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학개론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7. 방송편성
미여울
2022. 11. 29. 13:31
728x90
반응형
7강 방송편성
* 편성의 개념과 원칙
1) 편성이념 - 공영방송 BBC가 방송시작하면서 대중이 원하는 것과 대중에게 필요한 것 간의 균형유지를 언급함. 즉, 시청률과 공공성간의 균형.
2) 편성원칙
편성이념이 구체화된 것이 편성원칙.
◊ 편성원칙(Sydney Head)
시청자 생활습관과의 조화 (기상, 출퇴근, 식사...)
시청습관 형성 (줄띠편성)
수용자의 흐름통제 (자기방송사에 채널고정)
자원의 효율적 활용 (휴가나 심야때는 재방송)
대중 소구력 개발 (방송 / 협송)
소구(訴求, appeal)
이러한 원칙들에 의해 편성이 결정된다. 시청자의 라이프 사이클이나 시청습관이 변하면 이는 편성에 반영된다.
* 사례 : 주5일 근무와 방송편성 -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된 건 2004년 7월. 그러나 방송사들은 실시 2년 전부터 주5일 시대를 대비한 편성전략을 고민하고 있었다.
* 편성전략
1) 편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 : 법제도, 산업 경제, 조직, 사회 문화, 수용자 조건
2) 채널 내 편성 전략(프로그램 배치 전략)
① 줄띠편성
② 구획편성
③ 유인편성(lead-in)
④ 끼워넣기 - 샌드위치 편성. 새프로, 인기없는 프로를 인기프로 사이에 끼워넣는 전략. 텐트폴링 - 인기프로 앞뒤로 배치
⑤ 대체편성 - 특화된 시청자대상
2) 채널 간 편성 전략
⑥ 대응편성
⑦ 실력편성
⑧ 교차편성 - 엇물리기 경쟁사 허리자르기
⑨ 함포사격 - 1시간반~2시간 매머드프로, 시청자선점 전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