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학개론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2. 방송의 사회적 기능

미여울 2022. 11. 24. 13:43
728x90
반응형

2. 방송의 사회적 기능

* 방송의 기능

환경감시기능(=정보전달기능)

경제보도, 주로사건이나 사실의 객관적 보도에 의해 수행

역기능 - 정치인들은 비리나 비행이 폭로되어 권위를 잃거나 정치생명이 끝나는 경우도 있다. 당사자인 정치인의 관점에서 볼 때 방송의 역기능이다.

상관조정기능(=해석과 처방기능)

토론/시사프로, 주관성이 개입 (실제로 환경감시 기능과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역기능 - 방송의 논평이나 사설에 편견이 개입되거나 고의로 중요한 사회 문제를 다루지 않게 되면 불공정 보도가 된다. 방송이 논평이나 해설을 정부나 기득권층의 정보에만 의존한다면 사건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은 제한되고 체제순응적인 시각이 확산되어 사회개혁을 막는 결과를 낳는다.

사회유산의 전수기능(=사회화기능)

건강/요리/, 사회의 가치관, 규범, 사회가 지닌 각종 정보를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혹은 그 사회로 편입된 새로운 사회 구성원들에게 전수한 기능

역기능 - 규격화, 획일화된 문화가 문화적 다양성을 해치고 창의성을 저해하는 측면, 지적 수준을 고려하지 않을 때 인간성 침해의 측면

오락기능 (찰스라이트가 추가시킴)

토크쇼/음악/드라마/스포츠, 기분전환, 휴식 제공

사회적 문제나 정치적 문제에 무관심, 대중의 취향에 영합하는 선정적이고 저질적인 내용이 사람들의 취향과 미적 감각을 저하시키고 고급문화에 대한 관심을 저하시키는 결과 초래

 

그 외 사회규범강화기능(기존 규범을 강화), 지위부여기능(특정사안, 인물에 합법적 지위부여)

 

* 방송의 역기능 사례 <범죄보도의 역기능>

방송의 선정성, 폭력성

피해자, 피의자의 인권 침해

보도의 선정성에 대한 사회 둔감화

자세한 범죄수법 소개로 인한 모방범죄 (범죄의 교과서)

But 순기능 - 범죄보도의 기능 (범죄에 대한 경각심, 범죄예방)

 

* 방송 프로그램의 역기능 사례 <느낌표,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순기능 - 독서권장 프로인데 시청자의 구미에 맞게 재미있게 구성해서 시청률이 좋았고 그래서 사람들의 지적 성장에 도움 될 유익한 책읽기 붐을 조성했다는 점

획일주의 - 독서시장 독식

출판업체 : 기형적인 유통구조

독자 : 독자의 선택성, 개성, 창의성 제한

 

* 오락 프로그램의 역기능

오락에 대한 중독성 유발

무비찬적인 유행 추종

 

* 방송의 미래

문화적 지역성의 탈피 - 위성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세계화, 문화의 지역성 탈피, 국경 없는 문화지배, 선진문화의 범람, 문화적 식민지화 위험성 고려

다양해진 채널 선택권 - 진정한 의미의 다채널이라 볼 수 없음

접근 가능성의 확대 -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접근성이 확대됨

인간소외 - 이해력이 필요한 사고행위 기피

정보격차 - 기술적응의 격차는 결국 정보의 격차로 이어지게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