강화되어 UN산하의 각종기구들과 협력관계를 유지하게 되었음 ㉯특히 중앙아시아국가들은 정치적 독립을 위해서는 경제구조개혁과 무역대상국의 다양화가 필수적임을 인식하고 시장경제로의 전환과 수출주도형 개발패턴 모색중임 ㉰한국의 입장에서 ECO국가들중 중앙아시아 회원국들을 중동과 유럽을 연결하는 통로 고려할 수 있음( 이 지역국가들은 현재 막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운송통신분야에 역점을 두고 경제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나, 대부분의 국가들이 재정적자부담으로 인프라부문에 투자할 여유자금을 갖고 있지 못하므로, 한국은 이 지역의 인프라부문에 집중적인 관심을 가지고 부족한 자금문제는 그들이 소유한 광물 및 농업자원의 원자재와 연계한다면 advantage를 얻을수 있을 것임)

6. 중동지역경제의 요약 및 전망
①경제동향과 전망 ; ㉮ 전세계 석유매장량의 60%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중동산유국들은 그 동안 석유수출 수입을 바탕으로 재정을 운영해 왔음---경제구조 다양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석유의존도는 아직도 절대적임 ㉯ 2001년도 중동경제는 1999년 하반기이래 지속된 고유가 영향으로 순조로운 성장세를 지속하였으나, 9.11테러사태이후 주요 선진국경기침체에서 비롯된 석유수요감소로 2001년 당초성장 예상치를 밑도는 3.5%-3.8%내외의 성장률을 보였음 ㉰ 2002년도이후 중동경제의 전망은 유가동향과 중동지역의 정치적 안정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음 (미국 부시 행정부의 이락공격과 대이락 전략운용의 실시여하 및 이란에대한 핵재제 조치의 여하에 따라 유가의 등락여하가 야기될 것임)




◆ 문제풀이를 통해 정리하기
◎ 단답형 문제
(1) OPEC(석유수출국기구)13개 회원국들중 중동지역에 위치한 국가들.
(2) 천연가스를 세계에서 가장 많이 매장하고 있는 국가를 말해 보시오.
(3) 중동지역경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구조를 말해 보시오.
(4) 이란의 이슬람 자선기금단체이자 주요 공기업 결합체의 이름은?

○ 정답
(1)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카타르/ 리비아/ 아랍에미레이트연합(UAE)/ 알제리 (2) 러시아
(3) 석유수출경제 (oil exporting economies) (4) 본야드(Bonyad)

◎ 4선다지형 문제
(5) 다음 지역들중 아라비아 반도 7개국가의 범주와 무관한 국가는 ( )이다. ① 사우디아라비아 ② 튀니지아 ③ 카타르 ④ 바레인

(정답) ② (출처) 교재 p. 248 참조

(6) 중동지역의 주력산업은 ( )이다.
① 관광산업 ② 다이아몬드 채굴산업 ③ 석유산업 ④석탄관련산업

(정답) ③ (출처) 교재 pp.352-352 참조

(7) 최근 1980년대이후 중동지역 경제의 일반적인 상황을 언급하고 있다. 이와 무관한 것은 ( )이다.
① 유가하락으로 인한 정부의 재정적자 급증
② 인구급증으로 인한 지속적인 복지제도운영곤란과 청년실업증대
③ 교육제도의 후진성과 낮은 노동생산성
④ 왕정유지를 위한 적극적인 경제개혁의 추진

(정답) ④ (출처) 교재 pp. 356 - 357 참조

(8) 다음의 중동지역국가들은 석유수출경제( oil exporting economies)구조를 가 지고 있지않은 나라들이다. 이와 무관한 나라는 ( )이다.
① 이집트 ② 바레인 ③ 모로코 ④ 요르단

(정답) ② (출처) 교재 p. 257 참조

(9) 최근 중동지역국가들이 경제개혁으로 중점을 두고 있는 내용들이다. 이와 무 관한 내용은 ( )이다.
① 비 석유산업부문의 육성정책
② 민간부문의 기업육성을 위한 은행개혁/ 해외직접투자의 유치
③ 정부의 지출증대와 국영화의 강화
④ 국내가격통제 완화와 관세인하

(정답) ③ (출처) 교재 pp. 259- 260 참조

(10) 중동의 마그레브(Maghreb)지역 5개국에 속하지 않은 나라는 ( )이다.
① 모로코 ② 알제리 ③ 모리타니 ④ 요르단

(정답) ④ (출처) 교재 p. 262 참조

(11) 다음의 경제통합체중 아시아/중동지역을 연결하는 비 아랍 경제협력기구는
( )이다.
① ECO (Economic Cooperation Organization)
② ACC (Arab Cooperation Council)
③ AMU (Arab Maghreb Union )
④ GCC (Gulf Cooperation Council)

(정답) ① (출처) 교재 pp. 361 - 365 참조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