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 방송이란 무엇인가?
1강. 방송이란 무엇인가?
*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① 휴먼 커뮤니케이션 - 사람들이 직접 얼굴을 맞대고 참여
② 매스 커뮤니케이션 - 각종 미디어를 정보 전달의 도구로 사용
* 라스웰 공식 커뮤니케이션 과정
① Who? : 전달자 (Communicator), 통제분석 (control research)
② Says What? : 메시지 (Messag), 내용분석 (contert research)
③ In which channel? : 채널 (Channel), 매체분석 (medeum research)
④ To whom? : 수용자 (Audience), 수용자 분석 (audience research)
⑤ With What affect? : 효과 (Effect), 효과분석 (effects research)
* 전통적 방송 -대중매체/매스미디어로서의 방송. ‘broadcasting’, ‘放送’ : 무선전파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뉴스,시사,교육,광고..)와 오락거리(드라마,스포츠,음악,연예..)를 수집가공하여 일반인 누구나 보고들을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 그렇게 하기 위한 방법, 제도를 일컬음.
* 디지털 방송의 특성
① 선택성과 다양성의 확대 : 진정한 의미의 다채널이라 할 수 없는 상황
② 방송의 고품질화 : 화질과 음질의 개선. 실감나는 영상과 소리.
③ 방송의 쌍방향성 : 참여형 미디어, 프로슈머등장, 능동형적 시청자
㉠ 방송과 통신의 융합 -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방송의 확대와 개인화
㉢ 디지털 방송 시대의 문제점 - 정보 격장
㉣ 디지털 시대의 문제점 - 공공성과 공익성
* 방송과 통신의 융합 - 전통적인 방송개념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케이블, 위성, 인터넷, 전광판, 모바일 방송 등등으로 확대되어 가고, 국민전체에게 대량전달이 아닌 협송, 점송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쌍방향 방송, 개별적인 수용자와의 접촉이 가능해지는 등. 이런 변화를 주도한 것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convergence 수렴)이다.
사례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동통신과 방송이 융합된 미래 방송의 대표적 형태 중 하나.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신개념 멀티미디어 이동방송서비스. DMB가 본격화되면 시간과 장소 구애받지 않고 고화질의 영상과 CD수준의 음질로 제공되는 고품질의 방송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IT업체들이 방송 산업에 진출하게 되면 지상파 방송사들이 그동안 누려왔던 장기간의 특수가 무너질 수도 있다.
* 방송영역의 확대와 개인화
새로운 방송의 등장은 공급자 입장에서 볼 때는 방송영역의 확대로, 수용자 입장에서는 방송의 개인화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 그리고 방송의 개인화라는 새로운 흐름 속에 미래 방송산업의 주도권은 방송사에서 시청자에게로 넘어가리라 전망된다.
* 디지털 방송 시대의 문제점 - 정보 격차
디지털 시대에는 경제적 능력에 따라 수용자가 차별화 될 수 밖에 없다. 새로운 기기를 구매하고 유료로 제공되는 방송서비스에 값을 지불할 수 없다면 모든 혜택에서 소외될 수 밖에 없는 것. 이렇게 볼 때 소수계층-특히 경제적 빈곤층,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된 이들에게도 사회구성원으로서 누려야 할 최소한의 정보접근권을 보장해 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즉 경제적으로 불리한 조건 때문에 특정 지역이나 특정 계층이 소외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것.
* 디지털 시대의 문제점 - 공공성과 공익성
① 공공성 - 제한된 공공의 재산인 전파를 공평하게 사용하기 위한 가치관.
② 공익성 - 공공성이라는 가치를 방송활동의 구체적인 기준으로 마련한 것.
③ 공공성과 공익성의 개념이 디지털 방송시대에는 훼손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방송의 디지털화는 공공성과 공익성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 것인가?
* 전파의 희소성 - 전파는 서로 간섭하는 성질이 있어서, 이를 피하기 위해 채널을 배정할 때 하나씩 건너뛰어,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채널은 적다. 전파는 무한정 있는 것이 아니라 유한자원이다. 따라서 전파는 어느 개인이나 집단의 사유물이 될 수 없는 국민의 자산이고 국민의 자산인 공공재(公共財)를 이용해서 사업을 하는 사람은 개인적 사익보다는 공곡의 이익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 디지털 방송 시대의 도래는 공공성과 공익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디지털 시대에서 대부분의 방송사업자들이 시장 논리에 입각하여 치열한 수용자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공공성이나 공익서보다는 상업성의 가치를 우선시하게 만드는 현상이 초래될 것이다.
* 공공성과 공익성이 위축될 때의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
① 공공성이 강한 영상물의 제작 및 공급의 기반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② 거대한 미디어 그룹에 의해 방송시장이 거의 독과점화 됨
③ 정보의 부익부빈의빈 현상이 두드려져 정보격차가 심화될 문제도 있다.