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8. 방송제작
<8강 방송제작>
* 방송제작과정
1) 기획
2) 제작회의
3) 섭외
4) 야외촬영
5) 편집
6) 녹화
7) 편집
* 프로그램 제작스텝
1) 기술 감독
- 말그대로 기술파트의 우두머리 역할.
- 기술감독이 부조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이름은 스위처.
- 스튜디오에서 녹화가 진행되는 동안 PD의 큐사인에 따라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인다. 부조에서 그는 PD의 기술참모인 것이다.
2) 영상 감독
- 텔레비전의 선명하고 아름다운 영상을 책임진다.
- 녹화되는 화면과 미리 준비해둔 VCR이 매끄럽게 연결되는지 점검하고, 녹화 중인 테잎을 체크하는 것이 업무
3) 오디오 스태프
- 오디오 감독은 소리에 관한 모든 것을 담당.
- 콘솔이라 불리는 복잡한 장비를 이용해 소리의 크기와 음향 상태를 모니터하고 마이크의 상태도 점검.
- 녹화가 시작되기 전에 진행자가 사용할 핸드마이크와 출연자들이 사용할 와이어리스 마이크를 점검하는 것도 업무.
4) 무대 스태프
- 도면에 따라 세트를 설치
- 세트담당자들은 녹화가 있을 때마다 세트를 설치하고 해체하기를 반복
- 스튜디오 녹화에 사용되는 세트들은 방송용 세트를 전문적으로 디자인 하는 세트 디자이너들의 작품.
5) 조명 스태프
- 조명은 완성된 세트에 생명을 불어넣어준다.
- 세트가 세워지면 조명 스탶들은 스튜디오 천정에 매달린 수십 수백 개의 조명의 색깔과 위치, 각도를 결정.
- 무대 곳곳을 점검하며 세트의 분위기를 살려줄 부분조명 설치.
- 조명 하나하나의 위치와 밝기에 대한 뛰어난 감각과 섬세한 손길을 요구하는 분야.
6) 촬영 스태프
① 스튜디오 카메라 : 무대의 양옆과 정면에 각각 한 대씩 보통 세대가 놓이게 된다.
② 부감카메라 : 스튜디오의 모습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카메라로 스튜디오 카메라와 함께 녹화에 사용된다. 스튜디오 카메라와 부감 카메라는 모두 카메라에 테잎이 들어가지 않는다.
③ ENG카메라 : 이 장비는 원래 뉴스취재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스튜디오 카메라와 달리 자체 녹화기능이 있고 기동성이 뛰어나다.
7) 동시 녹음 스태프
- 동시녹음 감독은 야외촬영을 할 때 오디오 상태를 점검하는 사람이다.
- 헤드셋을 통해 녹음되고 있는 소리를 들으며 소리의 상태와 내용을 동시에 체크하게 된다.
8) 편집 스태프
- 종합편집실에서는 편집감독이 PD와 함께 자막과 음악, 화면효과 등을 결정하게 된다.
- 화면에 대한 감각과 각종 효과에 대한 기술 등을 결정하는 창조적인 역할인 것이다.
9) 작가
- 프로그램의 내용은 작가의 손에서 시작된다.
- 아이템을 결정하고 섭외를 담당하며 성우가 읽을 원고와 프로그램의 대본을 작성하는 것은 작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10) 조연출
- 조연출은 말 그대로 연출자를 도와주는 사람이다.
- 촬영에서 녹화까지 PD와 함께 움직이며 스튜디오 녹화 때는 부조와 스튜디오를 연결해 준다.
11) 연출
- 연출가는 프로그램에 대한 총 책임자로 모든 스텝과 모든 출연자, 프로그램의 내용과 결과까지 그의 손을 거쳐 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